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데스티니 가디언즈]]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데스티니 가디언즈)] [include(틀:데스티니 시리즈)] [[파일:S18 KO Official.jpg]] [목차] == 개요 == ||
[youtube(Vd4XcH1Iqkg)] || || '''데스티니 가디언즈 : 마녀 여왕 - 우주 해적 시즌 트레일러''' '''Destiny 2: The Witch Queen - Season of the Plunder Trailer''' || '''18 시즌: 우주 해적 시즌 (Season 18: Season of Plunder)''' 최대 전투력: '''1580''' 2022년 8월 24일 출시.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6번째 확장팩인 [[데스티니 가디언즈/마녀 여왕|마녀 여왕]]의 세 번째 시즌이다. 원제는 '''약탈의 시즌'''이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우주 해적 시즌으로 번안되었다.[* 이는 단순히 몰락자를 약탈자로 뜻하기보단 게임 내에서 우주,그것도 해적포지션인 몰락자 자체를 해석한것으로 보인다.] == 스토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18-media-wallpaper-full-3.jpg|width=100%]]}}} || >'''별빛 항해: 부활한 함선강탈자''' >[[목격자(데스티니 시리즈)|어둠]]의 도움으로 [[에라미스]]가 얼음 감옥에서 탈출하여, [[몰락자(데스티니 시리즈)|엘릭스니]] 전설의 옛 해적 군주들을 규합하고 잃어버린 강력한 성물을 되찾으려 합니다. 여러분이 먼저 그 성물을 손에 넣어야 합니다. 끝도 경계도 없는 장소에 보물이 숨겨져 있습니다. 선원을 소집하세요, 수호자. * [[데스티니 가디언즈/빛의 저편|빛의 저편]] 확장팩의 최종보스 어둠의 켈, '''에라미스'''가 복귀한다. * 목격자는 에라미스를 해동시키며 태양계에 흩어져있는 네자렉의 유해를 모으도록 지시했고 이를위해 에라미스는 옛 선원들에게 집결 명령을 내린다. 이를 막기위해 빛의 켈, [[미스락스(데스티니 시리즈)|미스락스]]는 이들을 얕잡아봐서는 안된다며 선봉대 전체가 결집할것을 요구하고 그녀를 저지할 계획을 세운다. * 스토리에선 에라미스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밝혀지는 엘릭스니 인물들의 서사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 상세 내용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c 3.0_2.gif|width=100%]]}}} || * '''[[전기(데스티니 가디언즈)|전기 3.0]]''' * 전기 하위직업이 상,조각 시스템으로 개편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J_30th_Dares_Weapons_16-9.jpg|width=100%]]}}} || * '''[[데스티니 가디언즈/무기/무기 제작|무기 제작]] 관련''' * '''[[데스티니 가디언즈/시즌 활동#s-2.1|영원의 도전]] 무기 제작''' 패턴 해금및, 신규 특성 추가와 기원 특성 추가. * 심안 공명이 부여된 무기를 즉시 분해하면 즉시 중립의 원소를 100개 획득함. 