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데미안 허스트}}}[br]{{{+1 Damien Hirst}}}'''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데미안 허스트.jpg|width=100%]]}}} || || '''본명''' ||데미안 스티븐 허스트 (Damien Steven Hirst) || || '''출생''' ||[[1965년]] [[6월 7일]] ([age(1965-06-0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학력''' ||[[골드스미스 대학교]] 미술 전공 || || '''직업''' ||[[현대]][[미술가]] || || '''수상''' ||[[1995년]] 터너상 || || '''링크''' ||[[http://www.damienhirst.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hirst_official, 크기=22)] [[https://www.facebook.com/Damien-Hirst-official-111242142343717/|[[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현대 예술가. [[죽음]]과 [[부패]]를 표현한 [[포름알데하이드|포름알데히드]] 작품으로 터너상을 수상했다. [[미술]]과 [[과학]], [[대중문화]]의 전통적인 경계에 도전하는 설치작품, [[회화]], [[조각]]을 내놓고 있다. YBA(Young British Artist)로 불리는 1990년대 영국 현대 예술 조류에 속하는 예술가 중에서 가장 유명하고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하였다. 그가 가장 성공한 현대 미술가 중 한 명으로 꼽히는 데엔 이견이 없다. 지나치게 상업적이고 돈을 추구한다는 비판을 받아왔지만, 현대 미술계에서 상업성 추구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에 큰 비판은 아니었다. 그러나 아래에서 밝혀지듯 작품 가격을 부풀리기 위해 판매되지 않은 작품이 엄청난 가격에 거래되었다고 속인 것이 드러나면서 이러한 비판이 본격으로 대두되고 있다. == 상세 == [[영국]] [[브리스톨]]에서 태어나 [[리즈(도시)|리즈]]에서 자랐다. 학창 시절 성적은 그리 좋지 못했다고 한다. [[골드스미스 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했고, 학생전시회 '프리즈'(1988)의 큐레이터를 맡게 되면서 런던 미술계에 첫 발을 내딛었다. 광고계의 거물 찰스 사치는 허스트에게 강한 인상을 받았고, 이후 그의 수많은 작품들을 구입했다. == 작품 == [[1991년]], 허스트는 죽은 [[뱀상어]] 시체를 [[포름알데하이드|포름알데히드]]에 ~~푹 재워서~~ 넣은 다음 유리진열장에 넣고서 <살아있는 자의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물리적 불가능성(The Physical Impossibility of Death in the Mind of Someone Living)>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 ||
[[파일:VzT1UaL.jpg|width=100%]] || || 살아있는 자의 마음속에 있는 죽음의 물리적 불가능성, 1991 || 이 작품은 엄청난 논란을 일으켰는데 신선한 새로운 시도라는 평가부터 [[사기꾼]]이라는 평가까지 다양한 평가가 나왔다. 거기다 무려 800만 달러가 넘는 금액에 팔려나갔을 정도로 엄청난 작품성과 화제성을 자랑했다. 이 작품으로 사치 갤러리(Saatchi Gallery)[* '''奢侈''' 갤러리가 아니다.]를 소유한 찰스 사치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이후 다양한 작품을 내놓았다. 특히 <신의 사랑을 위하여(For the Love of God)[* 이 제목부터 일종의 언어유희인데, 문자 그대로는 '신의 사랑을 위하여'라는 뜻이지만 보통 미국 영어에서 'For the love of God!'이라고 하면 '젠장!' '제기랄!' 등 짜증을 나타내는 감탄사가 된다. 그래서인지 간혹 제목을 '빌어먹을'이라고 붙이는 사람들도 있다고...]>라는 작품은 백금을 입힌 인간의 두개골[* 고대 유적에서 발굴된 미라의 두개골을 허스트가 구매하여 만든 것이다. 원래는 수정으로 인간 두개골의 형상을 만들 계획이었으나, 그 모양을 재현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실제 인간의 두개골을 사용했다고 한다.]의 표면에 8,601개의 [[다이아몬드]]를 촘촘히 박은 것인데, 이 작품은 익명의 컨소시엄에 약 5,000만 파운드(£)에 거래되었다고 알려졌다. 허나 2022년 2월 3일 아트넷이 뉴욕 타임즈를 통해 이 작품이 거래된 적이 없다고 발표하면서 결국 '''본인 작품의 가격을 올리기 위한 자작극'''이었음이 드러나게 되었다.[[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life/amp/202202038121i|#]] ||
