{{{#!wiki style="word-break: keep-all" ||<-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113_f00_s0.png|width=40]] 0113 [[럭키(포켓몬스터)|럭키]] ||<|2> [[파일:icon0114_f00_s0.png|width=40]] '''0114 {{{#000,#fff 덩쿠리}}}'''[br][[파일:icon0465_f00_s0.png|width=40]] '''0465 {{{#000,#fff 덩쿠림보}}}''' || [[파일:icon0115_f00_s0.png|width=40]] 0115 [[캥카]] || || [[파일:icon0464_f00_s0.png|width=40]] 0464 [[거대코뿌리]] || [[파일:icon0466_f00_s0.png|width=40]] 0466 [[에레키블]] || ||<-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1세대#관동도감 목록|{{{#ffffff 관동도감}}}]]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3MS.png]] 113 [[럭키(포켓몬스터)|럭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4MS.png]] '''114 {{{#000,#fff 덩쿠리}}}''' || [[파일:캥카 도트.png]] 115 [[캥카]]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2세대#성도도감 목록|{{{#ffffff 성도도감}}}]] || || [[파일:내룸벨트 도트.png]] 181 [[내룸벨트]]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4MS.png]] '''182 {{{#000,#fff 덩쿠리}}}'''[br][[파일:덩쿠림보 도트.png]] '''183 {{{#000,#fff 덩쿠림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33MS.png]] 184 [[이브이]]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3세대/비노출 호연도감|{{{#ffffff 호연도감(비노출)}}}]] ||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3MS.png]] 277 [[럭키(포켓몬스터)|럭키]]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4MS.png]] '''278 {{{#000,#fff 덩쿠리}}}''' || [[파일:캥카 도트.png]] 279 [[캥카]]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4세대#신오도감 목록|{{{#ffffff 신오도감}}}]] || || [[파일:자포코일 도트.png]] 180 [[자포코일]]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4MS.png]] '''181 {{{#000,#fff 덩쿠리}}}'''[br][[파일:덩쿠림보 도트.png]] '''182 {{{#000,#fff 덩쿠림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93MS.png]] 183 [[왕자리]]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하나도감 목록|{{{#ffffff 하나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5세대#BW2|BW2]] || || [[파일:359새2박스아이콘.png]] 216 [[앱솔]]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4MS.png]] '''217 {{{#000,#fff 덩쿠리}}}'''[br][[파일:덩쿠림보 도트.png]] '''218 {{{#000,#fff 덩쿠림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619MS.png]] 219 [[비조푸]]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가라르도감 목록|{{{#ffffff 가라르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8세대#갑옷섬도감(DLC)|갑옷섬]] || || [[파일:764스위치아이콘.png]] 079 [[큐아링]]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4MS.png]] '''080 {{{#000,#fff 덩쿠리}}}'''[br][[파일:덩쿠림보 도트.png]] '''081 {{{#000,#fff 덩쿠림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3MS.png]] 082 [[삐딱구리]] || ||<-3> [[히스이도감|{{{#FFFFFF 히스이도감}}}]] || || [[파일:549HMS.png|width=40]] 094 [[드레디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14MS.png]] '''095 {{{#000,#fff 덩쿠리}}}'''[br][[파일:덩쿠림보 도트.png]] '''096 {{{#000,#fff 덩쿠림보}}}'''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39MS.png]] 097 [[메깅|미꾸리]] || }}}}}}}}} || }}} ||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진화|진화]][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114 덩쿠리.png|width=100%]] || [[파일:465 덩쿠림보.png|width=100%]] || || 덩쿠리 || 덩쿠림보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ffffff 이름}}} || {{{#ffffff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114_f00_s0.png|width=40]][br]'''덩쿠리''' [br] モンジャラ(몬쟈라) [br] Tangela || 전국: 0114[br]성도: 182[br]호연: 278[br]신오: 181^^Pt^^[br]하나: 217^^BW2^^[br]가라르: 080^^갑옷섬^^[br]히스이: 095 ||<|2> [include(틀:풀타입)] || || [[파일:icon0465_f00_s0.png|width=40]][br]'''덩쿠림보''' [br] モジャンボ(모쟌보) [br] Tangrowth || 전국: 0465[br]성도: 183[br]신오: 182^^Pt^^[br]하나: 218^^BW2^^[br]가라르: 081^^갑옷섬^^[br]히스이: 096 || [anchor(앵커-특성)] ||<-2>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ㅇ#엽록소|엽록소]] || 쾌청일 때 스피드가 2배가 된다. || || [[포켓몬스터/특성/ㄹ#리프가드|리프가드]][* 4세대에서 추가] || 쾌청일 때 상태이상에 걸리지 않는다. || || *[[포켓몬스터/특성/ㅈ#재생력|재생력]] || 교체 시 전체 체력의 1/3을 회복한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 {{{#ffffff 포켓몬}}} || {{{#ffffff 분류}}} || {{{#ffffff 신장}}} || {{{#ffffff 체중}}} || {{{#ffffff 포획률}}} || || 0114 덩쿠리 ||<|2> [[덩굴]] 포켓몬 || 1.0m || 35.0kg || 45 || || 0465 덩쿠림보 || 2.0m || 128.6kg || 3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식물 || 20 || 1,000,000 || [anchor(앵커-진화)] ||<-4> [[포켓몬스터/진화|{{{#ffffff 진화}}}]] || || {{{#ffffff 진화}}}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tangela.gif]] [br]0114 덩쿠리 || [[원시의힘]]을 배운 상태에서[* 6세대 기준으로 38레벨에 배우며, 배우고 난 후 바로 진화한다. 