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쿄류 네이비, rd1=키류 다이고, paragraph1=2.2.6)]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데보스 군)] [[파일:데스 다이노.png]] [목차] == 소개 == デスリュウジャー/獰猛の戦騎D >{{{#navy,#7f7fff '''"영맹(獰猛)의 전기 데스류저(恐龍邪)"'''}}}[* 여기서 영맹(獰猛)이란 모질고 사납다는 뜻이다.][* 앞의 恐을 데스로 읽는 것은 전형적인 A라 쓰고 B로 읽는다 식의 [[언어유희]]. 뒤의 류저(龍邪)는 읽기를 [[가타카나]]로 쓰면 リュウジャー, 즉 쿄류저를 한자로 쓸 때(强龍者)에 붙는 "龍者"와 [[일본어]] [[언어유희|읽기가 같다.]]] [[수전전대 쿄류저]]의 극장판인 [[수전전대 쿄류저 THE MOVIE - GABURINCHO OF MUSIC|GABURINCHO OF MUSIC]]의 메인 빌런이자 [[최종 보스]]. 성우는 [[미야노 마모루]][* [[울트라 시리즈]]에서 [[울트라맨 제로]]를 연기했다. 악역이기는 하지만 이게 미야노 마모루의 첫번째 전대 녹음 캐릭터다.] / [[김혜성(성우)|김혜성]].[* 이후 [[수리검전대 닌닌저|파워레인저 닌자포스]]에서 [[이가사키 타카하루|주역]]을 맡는다.] 국내명은 '''데스 다이노''' / '''만용의 용사 D'''[* 만용(蠻勇). 분별없이 함부로 날뛰는 용맹을 뜻한다. 더빙판에서는 데보스 군 간부들의 ~의 전기(戦騎)라는 식의 이름들을 행적에 걸맞는 직업으로 번역했는데, 쿄류저(다이노포스) 멤버들 전원이 '~의 용사'라는 칭호를 갖고 있다는 점, 용기를 강조한다는 걸 생각하면 그들의 안티테제로서 무척이나 적절한 번안.] 전용 캐릭터 송은 [[https://youtu.be/mTDCmK14q1g|전율과 선율~D의 테마]]. [[우도 노부하루|놋 상]] 왈, '''"짝퉁 쿄류저."'''[* 국내판에선 '''다이노포스를 흉내내면 확 Die하는 수가 있다이!'''라는 대사로 나온다.] == 주 무장 == 데스류저는 카오스가 슈트를 장착시킨 채로 부활시켰고 데스류저에게 건넨 수전지도 어디까지나 공격용이라 변신도구는 없다. * 주요 아이템 - {{{#navy,#8080FF '''데스류저 수전지'''}}}: 데스류저 전용 수전지로 '데보스 인'이라 인풋하며 플루트 버스터 필살기 발동에 쓰인다. 수전지 코드는 D로 금빛 바탕과 토바스피노 머리색의 라인에 토바스피노 수전지와 같은 음성기믹이다. 또한 데스류저 수전지중 하나를 '''토바스피노 데보스 수전지'''로 바꾸어 데보스 인 해 토바스피노를 깨우기도 했다. * 개인 무장 [[파일:플룻 버스터.jpg|width=500]] {{{#navy,#8080FF '''플루트 버스터'''}}}: 토바스피노의 볏을 형상화한 무기. 검, 플루트, 부메랑을 겸한다. 플루트로서 연주하면 수전룡들의 생체 리듬을 대폭 약화시키는 사악한 멜로디를 발한다. 미코가 연주했을 때는 쿄류저에게도 타격을 주었다. [[파워레인저 코스믹퓨리]]에서 아군 측 전사로 나왔을 때는 전용 변신기의 기능도 겸했다.[* 그냥 무기를 소환하고, 부메랑 형태로 변형시킨 뒤, 하늘로 치켜들며 변신구호('''"Unleash the power!"''')를 외치면 변신된다.~~실제로 보면 뭔가 성의없어 보인다.~~] * 탈 것 [[파일:d레이서.jpg|width=500]] {{{#navy,#8080FF '''D 레이서'''}}}: 데스류저의 바이크로 [[디노체이서]]와 달리 수전지 없이 탈 수 있다. 