진척도를 채워서 분해할경우 300개 획득. * 침수 합금의 이름이 조화 합금으로 변경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itch_Queen_Reveal_PressKit_Gear_002.jpg|width=100%]]}}} || * '''무기''' * [[데스티니 가디언즈/무기/월도|월도]]의 근접 공격이 무기 판정에서 근접 공격 효과가 적용되어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타이탄 방어구#s-3.1|ACD/0 반사벽]]''',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워록 방어구#s-3.11|카른슈타인 팔 보호구]]''',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워록 방어구#s-3.2|괴사성 손아귀]]'''의 경이 본질이 발동됨. * 무기의 [[데스티니 가디언즈/무기#s-7|히든 수치]]인 공중 효율, 반동 방향, 확대/축소, 조준 보정 수치를 상세 정보 화면에서 볼 수 있음. * 특수 화기 유탄발사기의 2열에 붙는 특성인 충격 수류탄이 삭제됨.[* 본래 충격수류탄에 적중다하면 에임이 확 꺾여 cc기를 거는 효과였으나 PvE/P를 막론하고 실명 수류탄의 하위 호환이라는것과 새롭게 개편된 전기 3.0의 충격과 명칭이 겹치기 때문.][* 이로인해 기존 실명 수류탄의 명칭도 혼란의 수류탄으로 변경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R_Raid_PulseRifle_16-9_1.jpg|width=100%]]}}} || * '''경이 무기''' * [[천둥의 왕]]: 고유 '''과부하'''[[파일:overload.svg|width=15]] 추가. *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에너지 무기#s-7.1|르 모나르크]]: 고유 '''과부하'''[[파일:overload.svg|width=15]] 추가. * [[불법 무기(데스티니 가디언즈)|불법 무기]]: 본질 폭발 음영에 고유 '''저지불가'''[[파일:stagger.svg|width=15]] 추가. *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물리 무기#s-7.1|소원 종결자]]: 고유 '''대방어막'''[[파일:pierce.svg|width=15]] 추가. * [[아크리우스의 전설]]: 촉매제 효과에 '''트렌치 배럴''' 특성이 추가됨. * [[망자의 이야기]]: 더이상 두개골 가시가 수호자에게 추가 피해를 제공하지 않음. *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에너지 무기#s-2.1|공동의 의무]] * 공허 흡수의 '''재사용 대기시간 제거.''' * 공허 흡수를 완전히 충전하는데에 필요한 타격 횟수 감소. * 약화 효과가 적용된 대상 처치시 공허 흡수가 즉시 충전됨.[* 단, 본인의 억압 수류탄으로는 발동되지 않음.] * 그림자 유지의 보호막이 공허 보호막과 연계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Gear_COMPRESSED_0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Gear_COMPRESSED_004.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Gear_COMPRESSED_005.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Gear_COMPRESSED_006.jpg|width=100%]]}}}|| * '''신규 경이 무기 및 방어구''' *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에너지 무기#s-10.3|섬세한 묘비]]'''[* 시즌 패스 소유자는 레벨 1에서, 미소유자는 레벨 35에서 얻을 수 있다.] * 기존의 융합소총과 달리 볼트를 횡으로 발사하는 신규 융합소총으로, 전기 3.0의 [[전기(데스티니 가디언즈)#s-1.1|이온의 흔적]]을 수집하면 적에게 충격을 부여하는등 근중거리 광역 몹 처치에 특화된 경이 융합소총. *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헌터 방어구#s-4.9|흰매의 사슬갑옷]]''' * 공허 3.0의 일촉측발 효과를 극대화시켜 운용할수있는 경이 방어구. *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타이탄 