만약 레벨이 38이 넘은 덩쿠리를 진화시켜야 한다면 기술 마니아에게 [[하트비늘]]을 줘서 원시의힘을 떠올리게 한 후 레벨을 올리면 된다.] [br]레벨 업[br]→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tangrowth.gif]] [br]0465 덩쿠림보 || [anchor(앵커-방어 상성)] ||<-3>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8> [[종족치|{{{#ffffff 종족치}}}]] || || {{{#ffffff 포켓몬}}} || {{{#ffffff HP}}} || {{{#ffffff 공격}}} || {{{#ffffff 방어}}} || {{{#ffffff 특수공격}}} || {{{#ffffff 특수방어}}} || {{{#ffffff 스피드}}} || {{{#ffffff 합계}}} || || [[파일:icon0114_f00_s0.png|width=40]][br]덩쿠리 || 65 || 55 || 115 || 100 || 40 || 60 || 435 || || [[파일:icon0465_f00_s0.png|width=40]][br]덩쿠림보 || 100 || 100 || 125 || 110 || 50 || 50 || 535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114_f00_s0.png|width=40]][br]{{{#FFFFFF 덩쿠리}}} || ||<#ffffff,#000000><-2><:>{{{#!HTML}}}|| ||<-2> [[파일:icon0465_f00_s0.png|width=40]][br]{{{#FFFFFF 덩쿠림보}}}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덩쿠림보#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 [[파일:icon0114_f00_s0.png|width=40]][br]{{{#ffffff 0114 덩쿠리}}} || || 레드/그린/FR ||파란 덩굴이 뒤엉켜서 정체불명이다. 다가오는 것을 덩굴로 휘감는다. || || 블루/LG ||온몸이 덩굴로 겹겹이 뒤덮여서 걸을 때마다 흔들흔들거린다. || || 피카츄 ||<|2>몸이 파란 덩굴로 뒤덮여서 정체를 알 수 없다. 덩굴은 평생 자라난다고 한다. || || 레츠고! 피카츄/이브이 || || 금/HG ||전신을 뒤덮는 덩굴은 항상 섬세하게 움직임을 계속해서[br]상대의 신경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 || 은/SS ||<|2>움직이는 것에 넝쿨을 감는다.[br]넝쿨은 미묘하게 흔들리기 때문에 휘감기면 간지럽다. || || Y || || 크리스탈 ||온몸을 빽빽이 덮은 덩굴은 싸울 때 쉴 새 없이 움직여서[br]보는 사람을 조바심 내게 만든다. || || RSE/ORAS ||<|2>적에게 붙잡히면 덩굴이 뚝 하고 끊긴다. 전혀 아프지 않기 때문에 [br]그 틈에 도망간다. 다음 날에는 새로운 덩굴이 자란다. || || 포켓몬 GO || || 디아루가/펄기아/BDSP ||파란 덩굴로 덮여 있다. 덩굴에 숨겨져 있는 얼굴을 본 사람은 아직 없다. || || 기라티나 ||<|2>전신을 뒤덮은 파란 덩굴에는 아주 세밀한 털이 나있어 만지면 매우 간지럽다. || || BW || || BW2 ||<|2>수많은 움직이는 덩굴에 둘러싸여 정체불명이다. 파란 덩굴은 평생 자란다. || || X || || 소드[br](갑옷섬) ||잘려도 잘려도 무한으로 늘어나는 덩굴 속의 정체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 실드[br](갑옷섬) ||덩굴은 독특한 향이 난다. 가라르 일부 지역에서는 허브로 사용되고 있다. || || PLA ||푸른 덩굴로 전신을 감싸고 있어서 정체를 알 수 없다.[br]이 덩굴을 베어 물면 청량감이 있어서 향신료로 사용된다.|| ||<-2> [[파일:icon0465_f00_s0.png|width=40]][br]{{{#ffffff 0465 덩쿠림보}}} || || 디아루가/펄기아/BDSP ||<|3>식물의 덩굴로 이루어진 팔을 늘여서 먹이를 포박한다. 