[[파일:external/media3.artspace.com/damien_hirst_damien_hirst_for_the_love_of_god_2_960x640.jpg|width=100%]] || ||신의 사랑을 위하여, 2007 || 허스트의 또다른 대표작인 <천사의 해부학(Anatomy of an Angel)>은 오른쪽 두개골과 [[근육]], [[유방(신체)|유방]]과 [[내장]] 등을 세심하게 표현함으로써 [[생명]]과 [[사랑]]의 상징인 [[천사]]와 [[죽음]]을 연관시켰다. ||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lyk5kkiPsK1qk38c7o2_1280.jpg|width=100%]] || ||천사의 해부학 || 허스트의 작품은 『 [[죽음]]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서 상당히 파격적이고 충격적인 묘사로 유명하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죽은 동물의 [[시체]]나 인간의 [[해골]], 심지어는 사람 장기모형(<찬가(Hymn)>)이나 파리 시체(<검은 태양(The Black Sun)>)로도 작품을 만든다.[* 파리의 경우는 살아있는 채로 작품이 되기도 한다. <천 년(A Thousand Year)>이라는 작품은 큰 수조에 칸을 두 개로 나누고 한 쪽에는 파리집과 전기충격기, 다른 쪽에는 소의 머리를 뒀다. 이는 파리가 소의 머리를 먹이로 번식하다가 전기충격기에 감전되어 죽도록 만들어진 것이다. 제목 <천 년>은 이 과정을 거의 천 년간 반복할 수 있다는 의미로 지어졌다.] 특히 위의 <찬가>라는 장기모형 작품은 장기 모형을 그대로 사람보다 더 크게 만든 것뿐이라 제작사들이 고소까지 했을 정도로 논란이 많았다. == 기타 == * 래퍼 [[Drake]]의 정규 6집 [[Certified Lover Boy]]의 앨범 커버를 디자인했다. * [[천안종합버스터미널]]에 허스트의 작품 몇 점이 전시되어 있다. 신세계 A관 앞에는 <자비(Charity)>, 아라리오 갤러리 유리벽 안쪽에는 <찬가(Hymn)>가 있으며,[* 다만 이 두점은 유일무이한 작품이 아니고 양산형에 가까운 작품이다.] 판화 작품도 인근 신세계백화점 내에 몇 점 걸려 있다. * [[29만원]]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다시 한 번 재조명되었다. 검찰이 [[전두환]]의 추징금 환수를 위해 전두환 일가의 각종 재산을 압수한 가운데서 허스트가 <신의 사랑을 위하여>를 판화로 만든 것을 전두환의 아들 전재국이 소장하고 있었다. 사실 이 판화는 2022년 기준 대체로 500~1000만원 아래 가격으로 서울옥션, 케이옥션 등의 미술품 경매로 구입이 가능한 작품이다만, 작가의 이미지가 워낙 초고가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유명세를 탄듯. 실제론 정작 이 판화의 곱절보다도 훨씬 더 비싼 박수근, 천경자, 이대원 등의 작품이 수두룩했다. * 다른 현대미술가들과 같이 판화 작품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작가가 워낙 유명한고로 무라카미 다카시와 함께 미술품에 입문하는 사람들이 많이 구입하는 작가다. 유니크 피스에 비해 판화는 가격도 그리 어렵지 않은 편이고 2020년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19 사태에 기부를 위해 판화를 여러 종 발매하기도 했다. *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프랑스 월드컵]]이 열리던 적에 배우이자 [[릴리 앨런]]의 아버지로 알려진 키스 앨런, [[블러(밴드)|블러]]의 베이시스트 알렉스 제임스와 응원가 그룹 Fat Les를 결성하기도 했다. 이 때 [[더 버브|버브]]의 Bittersweet Symphony를 패러디한 뮤직비디오를 제작했다. * 블러의 노래 중 Country House의 뮤직비디오를 감독한 사람이 이 사람이다. 멤버 중 그레이엄 콕슨과 알렉스 제임스가 학교 동문이다. * [[라스베이거스]] 팜스 카지노 리조트에 그가 디자인한 호텔 방이 있는데 숙박비가 무려 하룻밤에 십만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https://www.dezeen.com/2019/03/04/empathy-suite-damien-hirst-las-vegas/|#]] * [[앤디 워홀]]과 마찬가지로 상업주의에 과하게 치중한다는 비판이 많다. 근래에 찰스 사치와 결별한 후 사치가 사들인 작품들을 도로 사서 숨겨놨다가 더 비싼 값에 되팔거나, 작품을 갤러리를 거치지 않고 직접 경매장에서 비싼 값에 판매해 가격 거품을 초래하는 등 수작을 부리고 있다. 또한 자신의 작품의 이미지를 캐릭터 상품화해서 부수적인 수입을 거두고 있다. 미술계에서 [[돈지랄]]을 한 예술가가 한 두명이 아니지만 허스트의 경우 그 정도가 지나치다는 비판이다. == 관련 문서 == * [[현대미술]] [[분류:영국의 화가]][[분류:1965년 출생]][[분류:영국의 조각가]][[분류:골드스미스 대학교 출신]][[분류:브리스톨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