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 {{{#fff {{{+1 '''데발체베 전투'''}}}[br]'''[[우크라이나어|{{{#fff Бої за Дебальцеве}}}]]'''[br]'''[[러시아어|{{{#fff Бои в Дебальцева}}}]]'''[br]'''Battle of Debaltseve'''}}} || ||<-2> {{{#fff [[돈바스 전쟁|{{{#fff 돈바스 전쟁}}}]]의 일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Russian_Tanks_at_Debaltseve_,20150218.jpg|width=100%]]}}} || ||<-2> 데발체베에서의 러시아 육군 제5근위전차사단 소속 전차들 || ||<-2> '''{{{#fff 기간}}}''' || ||<-2> [[2015년]] [[1월 14일]] ~ [[2월 20일]] || ||<-2> '''{{{#fff 장소}}}''' || ||<-2>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데발체베]] || ||<-2> '''{{{#fff 교전국 및 교전 세력}}}''' || ||<^|1>[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include(틀:국기, 국명=도네츠크 인민공화국)][br][include(틀:국기, 국명=루간스크 인민공화국)][br][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 ||<-2> '''{{{#fff 지휘관}}}'''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세르히 샵탈라]][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세멘 세멘첸코[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이사 무나예프[[전사(죽음)|†]][br][[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3]] [[아담 오스마예프]] ||<^|1>[[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br][[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기.svg|width=23]] 알렉세이 모즈고보이 || ||<-2> '''{{{#fff 전력}}}''' || ||'''[[우크라이나군]]''' * 제57차량화여단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 [[돈바스 대대]] * [[조하르 두다예프 대대]] ||<^|1>'''[[도네츠크 인민 민병대]]'''[br]'''[[루간스크 인민 민병대]]''' * [[프리즈라크 여단]] 반군 10,000명[br]'''[[러시아 연방군]]'''[br]9000명 || ||<-2> '''{{{#fff 피해규모}}}''' || || ||<^|1> || ||<-2> '''{{{#fff 결과}}}''' || ||<-2> '''도네츠크, 루간스크, 그리고 러시아의 승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5년 1월 14일 ~ 2월 20일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데발체베에서 우크라이나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그리고 러시아 사이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 배경 == 데발체베는 여러 고속도로와 철도가 위치해 있는 전략적 거점이었다. == 전개 == [youtube(qBo_E7FPybw)] 러시아군 및 반군은 2015년 1월 말 데발체베의 서쪽 부흘레히르스크로 진격했으며 도시 남쪽에 위치한 리드코두브와 리키시네 마을을 점령해 도시의 삼면을 포위했다. 2월 9일에는 [[바흐무트|아르테미우스크]]의 본부 및 보급기지와 연결되는 M03 고속도로에 위치한 로흐비네 마을을 점령했다. 제2차 민스크 협정이 체결된지 이틀후 2월 14일 우크라이나군은 데발체베에서 철수를 시작했다. 민스크 협정이 체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군과 반군은 철수하는 우크라이나군을 공격해 100명이 사망하고 270명이 부상을 입었다. 2월 16일 데발체베 동부의 우크라이나 방어선이 무너져 루한스케와 초르누히네 마을이 점령되었다. 도시 안의 우크라이나군도 2월 18일 철수를 시작했으며 러시아군 및 반군이 데발체베에 진입해 노보로시야 국기를 게양했다. [[분류:돈바스 전쟁]][[분류:지상전]][[분류:2015년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