옆면에는 토바스피노의 마크와 이빨 무늬가 세겨져 있다. 쿄류 레드와의 전투 도중 쿄류 레드의 수전 브레이브 피니시에 파괴된다. * 필살기 - {{{#navy,#8080FF '''마악장 데보스 피니시'''}}}: 데보스 인 한 데스류저 수전지를 플루트 버스터에 장전한 다음 토바스피노의 머리를 본뜬 에너지 탄을 쏘는 필살기. [[켄트로스파이커]] 수전 브레이브 피니시를 가볍게 꿰뚫는 위력을 자랑한다. 극장판 후반부에서는 '''최종악장 데보스 피니시'''라고 외친다. - {{{#navy,#8080FF '''최종악장 데보스 피니시'''}}}: 데스류저의 모습이 아닌 D의 모습으로 날리는 필살기로 괴수의 머리와 목을 연상하게 하는 검으로 괴수의 머리를 본뜬 에너지탄을 쏘는 필살기. == 행적 == === 극장판 === ||<-5> '''[[파일:슈퍼전대 로고.png|width=180]][br][[슈퍼전대 시리즈|{{{#fff 슈퍼전대 극장판 시리즈의 최종보스}}}]]''' ||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VS 해적전대 고카이저 THE MOVIE|특명전대 고버스터즈[br]VS 해적전대 고카이저 THE MOVIE]] ||<|2> → || '''[[수전전대 쿄류저 THE MOVIE - GABURINCHO OF MUSIC|수전전대 쿄류저 THE MOVIE[br]- GABURINCHO OF MUSIC]]''' ||<|2> → || [[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 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수전전대 쿄류저 VS 고버스터즈[br]공룡대결전 안녕히 영원한 친구여]] || || [[특명전대 고버스터즈 VS 해적전대 고카이저 THE MOVIE#s-4|바커스 길]] & [[엔터(특명전대 고버스터즈)|엔터]] || '''데스류저''' || [[우주 대 공룡 보르도스]] || > '''"나는 데스류저, 그 이름도 D다."'''[* 국내판은 '''"나는 데스 다이노, D라고들 부르지."'''] 본명은 '''"영맹(獰猛)의 전기 D."''' 1억년 전 초고대 문명시기에 공룡의 감정을 채취하기 위해 [[백면신관 카오스]]가 만든 [[데보스 군]] 최초의 전기였으나 아마노 미코토의 일족이 조종하는 [[수전룡]] [[토바스피노]]에 의해 쓰러졌었다. 이후 오랜 시간이 걸려 1억년 뒤의 현대에 데스류저의 장비와 수전지를 카오스에게 받고 부활한다. 성격은 영맹의 전기라는 이름답게 사납고 호전적이며 도골드 이상으로 폭력적이다. 싸움을 요구하는 끝없는 욕망은 카오스도 전율시킬 정도이지만, 수령인 데보스에 대한 충성심은 없다. 카오스가 만든 최초의 전기인 만큼 압도적인 힘으로 수전전대를 위협한다. 환상의 [[수전룡]] 토바스피노를 손에 넣고자 초고대의 음악의 힘을 가진 미코를 노리고 있었으며, 플룻 버스터에서 나오는 사악한 멜로디로 미코를 고통스럽게 함과 동시에 쿄류저들을 순식간에 제압, 미코를 납치한다. 이후 스스로 [[데보스 군]]과 결별하면서 그녀의 힘으로 토바스피노를 장악하는데 성공하자, 곧바로 다른 수전룡들을 토바스피노로 제압하고 안키돈과 분파키를 뺴앗아 [[스피노다이오]]로 강제 물어뜯기 합체를 한뒤, 쿄류저들을 위협하면서 스피노다이오가 만든 '''초파멸광탄(파멸섬광탄)'''으로 지구를 파괴하고자 시도한다. 그러나 [[프테라고돈]]과 쿄류저들에게 다시 방해를 받더니 [[라이덴 쿄류진]]과의 치열한 접전 끝에 스피노다이오 내부에 처들어온 [[키류 다이고]]와 부딪치게 되고, 결투 중 다이고와의 결전에서 스스로 헬멧을 벗어 맨 얼굴을 드러냈다.