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이번 시즌 토트넘 홋스퍼 FC에서의 경기 및 활약상, rd1=데스티니 우도기/클럽 경력/2023-24 시즌)] [include(틀:토트넘 홋스퍼 FC/간략)]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purs_no38(23/24).png|width=100%]]}}} || ||<-4> '''토트넘 홋스퍼 FC No. 38''' || ||<-4> {{{#fff '''{{{+1 데스티니 우도기}}}[br]Destiny Udogie'''}}} || ||<-2> '''본명''' ||<-2>이예노마 데스티니 우도기[* 'Udogie'는 나이지리아 이그보 족의 전통적인 이름 중 하나로, 발음을 한글로 표기하면 '우도기'에 가깝다. 본인도 '우도기'로 발음한다고 설명했다. [[https://www.football.london/tottenham-hotspur-fc/players/destiny-udogie-tottenham-ange-postecoglou-27342171|#]]] [br]Iyenoma Destiny Udogie || ||<|2><-2> '''출생''' ||<-2>[[2002년]] [[11월 28일]] ([age(2002-11-28)]세)|| ||<-2>{{{-1 [[이탈리아]] [[베네토|베네토주]] [[베로나]]}}} || ||<-2>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나이지리아)] || ||<-2> '''신체''' ||<-2>[[키(신체)|키]] 186cm / [[체중]] 73kg || ||<-2> '''포지션''' ||<-2>'''[[풀백(축구)|레프트백]]''', [[윙백]] || ||<-2> '''주발''' ||<-2>왼발 || ||<|2><-2> '''등번호'''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대표팀]] || '''6''' || ||[[토트넘 홋스퍼 FC]] || '''38''' || ||<|2> '''소속''' || '''유스''' ||<-2>[[엘라스 베로나 FC]] (2017~2020) || || '''프로''' ||<-2>[[엘라스 베로나 FC]] (2020~2022) [br] {{{-1 → [[우디네세 칼초]] (2021~2022 / ^^임대^^)}}} [br] '''[[우디네세 칼초]] (2022~2023)''' [br]'''[[토트넘 홋스퍼 FC]] (2022~ )'''[br] → {{{-1 [[우디네세 칼초]] (2022~2023 / ^^임대^^)}}} || ||<-2> '''국가대표''' ||<-2>3경기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 2023~ )^^ || ||<-2> '''SNS''' ||<-2>[[https://www.instagram.com/udogiethre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4>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역대 등번호''' ||<-2>[[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이탈리아 대표팀]] - '''6번'''[br][[엘라스 베로나 FC]] - '''13번'''[br][[우디네세 칼초]] - '''13번'''[br][[토트넘 홋스퍼 FC]] - '''38번'''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국적의 [[토트넘 홋스퍼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풀백(축구)|레프트백]].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데스티니 우도기/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연령별 대표팀에 두루 소집된 적이 있지만, 성인 대표팀에는 22-23 시즌 전후부터 [[세리에 A]], [[챔피언스 리그]]에서 정상 급으로 도약한 레프트백 [[페데리코 디마르코]]가 있고, 이 뒤를 국대 짬이 있는 [[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 [[크리스티아노 비라기]] 등이 뒷받침하고 있는 상황이라 아직 우도기가 소집될 기회가 없는 상황이다. 실제로 스팔레티가 부임하고 난 뒤 [[유로 2024]] 예선인 9월 A매치 기간에 [[페데리코 디마르코|저]][[레오나르도 스피나촐라|들]]에게 밀려 명단에서 배제되었다. 일단 우디네세에서의 활약상과 리그 초반 토트넘에서의 활약상을 생각해보면, 성장세가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향후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아주리 군단]]의 주전 레프트백이 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허나 경쟁 상대인 페데리코 디마르코가 세리에 탑급 레프트백에 국대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폭발적으로 성장하지 않는 한 서브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10월 6일 현재의 좋은 퍼포먼스와 실력을 인정받아, [[토트넘 홋스퍼 FC|같은 소속팀]]의 [[굴리엘모 비카리오|비카리오]]와 함께 [[유로 2024]]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 정식으로 발탁됐다. 10월 14일 몰타와의 유로 예선전에서 79분 경 교체로 출전하였으며 짧은 출전 시간이었지만 도움을 달성하였다. 10월 18일 잉글랜드전에 선발 데뷔전을 치렀고 팀은 패배했으나 인상적인 활약을 펼쳤다. 이번 A매치 기간에는 이탈리아 국대에 소집이 되지못했는데 이탈리아 대표팀 감독인 스팔레티에 의하면 우도기가 약간의 부상이 있었는데 직접적인 부상은 아니고 부상 예방 차원으로 이번 A매치 기간에는 뽑히지않았다고 말하였다.