팔을 먹혀도 아무렇지도 않다. || || X || || 오메가루비 || || 기라티나 ||<|2>식물로 만들어진 팔은 그냥 놔두면 휘감기게 된다. 잘라도 잘라도 바로 자란다. || || BW || || BW2 ||팔을 먹혀도 문제없다. 재생능력이 높아 눈 깜짝할 사이에 원래대로 돌아간다. || || 하트골드 ||가만히 있으면 커다란 덤불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먹이가 다가오면 덩굴로 포박한다. || || 소울실버 ||<|4>따뜻한 계절이 오면 눈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식물 덩굴이 계속 자란다. || || Y || || 알파사파이어 || || 포켓몬 GO || || 소드[br](갑옷섬) ||자유자재로 늘어나는 2개의 팔은 덩굴이 뭉쳐진 것이었다는 사실이[br]최근 연구로 밝혀졌다. || || 실드[br](갑옷섬) ||따듯한 땅에서 살수록 덩굴의 성장이 빠르다.[br]길어지면 스스로 잘라내어 짧게 만든다. || || PLA ||기다란 덩굴에 감겨 있는 모습은 풀숲과도 같다.[br]뭉쳐진 덩굴을 팔처럼 휘둘러 먹이를 휘감은 다음 그대로 포박한다. || ||<-2>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1세대부터 있었던 비진화 포켓몬 덩쿠리의, 4세대에 와서 추가된 진화형. 덩쿠리는 1세대부터 관동의 체육관 관장 [[민화(포켓몬스터)|민화]]의 레귤러 포켓몬으로 있었지만, [[우츠보트]], [[라플레시아(포켓몬스터)|라플레시아]], [[아르코]]에 밀려 존재감이 상당히 희미했다.[* 대신이라고 해야될지 모르겠지만 게임판, 애니판, 포켓몬스터 SPECIAL 전부에서 민화가 덩쿠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4세대에 추가된 진화형인 덩쿠림보는 자신만의 존재감을 어필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4세대에선 민화와 2차전을 치를 때 가장 레벨이 높다. 3세대까지는 비진화 포켓몬이어서 그런지, 덩쿠리 자체도 포획률이 상당히 낮다. 물론 전설급으로 절망적으로 낮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체감 상으로 느낄 만큼 잘 잡히는 것도 아니다. 또, 덩쿠리는 1세대의 '''유일한''' 단일 풀 타입 포켓몬이다.[* 1세대 포켓몬 중 [[파라섹트]], [[나시(포켓몬스터)|나시]] 계열을 제외하면 전부 풀/'''독''' 타입이다.] == 포획 및 스토리 == ||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Pt, HGSS, BW2, SWSH || || {{{#ffffff 포지션}}} || 높은 방어를 필두로 한 쌍두 딜탱 || || {{{#ffffff 장점}}} || 높은 체력·공격·방어·특수공격, 폭 넓은 기술머신, 미진화체 리스크 적음[br]애매한 경쟁자들(HGSS) || || {{{#ffffff 단점}}} || 낮은 포획률, 어려운 입수 방법, 풀 타입 위주의 자력기, 낮은 특수방어와 스피드, 많은 약점[br]'''불리한 스토리 환경(HGSS)''' || || {{{#ffffff 추천되는 도구}}} || 기적의씨 || || {{{#ffffff 보좌 가능한 스타팅 포켓몬}}} || 초염몽, 엠페르트, 블레이범, 장크로다일, 염무왕, 대검귀 || || {{{#ffffff 추천 기술배치}}} || 파워휩 or 에너지볼(필수)/지진 or 스톤샤워/원시의힘 or 독찌르기/오물폭탄 or 깨트리다/기합구슬 or 제비반환(7세대까지) or 탁쳐서떨구기 or 변화기 중 택 3 || 1-3세대에서는 덩쿠리만 잡을 수 있었는데, 일단 1세대에서는 특수가 100인지라 체력이 낮은 편이어도 내구력은 상당한 수준이었고, 풀타입도 특수로 분류되어 쓸만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자력기가 39레벨에 배우는 수면가루와 48레벨에 배우는 성장[* 당시에는 특수공격이 1랭크 상승하므로 실질적으로는 명상과 효과가 동일]정도를 빼고는 쓸만한 기술이 없었다. 