[* 이때의 맨 얼굴은 아래 사진의 빨간 부분이 스틸 블루 비슷한 색이다.] 그리하여 다이고를 궁지에 몰아붙이나, 미코의 노래로 '''쿄류 레드 가블 암드 온 모드'''로 파워 업한 다이고에게 밀린다. 그러다 [[스피노다이오]]로 부터 떨어지면서 다이고를 붙잡고 같이 죽으려하나, 쿄류 레드의 필살기를 맞고 최후를 맞이한다. === TV 본편 === [include(틀:슈퍼전대 시리즈의 신규 악역)] [[파일:attachment/데스류저/D.png]] ||신장 : 198cm (거대화 복원시 신장 : 49.5m) 체중 : 172kg (거대화 복원시 체중 : 425t) || 그러나 39화에 데스류저가 아닌 D의 본 모습으로 대지의 어둠에서 부활. 디자인 모티브는 아마도 도로시의 애완견 [[토토]][* 잘 보면 머리와 양 팔목에 개의 머리 모양이 연상되는 조형이 있다. 개 머리가 셋인 걸 보아 [[케르베로스]]도 디자인에 영향을 줬을지도.], 트럼프의 에이스. 복원수의 샘을 지키는 캄브리 마를 조종해 플룻 버스터와 복원수를 강탈해간다.[* 데스류저 슈트와 데스류저 수전지는 사용하지 않았다. 미코토가 갖고 있기 때문인것 같긴한데 본편 내내 그 미코토를 세뇌해서 부려먹었음을 생각하면 못 쓸 이유는 없다. 아마 부활하면서 얻은 힘으로 인해 토바스피노나 수전지에 흥미를 잃은게 아닐까 싶다.] 가끔 간혹가다 복원수를 '''술 들이키듯이''' 줄창 마셔대는데, 새로운 힘이 너무 강해서 몸까지 없애버리기 때문에 복원수를 조금씩 마셔야 한다는게 그 이유다. 해외에서 미코를 조종해 플룻 버스터를 연주하게 하며 쿄류저 멤버들을 일방적으로 공격해서 패퇴시켰다. 그리고 방송국을 장악해서 흑화한 미코가 연주하는 멜로디를 퍼뜨려 대지의 어둠에서 데보스 군을 모두 부활시켜 자신의 수하로 만드려고 했으나 멤버들의 방해로 실패하고 10명의 멤버가 전부 모여서[* 이에 대비해 영맹의 힘으로 폭주시킨 조리 마를 1000명이나 보내서 [[라미레스(수전전대 쿄류저)|라미레스]]와 [[텟사이]], 그리고 [[현신 토린|토린]]을 공격하게 했으나, 멀쩡하게 나타나 '''"우리를 상대로 1000명은 좀 적지 않은가?(고작 1000명으로 우릴 상대하려 했다니, 그거야말로 진짜 헛꿈 같은데?)"'''라는 소릴 들었다.] 멜로디를 공명시키자 미코의 흑화가 풀린다. 미코를 다시 흑화시키려고 하나 다이고에게 저지당하고 미코가 가져온 토바스피노의 수전지로 무장한 쿄류 레드 삼바 카니발 스페셜에게 당한다. 복원수로 거대화해서 쿄류저 멤버들과 함께 [[자폭]]하려고 했으나 미코의 노래를 들으면서 괴로워하더니, 이전에 자신이 조종하던 [[스피노다이오]]에게 크게 당하면서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이 노래에 고통받을 줄이야..."'''라는 유언을 남기며 장렬하게 폭사한다. == 기타 == * '''전대 캐릭이 악역인 점과 무기가 악기를 겸한다는 점'''에서 거의 역대 공룡 모티브 전대의 [[브라이(공룡전대 쥬레인저)|신전사]] [[나카다이 미코토|기믹]]을 이쪽으로 옮긴 케이스.[* 하지만 이쪽은 저 두명과 달리 아군이 되지 않았다.] '''또한 인간이 아닌 존재가 변하는 전사 중 유일한 악역이다.'''[* 동물 형태의 전사로는 [[도기 크루거]]가 최초이고, 비인간 전사로서는 [[비트 J. 스태그]]가 최초이다. 