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곤충족]] [[유희왕]]의 최상급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DreadscytheHarvester-JP-Manga-R-NC.png]] || 한글판 명칭 ||<-4>'''데스사이즈 킬러'''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デスサイズ・キラー'''|| || 영어판 명칭 ||<-4>'''Dreadscythe Harvest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바람]] || [[곤충족]] || 2300 || 1600 || ||<-5>아군의 몬스터를 제물로 바치는 것으로 공격력이 언제든 그 제물의 공격력만큼 오른다.|| [[유희왕 R]]에서 등장한 [[카드 프로페서]] 멘도 시노의 에이스 카드. 여기서는 상대 턴에도 곤충족을 제물로 바칠 수 있었으며, 공격력이 제물이 된 곤충족의 공격력만큼 올라가는 강력한 효과였다. 작중에서는 공격력 500의 '베이비 사마귀(ベビーカマキリ)'를 제물로 바쳐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소환하여 죠노우치를 몰아붙이던 도중, 결국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를 공격했다가 [[오른손엔 방패 왼손엔 검]]으로 공수가 역전된 후에 [[시간의 기계-타임머신]]으로 다시 돌아온 사이코 쇼커에게 맞아죽는다. 공격명은 '데스사이즈 헬([ruby(地獄の大鎌, ruby=デスサイズ・ヘル)], Deathscythe Hell)'. === [[유희왕/OCG|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21072_1.jpg]] || 한글판 명칭 ||<-4>'''데스사이즈 킬러'''|| || 일어판 명칭 ||<-4>'''デスサイズ・キラー'''|| || 영어판 명칭 ||<-4>'''Dreadscythe Harvest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바람]] || [[곤충족]] || 2300 || 1600 || ||<-5>①: 이 카드 이외의 자신 필드의 곤충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자신 필드의 곤충족 몬스터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강화하는 [[기동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곤충 여왕]]과 함께, 같이 발매된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과는 너무나도 비교되는 성능으로 인해 사용률이 처참하다. [[기가플랜트]]나 [[대타 메뚜기]] 등 곤충족은 은근히 상급 몬스터를 소환하기가 쉽기에 그렇다 치더라도, 기본 능력치가 너무나도 낮다. [[제왕(유희왕)|제왕]]도 못 이기는 씁쓸한 공격력. 그냥 사용하면 [[일반 몬스터]]인 [[철강 장갑충]]한테도 밀리고, 효과를 웬만큼 써먹으려 해도 [[데블도우저]]에 밀린다. 일단 효과의 사용 횟수에 제한이 없으므로, 여러 번 사용할 수만 있다면 웬만한 곤충족 어태커를 뛰어넘을 수는 있다. [[바퀴볼|고키폴]]을 릴리스하면 해당 카드의 효과로 곤충족 [[일반 몬스터]]를 리크루트할 수 있어 또 1장의 릴리스를 확보할 수 있다. [[G 볼파크]]라면 곤충족 [[일반 몬스터]]를 3장 전개해볼 수도 있다. [[DNA 개조 수술]]로 곤충족을 지정하고, [[희생양(유희왕)|희생양]] 등으로 릴리스를 확보하거나 [[웜 베이트]]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실전성은 딸리지만 [[DNA 개조 수술]] + [[볼트 고슴도치]] + [[왕궁의 철벽]] + 튜너 조합으로 [[원 턴 킬]]도 가능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익스팬션 팩]] Volume.3 || ESP3-KR064 || [[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V점프]] 정기 구독 특전 || VJMP-JP015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2010 Collectors Tins || CT07-EN01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