태초마을 밑 풀밭에 서식하기는 한데 이 녀석을 잡으려면 파도타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는 입수시기가 매우 늦었다. 칼춤+누르기나 수면가루+솔라빔 정도면 쓸 수는 있지만 이녀석을 쓰느니 처음부터 이상해씨를 키우는 편이 훨씬 낫다. 2세대에서는 비교적 후반부인 44번도로에 등장한다. 기술폭이 대폭 개선되고 기술머신으로 기가드레인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수가 특공과 특방으로 분류되며 특방이 대폭 떨어져 특수 공격에는 몸을 사려야 하게 되었다. 하지만 풀 타입에 불리한 환경이 발목을 잡는다. 풀 타입으로 돌파할 사천왕이 없고, 풀 타입이 활약할 곳은 '''엔딩 후''' 회색체육관과 블루체육관뿐이지만 그쯤 되면 포켓몬들의 대비책이 넓어지므로 큰 의미는 없다. 3세대에서는 루비/사파이어/에메랄드에선 안나오고 리메이크 버전에서만 출현한다. 전체적으로 2세대와 큰 변화가 없다. DP에서는 진화체인 덩쿠림보가 등장했으나, 4세대 포켓몬임에도 불구하고 팔파크 외에는 데려올 방법이 없었다. 하지만 PT에서는 들판시티의 대습초원에 덩쿠리가 서식한다. 출현율, 포획률 모두 낮으니 모부기를 스타팅으로 삼지 않았을 때 풀 타입을 쓴다면 되도록 [[로즈레이드]] 쪽을 고려하자. 스토리 진행 중반까지의 기술는 [[메가드레인]], [[원시의힘]] 정도를 빼면 좀 엉성한 편이지만 고레벨 가면 파워휩과 기가드레인을 배우므로 최소한의 밥값은 한다. 사천왕 [[들국화(포켓몬스터)|들국화]]의 주 타입은 땅 타입이니 활약할 여지가 있다. 어차피 벌레 타입의 [[충호]], 불꽃 타입의 [[대엽]] 앞에서는 원시의힘이나 지진으로 처리하면 되지만, 대놓고 이 녀석을 꺼내들 리는 없으니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HG/SS에서도 나온다. [[메가니움]]과는 달리 자력기 자체는 인내심을 기르면 괜찮은 게 많은 편이니 편하긴 하겠지만 [[메가니움/스토리|풀 타입에 좀 불리한 게임 배경]] 상 머리 좀 굴려야 한다. 견제기인 스톤샤워나 지진을 들고 가 봤자 스피드가 낮아서 먼저 기절할 가능성이 높다. 또, 특방이 낮은 탓에 관동지방의 [[이슬(포켓몬스터)|이슬]]의 포켓몬을 한 방에 못 잡으면 비자속 냉동빔에도 생사가 왔다갔다 하니 조심하자. BW에서는 1차 엔딩 이후 13번 도로에서 덩쿠리로 출현, 흔들리는 풀숲에서 낮은 확률로 덩쿠림보가 출현한다. BW2에서는 [[기하시티]]에서 건물 안에 있는 실마르라는 빡빡이 NPC에게 만타인을 주면 덩쿠림보로 교환해 준다. 성격은 노력에 개체치 체력 V에 나머지 20 고정. XY에서는 풀 타입 프렌드 사파리에서 등장한다. ORAS에서는 사파리존, 그리고 매일 무작위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환상의 장소에서 등장한다. 썬문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므로 쓰고 싶다면 6세대에서 데려와야 한다. SWSH에서는 갑옷섬의 집중의 숲 풀숲에서 덩쿠리가 등장하며, 덩쿠리가 등장하는 풀숲 옆에는 덩쿠림보가 고정 심볼로 등장한다. 플레이어를 봐도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BDSP에선 지하대동굴에서 포획할 수 있다.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는 홍련습지에서 덩쿠림보가 우두머리로 등장한다. 하지만 레벨이 높아서 쓰고 싶다면 홍련습지에서 덩쿠리를 잡는것이 더 좋다. == 대전 == 엽록소와 리프가드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걸 볼 때 덩쿠림보는 쾌청 팟 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스피드가 매우 낮지만 쾌청 보정을 받으면 속도 경쟁에서 상대할 만 하다. 체력과 방어는 웬만한 막이 급으로 높지만 특방은 바닥이라 특공기 약점을 제대로 맞으면 한 방에 훅 간다. 4세대 당시 [[나시(포켓몬스터)|나시]]와 함께 쾌청팟의 스윕을 담당하는 포켓몬이었고, [[칼춤(포켓몬스터)|칼춤]]과 [[파워휩]], 그리고 풀 포켓몬의 천적인 강철 포켓몬들을 골로 보내는 [[지진(포켓몬스터)|지진]]을 배울 수 있는 점에서 나시와 큰 차이점을 보여주었다. 