방어구#s-3.11|점접촉 대포 버팀대]]''' * 전기 3.0의 새롭게 추가된 우렛소리 근접 능력의 효율을 높혀주고 단점을 보완해주는 경이 방어구. *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워록 방어구#s-2.4|몰락자 썬스타]]''' * 이온의 흔적의 성능과 효율을 극대화시켜주고 아군을 포함해 능력재생 순환에 도움을 주는 경이 방어구. === 시즌 컨텐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Eliksni_Social_Space_COMPRESSED_003.jpg|width=100%]]}}} || * '''함선강탈자의 항해: 닻을 올려라''' * 범선파괴 임무에서 {{{#56aacd 지도 조각}}}을 발견하고 플레이리스트와 기타 활동을 완료해 {{{#56aacd 보물 좌표}}}를 찾아내세요. * 해적 은신처에서 유물을 가져오세요. 미스락스와 아이도가 연구하여 무언가 알아낼지 모릅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Ketchcrash_6_Player_COMPRESSED_001.jpg|width=100%]]}}} || * '''6인 활동: 범선 파괴'''[*매칭 상대 찾기 지원.][*마스터 상대 찾기 지원 안함.] * 새로운 6인 활동 '''함선 전투'''에 참여하여 에라미스와 해적 선원들이 은하계에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저지하세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Vendor_Helm_COMPRESSED_001.jpg|width=100%]]}}} || * '''항해 인터페이스: 별자리표''' * 개조한 엘릭스니 우주 비행 기술입니다. * 명성을 얻어 해적 선원들을 고용하고 그들을 훈련시켜 승급하세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Expedition_3_Player_Cosmodrome_LARGE_001.jpg|width=100%]]}}} || * '''3인 활동: 원정'''[*매칭 상대 찾기 지원.] * 보물 지도를 완성하여 보물을 발굴하고, 적 해적 선원들과 맞서며 함선으로 돌아가세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Pirate_Hideout_issions_Sharpshooter_COMPRESSED_005.jpg|width=100%]]}}} || * '''주간 임무: 해적 은신처''' * 주간 임무를 수행하고 은신처에 숨겨져 있는 강력한 성물을 해적 군주들에게서 회수하세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Gear_COMPRESSED_012.jpg|width=100%]]}}} || * '''X표시가 있는곳: 수수께끼 4행시''' * 숨겨진 암호를 해독하여 위치를 찾아내 행성계 어딘가에 숨겨져있는 전리품을 획득하세요. === 추가 활동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ng_s_Fall_Center_4K.jpg|width=100%]]}}} || >드레드노트의 가장 깊은곳에서 오릭스가 어둠의 힘을 사용하려합니다. 화력팀을 집결시켜 굴복자의 왕의 은신처로 침투하세요. >---- >콘테스트 모드 오픈 * '''[[왕의 몰락]]''' *전작 [[데스티니(게임)|데스티니]]의 세번째 DLC [[데스티니: 굴복자의 왕|굴복자의 왕]]에서 추가된 왕의 몰락이 복각된다. *복각인 만큼 각종 무기들의 특성과 프레임이 변경되었으며, 신규 도약선과 참새등 수집품이 추가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rucible_cathedral_of_dusk.jpg|width=100%]]}}} || * 복각 '''시련의 장''' 지도 '''황혼 성당''' 왕의 몰락 레이드가 돌아옴과 동시에 1편에 있던 드레드노트에 딸려있는 PvP맵도 같이 