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SUzGo31KQg)]}}} || || 2022년 활약상 || === 장점 === 풀백으로서 '''압도적인 피지컬과 운동 능력'''을 지녔다. 186cm의 신장과 다부진 체격을 바탕으로 상대 공격수와의 1대1 경합에서 공을 잘 빼앗기지 않고 우위를 점하는 모습을 보인다. 때에 따라서는 중앙으로 접고 들어와서 피지컬이 좋은 중앙 공격수나 센터백들과도 적극적인 경합을 시도한다. 빠른 주력과 뛰어난 체력을 통해 공수 양면으로 팀의 활력을 높여주는 기동력을 가졌고, 수비 상황에서는 힘 있는 압박과 '''확실하게 끊어내는 수비'''를 가져간다. 공격적으로 올라갈 때에도 '''저돌적인 돌파'''를 시도해 공을 지켜내면서 운반한다. '''경기를 읽고 상황을 판단하는 능력'''이 뛰어나, 오버래핑을 시도하다가도 언더래핑을 통해 박스 타격을 할 수 있어 현대 축구 속 [[윙백]]에게 요구하는 공수 양면의 플레이를 모두 갖추고 있다. 약발인 오른발 활용 능력도 준수하여 공격 전개 시 템포를 늦추는 일이 드물다. === 단점 === '''패스나 [[크로스]]를 통한 공격 전개'''에 있어서 아쉬운 모습을 보인다. 패스 성공률은 높은 축에 속하나 이는 안정적인 숏패스를 고수하기 때문이며, 모험적인 전진패스나 방향을 전환하는 롱패스 등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단 포스테코글루 감독의 전술에서 우도기는 중앙지향적 플레이를 고수하기에 크로스나 롱패스를 시도할 일이 적긴 하다.] 크로스 정확도 또한 타 풀백들에 비해 낮은 편.[* 따라서 크로스를 계속 시도하기보다는 하프스페이스 침투나 측면에서 그대로 공을 몰고 박스로 진입하는 등 본인에게 더 효과적인 플레이를 시도한다.] 종종 수비 상황에서 보이는 '''미숙하고 위험한 플레이'''와 집중력의 부재로 인한 치명적인 실수 또한 단점으로 꼽힌다. 정리하자면 본인의 페이스와 피지컬을 앞세워 공격 시에는 저돌적인 돌파와 하프스페이스 침투를, 수비 시에는 적극적인 경합을 시도하며 중요한 수비를 여러 차례 성공시킨다. 풀백으로서 수비뿐만 아니라 빌드업 및 공격 전개에 있어서도 준수함을 보이며 여러 측면에서 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아직 어린 나이와 토트넘의 주전으로 자리잡은 23-24 시즌이 [[프리미어 리그]]에서의 첫 시즌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괄목할 만한 활약상이지만, 크로스나 패스 등 기술적인 것들과 수비 시 자제력을 잃는 모습은 개선해 나가야 할 부분이다. == 여담 == * [[베로나]]에서 태어나고 자랐으며 각급 연령별 대표팀도 모두 이탈리아 대표로 뛰고 있는 [[이탈리아]]인이지만, 부모님은 [[나이지리아]] 이주민 출신이기에 복수국적을 가지고 있다.[* 나이지리아에서 영어가 공용어로 통하는 만큼, [[토트넘 홋스퍼 FC]] 입단 인터뷰에서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모습을 보였다.] * 미들네임이 무려 [[운명|데스티니]]이다. 한글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생긴 우연 같은 게 아니라 진짜 '''Destiny'''이며, 이탈리아어에 동일한 철자를 가진 단어 자체도 없기 때문에 정말 그 의미일 가능성이 높다.[* 이쪽으로 유명한 선수로는 [[임모빌레]]가 있다. 본토에서는 '부동산', 영미권에선 '움직이지 못한다'라는 뜻이다. 어떻게 사람 이름이 '''I'm mobile'''이냐며 국내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밈화가 되었다. 두 선수 모두 이탈리아 국적이라는 점도 상당한 우연.] 때문에 토트넘으로 이적할 당시 이름으로 주목받기도 했다.[* 비슷한 이유로 주목을 받은 선수로는 [[퀴르트 주마]]가 있는데, 이쪽은 미들네임이 무려 '''해피'''다.] * 롤 모델은 [[마르셀루]]라고 한다. * 한때 '''우도지'''라고 불렸으며[* [[SPOTV|스포티비]] 중계에서는 23-24 시즌 초반 몇 경기까지 '우도지에'로 표기했었다.] 지금도 [[시베 도지|어감]]이 좋아서인지 여전히 그렇게 부르는 사람들이 꽤 있다. 본인이 직접 밝히기도 했듯이 영어 표기법과 본토 발음상 '우도기'가 맞다. * 등번호 13번을 좋아하는데, [[토트넘 홋스퍼 FC|토트넘]]에 처음 합류한 23-24 프리시즌에는 73번을 달고 뛰었다.[* 당시 같은 신입생이던 [[제임스 매디슨(축구선수)|제임스 매디슨]]은 71번, [[마노르 솔로몬]]은 72번을 배정받았다.] 마찬가지로 13번을 좋아하는 [[굴리엘모 비카리오]]가 입단과 동시에 선점했기 때문에 [[이브 비수마]]의 옛 등번호인 38번을 달게 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토트넘 홋스퍼 FC)] [include(틀: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분류:2002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베로나 출신 인물]][[분류:나이지리아계 이탈리아인]][[분류:이탈리아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복수국적자]][[분류:엘라스 베로나 FC/은퇴, 이적]][[분류:우디네세 칼초/은퇴, 이적]][[분류:토트넘 홋스퍼 FC/현역]][[분류:이탈리아의 FIFA U-17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9 FIFA U-17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수비수]][[분류:레프트백]][[분류:윙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