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esVolstgalph-ST14-KR-C-1E.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데스 볼스트걸프'''|| || 일어판 명칭 ||<-4>'''デス・ヴォルストガルフ'''|| || 영어판 명칭 ||<-4>'''Des Volstgalph'''||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드래곤족]] || 2200 || 1700 || ||<-5>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br]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또는 상대가 일반 / 속공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은 200씩 올린다.|| ①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시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데미지 화력은 [[파이어 볼(유희왕)|파이어 볼]] 수준이라 미묘하다. ②의 효과는 일반 마법 / 속공 마법을 발동할 때마다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강화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 상승 수치 역시 미약하긴 마찬가지인데다, 턴 종료시까지밖에 유지되지 않으므로 매우 불안정하다. 원래 공격력 자체도 그리 높지 않아 ②의 효과를 1번도 발동해두지 않으면 상급 몬스터의 공격력 표준치인 2400에도 못 미친다. 반대로 원래 하급 몬스터 정도라면 충분히 상대가 가능하니 강화 효과가 도움이 안 되는 수준까지는 아니다. 본토인 일본에서는 [[듀얼리스트의 투혼]]을 통해 [[호루스의 흑염룡]]이 등장하기 전까지 [[카이저 글라이더]]와 함께 드래곤 덱에 투입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릴리스 하나로 나올 수 있는데다가, 하급 어택커 라인이었던 1900을 전투로 파괴가 가능한 공격력을 가진 드래곤족이 귀중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현 시점으로 보자면 효과가 여러모로 미묘해서 실전 가치는 낮다. 몬스터를 파괴해 주는 대미지도 짜고, 파괴한 몬스터가 제외되면 대미지를 줄 수 없다. 공격력도 상급치곤 불안하고 마법 카드 한 장 발동해야 겨우 2400으로 싸울 만해진다. 거기에다 [[화이트 혼즈 드래곤]]이 공격력과 종족, 레벨이 같고 효과는 더 우수하다. 한국에는 오랫동안 정발되지 못했다가, 대회의 참가 증정 팩에서 첫 수록. 이후 스타터 덱 강화팩 재록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유희왕]] 시리즈의 원작자인 [[타카하시 카즈키]]가 직접 디자인한 몬스터 중 하나로, 원작 코믹스에 직접 등장한 적은 없지만 코믹스판 29권에서 이 몬스터의 러프 일러스트가 실린 적이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어둠의 유우기]]가 [[죠노우치 카츠야]]와 함께 한 [[빅5(유희왕)|빅5]]와의 듀얼에서 딱 한 번 사용했다. [[카드 파괴]]로 묘지로 간 [[버스터 블레이더]]를 제외하여 특수 소환된 [[암석의 정령 타이탄]]을 릴리스해서 소환한 뒤에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을 세트해놓고는, 상대인 [[오오타 소이치로]]가 함정 카드라는 걸 눈치 채고 무심코 [[태풍(유희왕)|태풍]]을 발동시키도록 유도했다. 함정이 없어졌다고 좋아라 하면서 [[기계왕]]으로 공격하지만, 이 카드의 효과로 공격력이 2400이 되면서 기계왕은 파괴당하고 총 600데미지를 준다.[* 어둠의 유우기의 특기인 심리전이 유난히 돋보이는 듀얼이었는데, 듀얼 초심자인 상대를 만만하게 보는 척을 한 것으로 함정을 이중으로 깔고, 도발을 하여 공격대상을 죠노우치에게서 자신으로 돌려버리기까지 한 것. 죠노우치가 진짜로 당황한 것도 오오타가 낚이는데 한 몫했다. 어둠의 유희는 연기라고 생각했지만.] 그리고 다음 유우기 자신의 차례에 직접 공격을 해서 [[빅5(유희왕)|빅5]]의 라이프 포인트를 크게 깎아내렸다. 다음 턴에 나선 [[다이몬 코고로]]가 [[욕망의 항아리]]를 발동하자 다시 공격력이 2400으로 오르지만, 바로 다음에 소환한 [[주사천사 리리]]의 효과로 인해 공격력 3400이 되어 바로 전투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에서는 [[미스터 T(유희왕)|미스터 T]]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3차전에서 사용. 소환되지 않고 [[미래융합-퓨처 퓨전]]의 효과로 [[스피어 드래곤]], [[레어메탈 드래곤]], [[헬 드래곤]], [[스피릿 드래곤]]등 다른 4마리의 드래곤족과 함께 묘지로 보내진 뒤, [[용의 거울]]로 [[F·G·D]]의 융합 소재가 되며 제외되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6 익스퍼트 2|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6 エキスパート2 予約特典カード]] || G6-01 || [[울트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3 ]] || TP03-JP001 || [[노멀]][br][[패러렐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 2014|スターターデッキ 2014 強化パック]] || ST14-JPA02 || [[노멀]] || 일본 || 절판 || || [[주간 소년 점프|Shonen Jump Championship 2005 Prize Card]] || SJC-EN002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br]절판 || || Pharaoh Tour 2005 promotional cards || PT1-EN002 || [[울트라 레어]] || 유럽 || 절판 || || [[골드 시리즈|Gold Series 2009]] || GLD2-EN002 || [[골드 레어]] || 미국 || || || Premium Gold || GLD2-EN002 || [[골드 레어]] || 미국 || || || Super Starter Power-Up Pack || YS14-ENA02 || [[노멀]] || 미국 || || || [[토너먼트 팩|토너먼트 팩 2009 Vol.3]] || TP03-KR001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br]절판 || || [[스타터 덱 2014|스타터 덱 2014 강화팩]] || ST14-KRA02 || [[노멀]] || 한국 || 절판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esVolstgalph-DM7-JP-VG.png]] || 한글판 명칭 ||<-4>'''데스 볼스트걸프'''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デス・ヴォルストガルフ'''|| || 영어판 명칭 ||<-4>'''Des Volstgalph'''||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흙마족 || 드래곤족 || 2200 || 1700 || ||<-5>적의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 적에게 500의 직접 데미지 효과를 가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에서부터 등장. 상대 필드에서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를 파괴하고, 상대 라이프에 500 포인트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유우기가 아닌 [[시몬 무란]]을 통해 입수할 수 있다. == 관련 카드 == === [[맘모 파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