돌아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J_FotL_KeyArt_16-9.jpg|width=100%]]}}} || * '''2022 사자들의 축제''' == 평가 == === 긍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KingsFall_Raid_Press_Kit_Gear_Large_005.jpg|width=100%]]}}} || * '''왕의 몰락''' * [[데스티니(게임)|데스티니1]] 의 레이드중 최고의 레이드라 평가받는 레이드가 돌아온 만큼 호평을 받고있다. * 전체적인 구성도도 훌륭하고 네임드 가짓수도 [[마지막 소원(데스티니 가디언즈)|마지막 소원]] 이후 5네임드로 책정되었고, 전작의 하드난이도의 챌린지가 기믹과 업적으로 편입되어 난이도도 적당하다고 칭찬받고있다. * 요구 전투력도 낮고 시즌패스도 필요없는 무료 레이드라서 접근성이 낮은것 또한 호평. * 이스터에그로 존재하던 오릭스의 농구장또한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물리 무기#s-3.4|악의의 손길]] 촉매제를 획득하는 공간으로 재활용되어 좋은 평가.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rc 3.0_2.gif|width=100%]]}}} || * '''전기 3.0''' * 공허/태양 3.0에 이어 상,조각 시스템이 전기 하위직업에 편입되었으며, 원소 그 자체를 다루는 워록의 상징처럼 전기로 변해서 질주를 하는 폭풍소환사, 전장에 뛰어들어 진영을 헤집어 놓는 돌격자의 전면 쉴드등 개성적이고 확고한 개선으로 호평받았다. * 신규로 추가된 고유 특성인 ''''증폭'''' 또한 호평받는데 전체적인 속도를 높혀줘, 시원시원한 전투가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전기(데스티니 가디언즈)|문서]] 참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Gear_COMPRESSED_007.jpg|width=100%]]}}} || * '''시즌 무기''' * 전체적으로 호화로운 특성, 새롭게 패치된 [[전기(데스티니 가디언즈)|전기 3.0]]과 시너지가 나는 기원 특성으로 호평받는다. * 다만 아쉬운점은 전기 3.0과 시너지를 내기 위해 구성된듯한 모습을 보여줘 시공,전기 속성만으로 이루어져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_30th_Press_Kit_Compressed_Gear_04.jpg|width=100%]]}}} || * '''[[데스티니 가디언즈/번지 30주년 팩|번지 30주년 팩]] 무료 제공''' * 시즌 시작일인 8월 24일부터 다음 주간 리셋일인 31일까지 1주간 30주년팩 컨텐츠를 무료로 제공했다. * 30주년 팩의 유료 컨텐츠를 모두 이용할수 있으며 제공 기간이 끝나도 해당 컨텐츠에서 얻은 전리품을 절대 회수하지 않겠다고 발표해서 더더욱 호평. * 비록 일주일이라는 짧은 시간이지만 영원의 도전 무기들은 기본적으로 무료 제공이고 기념팩의 본체라고 볼수있는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파워 무기#s-7.1|걀라르호른]]'''을 무료로 얻을수 있기에 신규 유입 유저들에게 엄청난 이점.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18Chest.jpg|width=100%]]}}} || * '''천둥 신의 선물''' * 헬름의 별자리표 앞에있는 상자에서 모든 플레이어가 전기 3.0 개선 기념으로 천둥 신의 선물을 받을수 있다. * [[데스티니 가디언즈/포세이큰|포세이큰팩]]이 없는 유저도 [[천둥의 왕#s-3|경이 기관총 천둥의 왕]]과 몽상의 여명 방어구를 '''무료'''로 제공하고 전투력또한 시즌 진행 평균치로 확 끌어올려서 따라잡을수있기에 대호평 받는다.