높은 스탯에도 불구하고 하골/소실이 등장하면서 [[웨더볼]]을 배우는 우월한 [[우츠보트]]에게 약간 밀리는 듯한 느낌을 주지만, 덩쿠림보는 지진을 배우고 각종 깔짝형 보조기를 배우기 때문에, 덩쿠림보는 덩쿠림보 나름대로 여전히 좋은 포켓몬이다. 그리고 5세대에서 숨겨진 특성으로 '재생력'을 얻어서 확실히 차별화가 됐다. 이 녀석의 물리내구는 매우 단단하기에 유용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특수방어는 좀 낮지만 체력이 높기에 노력치를 투자하고 돌격조끼를 들려주면 물리 특수 양면으로 단단한 딜탱이 탄생한다. 보조기를 못 넣어도 [[기가드레인]]과 재생력으로 체력 회복이 가능하기 때문에 돌격조끼와의 궁합이 좋은 편. 덩쿠림보의 기술폭이 단일 풀 타입치고는 매우 훌륭한 편이라서 4공격기로 다타입 견제하는 딜탱 아케몬이 가능. === 주요 기술 일람 === * 물리형 기술 * 파워휩(풀) - 물리 - 위력 120 명중 85%. 풀 타입 물리형 불대문자라 생각하자. * [[깨트리다]](격투) - 물리 - 위력 75 명중 100%, 사실 지진과 파워휩을 배우는 덩쿠림보에게 저위력 격투기술은 사실상 쓸모 없는 기술. * [[독찌르기]] (독 ) - 물리 - 위력 80 명중 100% 오물폭탄과 같은 맥락. * [[스톤샤워]] (바위)- 물리 - 위력 75 명중 90% * 지진 (땅)- 물리 - 위력 100 명중 100% * [[보복(포켓몬스터)|보복]] (악) - 물리 - 위력 50(후공일 때 100) 명중 100% 덩쿠림보의 느린 스피드를 역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약점은 아닐지라도 대전판에서 곧잘 보이는 에스퍼 및 고스트에게 한 방 먹이는 기술이기도 하며,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물리방어가 상당히 낮기에 비자속 위력 100 보복에도 사경을 헤맨다. * [[제비반환]] (비행) - 물리 - 위력 60 반드시 명중한다. 덩쿠림보의 약점을 찌르는 벌레 타입을 견제하게 해준다.(8세대 사용불가) * [[탁쳐서떨구기]] (악) - 위력 65(상대가 아이템(백금옥, 메가스톤 등 제외)을 들고 있을 경우 위력 97.5), 명중 100%. 부유 [[동탁군]]이나 [[킬가르도]] 등을 견제하는 데 쓸만한 기술. * 특수형 기술 * [[솔라빔]] (풀)- 특수 - 위력 120 명중 100% * [[원시의힘]] (바위)- 특수 - 위력 60 명중 100%: 풀타입이 약점인 타입 5개중 4개[* 불꽃, 비행, 벌레, 얼음]의 약점을 찌를 수 있지만 위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 [[오물폭탄]](독) - 특수 - 위력 90 명중 100%: 자속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츠보트와 달리, 실용성이 그다지 없는 기술이다. * [[전격파]](전기) - 특수 - 위력 60 명중 -%: 덩쿠림보를 보고 방심한 채 유유히 들어오는 갸라도스와 무장조에게 확실한 일격을 가하라고 준 기술. * [[기합구슬]] (격투) - 특수 - 위력 120 명중 70% * [[리프스톰]] (풀) - 특수 - 위력 130 명중 90% 기술폭은 풀 타입 치곤 상당히 많은 기술을 배운다. 땅 타입 지진을 제외하면 비슷한 위력의 같은 타입 기술을 배우는 점을 알 수 있다. 만약 땅 타입 고화력 특수기인 [[대지의힘]]을 습득했거나 우츠보트처럼 웨더볼을 배울 수 있었면 그냥 특수형으로 미는 게 좋겠지만, 아쉽게도 그런 건 없어서 칼춤을 사용하는 물리형으로 가는 게 대다수다.[* 다만 물리형은 무장조, 또는 부유 특성 동탁군 앞에선 할 수 있는 게 사실상 없다. 그나마 6세대에서는 동탁군의 경우 탁쳐서떨구기로 골로 보내 버릴 수 있긴 하지만 무장조는 여전히 답이 없다.] 기본 종족치가 매우 높고 배우는 기술 폭이 넓기 때문에 쾌청팟의 가호 아래에서 쌍두형으로 달리는 것 역시 가능하다. 