하지만 데스류저와 비교하면 이쪽은 선역이며, '''여태껏 슈퍼전대 시리즈 중 인간이 아닌 존재가 악역 전사가 되는 것은 수전전대 쿄류져가 처음이다.'''] * 이전에 색상으로 인해 쿄류 네이비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파일:네이비 다이노.png]] * [[돌아온 수전전대 쿄류저 100 YEARS AFTER]]에서는 토바스피노의 파트너가 된 100년 후의 쿄류저가 변신한 진짜 쿄류 네이비가 등장한다.[* 사실은 자신의 진정한 색을 찾지 못해서 어찌어찌 발견된 수전지를 골라서 변신한 것이다. 자신의 색을 찾아낸 이후에는 레드로 변신한다.] 차이점은 양팔이 붉은색이 아닌 푸른색으로, 헬멧의 붉은 부분은 하얗게 바뀌었고, 오른팔의 신경배돌기 형상 암드 온은 사라졌다. 이 쿄류 네이비가 본래 모습이고 데스류저 버전이 악에 물들어버린 흑화버전일 가능성이 높다. * 악의 간부가 전대 슈츠를 착용한 희귀한 케이스에[* 이와 비슷하게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VS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에서 우주인군 쟈칸쟈의 2본창과 7본창을 제외한 암흑 7본창이 가오레인저로 변신한게 있다.] 극장판에서 간지를 뿜어댔지만 극장판 캐릭터+단역이라는 입지 때문인지 데보스 간부 중 가장 인지도가 낮다. 심지어는 그냥 데보 몬스터 취급도 당하고 있다.[* 이후 [[임금님전대 킹오저]]와의 콜라보 에피소드에서 등장하는 [[데보 센킹]]은 본편의 데보스 군 간부들의 모습을 융합한 외형인데 D 역시 반영되었지만 '''등판 부분에 달려있어서'''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다(...)] * TV 본편의 본래 모습이 고어하면서도 섬짓한 편이다. 각종 뿔과 털, 빨간색이 부각되는 디자인은 쌍팔년도 전대 최종보스들과 맞먹거나 능가하는 무서움을 보여준다. * 오른팔의 암드 온 장갑과 왼쪽 어깨는 금색에 스피노사우루스의 신경배돌기 형상이다. 100년후의 이야기에서 나온 쿄류 네이비는 어깨만 유지된 것을 보아 금색 암드 온이 데스류저의 상징인 듯. * [[파워레인저 다이노차지]] 본편에선 미등장했으나 붐 스튜디오 MMPR 코믹스에서는 헥클이 변신한 모습으로 나오며 원작과 달리 [[다크 히어로]]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연구가 불완전한 상태에서 변신했던 지라 힘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해 자신의 또다른 인격인 스나이드로 흑화하고, 뒤늦게 달려와 이를 목격한 제노윙의 희생으로 다시 헥클의 인격을 되찾게 해주지만 오히려 헥클은 자신의 실수로 제노윙이 희생했다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고향 행성[* 센타이 6(Sentai 6). 이름의 유래는 파워레인저의 원작인 [[슈퍼전대 시리즈]]의 영문 발음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을 영원히 떠나게 된다.[* 이후 코스믹퓨리에 등장 예정이다.] 또한 괴인체의 모습은 배두사(Badussa)라는 명칭으로 리메이크되면서 다크 레인저와는 관련이 없는 별개의 괴인으로 등장한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수전전대 쿄류저)] [[분류:데보스 군]][[분류:슈퍼전대 시리즈/악의 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