[* 또한 방어구의 전체적인 스텟도 나쁘지 않아 기존 유저에게도 이점이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Gear_COMPRESSED_012.jpg|width=100%]]}}} || * '''수수께끼 4행시''' * 간만에 데스티니 특유의 숨겨진 컨텐츠 느낌으로 추가된 시즌보상 퀘스트가 호평받았다. * 따로 공략을 보지않고도 퀘스트에 쓰여진 힌트만 자세히 읽어봐도 직관적으로 표현되어있기에 쉽게 해석 할 수 있다. * 데스티니 [[데스티니 가디언즈/논란#s-2.2|특유의 개판 번역]]이 적용됐다면 해석에 어려움이 있었겠지만 현지화팀이 신경을 쓴건지 번역으로 인한 문제는 없다. === 부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KingsFall_Raid_Press_Kit_Bosses_Compressed_006.jpg|width=100%]]}}} || * '''왕의 몰락 마스터''' * 이전 레이드인 [[유리 금고]]와 [[신봉자의 서약]]의 경우 기믹 진행에 있는 특정 구간에 있는 몹이 마스터 난이도에서는 용사로 바뀐다 정도였지만 왕의 몰락 마스터에서는 유저가 짜증났으면 이라는 마인드로 '''용사를 쓸데없이 많이 배치했다.''' * 마스터 레이드를 가는 이유또한 숙련자 무기를 얻기 위해서인데[* 능력치 집중 방어구와 상위 상화 쟤료를 주긴 하지만 이는 마스터 레이드에서만 얻을수있는 전리품이 아닌지라 이둘을 노리고 레이드를 가는사람은 없는 편.] 레이드의 숙련자 무기 드랍 조건 또한 마스터 난이도 챌린지 클리어인데 난이도 보정 때문에 콘테스트 모드급으로 적들의 맷집과 피통이 올라버리고 엎친데 덮친데 용사까지 많아졌으니 챌린지 한번 클리어하고 손을 떼는 유저들도 많다. * '''매우 느린 시즌 재화 수급''' * [[데스티니 가디언즈/되살아난 자 시즌|되살아난 자 시즌]]과 망령의 시즌만 비교해도 시즌 장비 집중에 필요한 그림자 에너지가 매우 짠편으로 제공된다. 당장에 [[데스티니 가디언즈/망령의 시즌|전 시즌]]만 해도 리바이어던에서 공개이벤트만 해도 슬픔의 왕관 평판 상승으로 자연적으로 획득 가능한 시즌 보너스가 있었는데 우주 해적 시즌의 별자리표는 평판을 초기화해도 추가 명성을 주지 않아 기약없이 다음주 시즌 도전을 기다려야한다. * '''평균 10분''' 가량 활동인 범선파괴를 완료해서 지도 조각을 획득, 획득한 지도 조각으로 원정에서 보상을 받으면 그림자 에너지를 '''3개''' 준다. [[데스티니 가디언즈/무기/무기 제작#s-3|심안 공명이 부여되어있는 무기]]를 그것도 골라서 집중하려면 '''그림자 에너지가 50개'''가 소모되는데 이러면 최소한 원정 '''17번'''을 돌아야한다는 정신나간 활동 요구량이 나온다. * 물론 하루아침에 하라는게 아니라 3개월로 편성된 시즌 전체에 걸쳐 천천히 보너스를 받아가며 장비를 파밍하라는것이지만 과거 시즌들과 비교했을때 재화 수급량이 한참 느린것을 커버치기는 힘들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Expedition_3_Player_Cosmodrome_LARGE_006.jpg|width=100%]]}}} || * '''원정''' * 상술했듯, 위와같은 과정을 거쳐서 원정을 시작하는거부터가 피로감이 들고 원정 활동 자체도 몹을 소탕한뒤 땅에서 솟아나는 엔그램을 화물에 던져서 수거한뒤에 다른 장소로 이동해서 똑같은 짓을 세번 반복하는게 끝이다.[* 이 과정에서 오브젝트가 사방팔방으로 뛰어서 심한경우에는 멀찍이 굴러가있는 공을 주우러 똥깨훈련까지 해야한다.] * 이런 노력을 다하고 나면 주는것은 고작 그림자 에너지 '''3개'''[* 선택한 지도에 따라 시즌 장비를 주긴 하지만 무기는 제작해야하고 방어구는 스텟이 저열해서 전설 조각행이 된다.] * 심지어 활동 중간중간에 화물에 실려있는 보물을 탈취하러 '''악당''' 이라는 몹이 오는데 '''용사다.'''