하지만 쌍두로 가면 내구나 공/특공 중 한쪽에 풀보정 하는 걸 포기해야 한다. 또는 높은 방어를 바탕으로 [[저리가루]]와 [[수면가루]] 등을 동반한 깔짝 포켓몬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특공 위주 포켓몬 만나면 그냥 골로 가니 주의. 풀 타입은 약점 타입이 많은지라 단순 막이로는 한계가 있다. 사실 덩쿠림보를 가장 잘 활용하는 건 물리형일 수밖에 없는데 쾌청팟에는 지진을 쓸 수 있는 엽록소 어태커가 드물기 때문이다.[* 일단 바라철록이 [[자연의힘]]으로 사용할 수는 있고 이상해꽃 역시 가능하지만, 바라철록은 6세대부터는 통신대전에서 자연의힘을 쓰면 [[트라이어택]]이 나오도록 바뀌면서 지진을 몰수당했고, 이상해꽃은 물리 스위퍼보단 특수공격을 사용하는 탱커로 기용된다.] 그런 상황에서 지진과 스톤샤워를 쓸 수 있는 덩쿠림보의 존재는 [[바라철록]], [[이상해꽃]]과 함께 쾌청팟의 중요한 자원이다. 이것 때문에 '''[[리피아]]는 완전히 사장되었다.''' == [[포켓몬 GO]] == ||<-99><#68f2b6><:> '''465 덩쿠림보''' || ||<-12><:> [[파일:pokemongo_465.png]] || ||<#CEFBC9><|3><-2> 명칭 ||<#CEFBC9> 한국어 ||<-9> 덩쿠림보 || ||<#CEFBC9> 일본어 ||<-9> モジャンボ || ||<#CEFBC9> 영어 ||<-9> Tangrowth || ||<#CEFBC9><-2> 분류 ||<-4> 덩굴 포켓몬 ||<#CEFBC9><-2> 타입 ||<-4> [include(틀:풀타입)] || ||<#CEFBC9><-2> 몸무게 ||<-4> 128.6kg ||<#CEFBC9><-2> 키 ||<-4> 2m || ||<#CEFBC9><-2> 설명 ||<-10><(> 적에게 붙잡히면 덩굴이 뚝 하고 끊긴다. 전혀 아프지 않기 때문에 그 틈에 도망간다. 다음 날에는 새로운 덩굴이 자란다. || ||<#CEFBC9><-2> 진화 ||<-10> 덩쿠리 → 덩쿠림보(100+신오의돌) || ||<#CEFBC9><|2> 기술 ||<#CEFBC9> 일반 ||<-10> * [include(틀:풀타입)] [[덩굴채찍]] (7) * [include(틀:벌레타입)] [[엉겨붙기]] (10) || ||<#CEFBC9> 특수 ||<-10> * [include(틀:풀타입)] [[솔라빔]] (1차징, 180) * [include(틀:독타입)] [[오물폭탄]] (2차징, 80) * [include(틀:바위타입)] [[스톤샤워]] (2차징, 80) * [include(틀:바위타입)] [[원시의힘]] (3차징, 70) * [include(틀:풀타입)] [[파워휩]] (2차징, 90) || ||<-2><|2> 종족치 ||<-3> 공격 ||<-3> 방어 ||<-4> 체력 || ||<-3> 207 ||<-3> 184 ||<-4> 225 || ||<|2> 전투력 || - ||<-2> 리서치 ||<-3> 알/레이드 ||<-2> 레이드+날씨 ||<-3> 최대 Lv || ||<#CEFBC9> CP ||<-2> 909 ~ 959 ||<-3> 1212 ~ 1278 ||<-2> 1515 ~ 1598 ||<-3> 1897 ~ 2238 || ||<|2><-2> 획득 방법 ||<-2> 필드 ||<-3> 리서치 ||<-2> 알 ||<-3> 레이드 || ||<-2> O ||<-3> X ||<-2> X ||<-3> ~~★★★(덩쿠리)~~ || ||<-2><#CEFBC9> 포획률 ||<-10> 40% || ||<-2><#CEFBC9> 색이 다른 포켓몬 ||<-2> 있음 ||<-8><#fff><:> [[파일:pokemongo_465s.png|width=160px]] || 체육관 방어에 많이 쓰이는 [[샤미드]], [[갸라도스]], [[마기라스]]에게 강한 모습을 보인다. 4세대가 추가되면서 진화체인 덩쿠림보 역시 추가되었다. 신오의 돌을 이용하여 덩쿠리를 진화시키면 된다. 덩쿠리의 최대 CP는 2238이고, 덩쿠림보의 최대 CP는 3030. [[쁘사이저 #s-5.2|쁘사이저]]와 비슷하게 진화체가 없는 단일 개체였던만큼 덩쿠리 자체만으로도 CP 한계치에 달한 개체를 포획할 가능성이 높아 초반 요원으로 유용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2020년 3월 고 배틀리그 1시즌이 열린 현재 종합 순위는 슈퍼/하이퍼리그 모두 109위이다. 