[* 말이 악당이지 그냥 용사 한번 잡고가세요~ 하는꼴이랑 다를게 없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18-media-screenshot-2.jpg|width=100%]]}}} || * '''시즌 스토리''' * 부활한 에라미스가 옛 선원들을 소집하여 이를 저지하기위해 선봉대와 빛의 가문이 연합을 해서 대항한다는게 주요 스토리인데 4주차부터 뜬금없이 여기에 얽혀있는 인물들의 서사소개로 넘어간다. * 시즌의 최종보스 포지션을 맡을 분위기였던 에라미스는 [[악당이 아닌 반동인물]] 취급을 받으며 해설자가 되어버리고, 베테랑 해적들을 소집하는 에라미스 저지가 아니라 미스락스의 흑역사를 딸에게 까발리는 에라미스를 저지하는 내용이 되어버렸다. * 더욱더 가관인 것은 중간 미션에 소행성대에서 에라미스,미스락스,아이도가 셋이서 언쟁을 하는 장면으로 플레이어는 그냥 팝콘을 뜯으면서 카메라맨 역할 밖에 안하게된다. * 6주차 부턴 성물 쟁탈전에 [[군체]]가 참전해 3파전이 되어버리고, 컷씬에서 에라미스와 싸우는 미스락스를 멀뚱멀뚱 바라보기만하는 [[수호자(데스티니 시리즈)|수호자]]는 그냥 휘둘리는 [[엑스트라]]에 불과한 스토리가 되어버렸다. === 중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1_06_06_32_35_112.png|width=100%]]}}} || * '''[[세인트-14]]와 [[오시리스(데스티니 시리즈)|오시리스]]의 관계''' * 에라미스의 성물 수집을 저지하여 수호자가 모든 성물을 회수하고 융합자 기술로 정수를 추출해 혼수상태였던 오시리스를 깨우는데, 세인트와 오시리스의 이때 뜬금없이 키스씬이 나와버린다. 그동안 겉면으로는 서로 의견이 맞는 의형제 관계 라는걸 보여줬으나 지식에서 언급되기로, 사실 그들은 연인 관계였다며 서로를 사랑하며 동거하던 동성애자 커플이였다는게 밝혀졌다. * 사실이 밝혀지자 마자 유저들의 의견은 대체로 부정적으로 전설적인 워록이자 고고학자인 오시리스와 역대 최강의 타이탄이라 불리웠던 세인트-14 이라는 높은 완성도의 캐릭터를 이따위로 망가뜨렸냐 라는 평가가 대부분. * 이에 반론하자면 게임내에서 [[데스티니 가디언즈/지식|지식]]의 역할은 추가설명이 필요하지만 스토리에 개입하지않고 뒷배경을 깔아주며 스토리에 흥미를 느끼는 유저들이 더욱 찾아보게끔 하는 장치인데[* 사실 여기서부터 모순이 발생한다. 컷씬만 보면 네자렉의 유해가 혼수상태마저 깨우는 강력한 카페인으로 묘사되는데 지식에 따르면 이는 네자렉의 유해를 감싸고있는 어둠을 추출한뒤 어둠의 특성인 기억의 재구성을 이용한 것이다.] 사실 오래전부터 언급해왔었고 시네마틱 컷씬으로 자세하게 묘사된것이 이번이 처음이라 너무 크게 다가왔다는 의견. * 물론 동성애라는걸 이해해주진 못할 망정 존중이라도 하면 모르겠지만 여기서 언급된 게이는 특정 개발진의 [[자캐딸]]로 받아들여져서 극도로 부정적인 반응이 나온것으로 보인다.[* 또한 [[데스티니 가디언즈/마녀 여왕|마녀 여왕]] 확장팩부터 개발진에서 [[트랜스젠더]] 개발자가 얼굴을 비추거나 [[LGBT]]를 옹호하는등의 활동이 늘었기에 더더욱 이런 인상이 생긴것으로 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_Season_of_Plunder_Eliksni_Social_Space_COMPRESSED_005.jpg|width=100%]]}}} || * '''엘릭스니 거주구역''' * [[데스티니 가디언즈/융합의 시즌|융합의 시즌]]때는 단순히 텐트만 쳐놓았던 엘릭스니 거주구역이 어느정도 구조물이 세워지고 형태를 갖추고 돌아왔지만 그닥 상호작용 거리가 딱히 없다. [[방랑자(데스티니 시리즈)|방랑자]]와 대화하기위한 홀로그램 장치가 있지만 오히려 매주 헬름 > 거주구역 > 헬름 동선을 밟아야하기에 괜한 플레이타임 늘리기로 작용. 차라리 '''우주 해적'''과 '''선원 고용'''이 주된 시즌 보너스 시스템인 만큼 거미[* 거미도 그냥 주간 보상을 주는 역할만 한다.]가 위치하고있는 [[펍]]에 손님이나 바텐더 NPC,혹은 선원들이라도 주둔해있으면 어떨까하는 아쉬움이 있다. == 기타 == * 18 시즌 부터 적용되는 한글 폰트가 바뀌어서 [[디자이너를 괴롭히는 방법|일부 글자들은 쓸떼없이 줄바꿈 되어]] 보이는등의 약간의 잡음이 있었다. 다행히 별 문제없이 시즌 2주차에 고쳐졌다. === 사건사고 === ==== 개발진의 특정 스트리머 유착관계 음모론 ==== * [[유리 금고]], [[신봉자의 서약]], [[왕의 몰락]] 컨테스트 모드를 세계 1위로 완료한 '''Saltagreppo''' 는 왕의 몰락 컨테스트 모드 이후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서 '''[[데스티니 가디언즈/경이 장비/에너지 무기#s-12.1|신성]]'''이 너무 강력하고 메타에 오르는장비이며 레이드에서 장비 고착화[* 이전까지 레이드 퍼스트 클리어등 대부분의 레이드 파티에는 신성을 무조건 기용하긴 했었다. 다만 대부분의 유저들은 신성없이도 레이드 클리어가 '가능은'해서 크게 와닿지 않았을뿐]를 일으킨 원흉이라며 너프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실제로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고.[* 오히려 신성은 피로를 덜어주는 역할이지 신성이 없으면 그냥 조준좀 신경 쏘면 된다.] 아니다 라는 의견도 가능하겠지만 개발진이 다음시즌부터 신성의 너프 소식을 알렸기에 Saltagreppo 와 번지가 모종의 관계가 있고 게임내 언급력이 있는게 아니냐는 음모론이 돌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mm3teMWAAAbeUX.jpg |width=100%]]}}} || * 한창 음모론이 떠돌고 Saltagreppo 의 의견에 대하여 갑론을박이 이어졌으나 이에 Saltagreppo 는 자신의 의견을 비난하는 유저들을 ''''화난 그렘린들'''' 이라는 식으로 조롱하며 불에 기름을 부으며 자신의 실물 사진을[* 레이드 콘테스트 모드에서 세계 1위를 할경우 레이드 벨트를 선물해주는데 자신이 받은 벨트를 자랑한것.] 포스트하며 조롱을 이어갔다. 이에 커뮤니티 매니저 '''Cozmo'''는 "'''신성 너프 사안은 오래전부터 논의 되고 있던 사안이다.'''" "'''자신과 의견이 다르다고 헐뜯지 마라'''"는 트윗을 올려 사태를 무마하려 했으나 오히려 개발진이 Saltagreppo 를 커버치려는걸로 인식해버려 여론은 더더욱 심각해져갔다. * 사태가 터지고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자 다들 쉬쉬하는 분위기였지만 이번엔 Saltagreppo 가 망령의 시즌부터 대대적으로 버프한 ''''생존력 100스텟의 40% 대미지 저항을 20%로 줄여야 한다.''''라는 의견을 피력한것.[* 생존력 스텟은 다른 스텟들에 비해 채용 메리트도 없었기에 이제야 투자가치가 생긴걸 갑자기 너프하라고하니 이정도면 독재자 수준.] 이에 그치지 않고 해당 주장의 근거로 "'''나는 데스티니 시리즈의 최상위권 플레이어이며 현재로선 이 게임에 더 즐길만한 엔드컨텐츠가 없어 흥미가 떨어진다. 전체적인 게임의 난이도가 어려웠으면[* 이부분에 대한 반박으로 ''''그럼 그냥 니가 생존력 스텟을 낮게 빌드를 세팅하면 되는게 아니냐?'''' 라는 의견이 제시됐지만 본인이 그건 죽어도 못하겠다고 하는 앞뒤가 안맞는 모순을 보여줬다.] 좋겠다. 지금의 데스티니는 예전에 비해 너무나도 쉽다."'''같은 망언을 지껄인것. 근거 있던 신성 너프 의견과는 반대로 이번에는 그냥 ''''내가 재미없으니까 너네도 다 망해봐라'''' 같은 마인드로 꼬장을 부린것에 가깝기에 상황은 더더욱 개판이 나버렸다. 개발진에서는 이에따른 어떠한 의견또한 제시하지 않았지만 '''개발진은 일개 스트리머 따위의 의견을 바탕으로 게임을 개발하지 않는다.''' 신성 사태의 발언은 사태를 잠재우려는 행위에 가까웠으며 번지는 보통 내부 통계를 기반으로 밸런스 조절을 하기에 이번에는 묵인하는 모습을 보였다. * 결론적으로 [[관심병|그냥 어그로를 끌고싶었던 관종]], 선동에 [[물타기#s-2.3|물타기하는 유저]]들과 그냥 우연적으로 겹쳐버린 개발진의 밸런스 패치 사항이 겹쳐져 [[억까|대환장 파티]]가 되어버린것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