슈퍼리그의 경우 훨씬 좋은 성능을 보유한 트로피우스, 이상해꽃, 메가니움, 냄새꼬 등에 밀려 거의 나오지 못하고 있다. 풀 타입 중 거의 유일하게 원시의힘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유일한 차별점. 프리미어컵에서는 풀 타입 중 거의 유일한 스톤샤워 사용자라 토게키스, 리자몽, 갸라도스 등 비행 타입에게 대응할 수 있다. 2019년 밸런스 패치로 [[파워휩]]을 배움으로써 물 타입이 많은 프리미어컵에서 강캐로 거듭났고, PVE에서도 빠른 차징과 시전속도로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게 되어 풀타입 1티어 포켓몬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 기타 == 덩쿠리와 관련된 괴담이 있다. [[http://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5728746&memberNo=32578972&navigationType=push|참조]][* 그러나 [[원사운드]]가 동생에게 이야기를 듣고 해당 괴담으로 만화를 그리려 했으나 실제 의미심장하게 덩쿠리의 존재를 말하는 NPC는 없었다고 한다. [[http://www.thisisgame.com/webzine/series/nboard/213/?series=144&n=68919|#]] 몬쟈가 [[https://ja.m.wikipedia.org/wiki/%E3%83%A2%E3%83%B3%E3%82%B8%E3%83%A3|망자를 뜻하는 단어는 맞으므로]] 우연의 가까운 일치로 유저들 사이에서 만들어진 괴담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2세대 정발 소프트에서 덩쿠리의 이름은 덩'''구'''리였다. 그런데 사실 덩쿨이 아니라 [[덩굴]]이 맞춤법에 맞다. 어째서 수정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텅구리]]'''와 발음이 비슷해서거나, 꼬부기와 비슷한 사례일 것으로 보인다.] [[메가자리]], [[맘모꾸리]]와 함께 [[원시의힘]]을 배워야 진화하는 포켓몬 중 하나인데, 진화하니 확실히 고대 생물([[메가네우라]], [[매머드]])로 변한 메가자리와 맘모꾸리와는 다르게 덩쿠림보는 뭔 생물인 건지, 왜 원시의힘으로 진화하는 것인지 감도 안 잡힌다. 2세대 체험판이 공개되면서 거기에 덩쿠리의 베이비 포켓몬과 진화형으로 추정되는 포켓몬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즉 덩쿠림보는 원래 2세대에서 나올 예정이었지만, 잘렸다가 4세대에서 등장했던 것이다. 이를 볼때 덩쿠림보가 원시의힘으로 진화하는 건 삭제되었다가 다시 돌아온 이력에서 진화 조건으로 넣은 모양이다. 덩쿠리가 1세대에서는 특수치가 100으로 이 정도면 일단 다른 풀 타입 포켓몬에게 밀리지는 않는다. 민화가 덩쿠리를 멤버로 가지고 있는 이유를 알 만할 정도였다. 그러나 2세대에서 특방을 40으로 배정되어 사용하기 어렵게 되었고, 결국 4세대에서 진화체가 생겼다. 덩쿠리의 울음소리는 [[몬데그린]]으로 '''[[우마우마]]'''로 들리는 것으로 나름대로 유명하다. [[포켓몬스터 소드·실드]]의 포켓몬캠프에서 덩쿠림보를 꺼내놓으면 그 큰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팔을 앞뒤로 살랑살랑 흔들며 사뿐사뿐 뛰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 모습이 상당히 웃기면서도 귀엽다는 반응이 많다. == 삽화 == ||<-2>
'''{{{#fff 레드·그린·블루·피카츄}}}''' || || [[파일:114Tangela_RB.png|width=200]] || [[파일:114Tangela_RG.png|width=150]] || ||<-2> '''덩쿠리''' || [[분류:1세대 포켓몬]][[분류:4세대 포켓몬]][[분류:풀타입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