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전사족]][[분류:히어로(유희왕)]]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데스티니 히어로, top2=히어로(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D-HERO-Celestial.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데스티니 히어로 디바인 가이, 일어판명칭=D-HERO(デステニーヒーロー) ディバインガイ, 영어판명칭=Destiny HERO - Celestial,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600, 수비력=1400, 종족=전사족, 효과1=이 카드는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가 공격할 때\, 상대의 장착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이 효과로 장착 카드를 파괴했을 때\, 상대 플레이어에게 5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 [[에드 피닉스]]가 사용. 작중에서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빛의 결사 편|빛의 결사 편]] 98화에서 [[DD(유희왕 GX)|DD]]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했다. 자신의 효과로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에 장착되어 있던 [[데스티니 히어로 도그마 가이]]를 파괴하고, 추가로 [[데스티니 히어로/서포트 카드#다크 시티|다크 시티]]의 효과로 공격력을 강화하여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를 전투로 파괴하고 피니셔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다크니스 편|다크니스 편]] 166화에서는 [[만죠메 쥰]]과의 듀얼 중 사용. 소환한 것으로 [[데스티니 히어로 드레드 가이]]의 공격력을 강화시킨 뒤, [[암드 드래곤#암드 드래곤 LV3|암드 드래곤 LV3]]를 공격해 파괴했다. 이후 다음 턴에는 [[데스티니 히어로 블루-D]]의 특수 소환을 위한 제물이 되었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D-HERO ディバインガ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데스티니 히어로 디바인 가이, 일어판명칭=D-HERO(デステニーヒーロー) ディバインガイ, 영어판명칭=Destiny HERO - Celestial, 속성=어둠, 레벨=4, 공격력=1600, 수비력=1400, 종족=전사족,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②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의 공격 선언시에\, 상대 필드 앞면 표시의 마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하고\,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자신의 패가 0장일 경우\, 자신 묘지에서 이 카드와 "데스티니 히어로"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마스터듀얼=금지 카드)] [[데스티니 히어로 다크엔젤]]과 마찬가지로 GX 종영 후에도 오랫동안 OCG화 되지 못했으나, 종영 10년 이상이 지나서야 [[데스티니 솔저스]]에서 같이 수록되었다. ①의 효과는 공격 시 상대의 앞면 표시 마법 카드를 1장 파괴하고 500 데미지를 주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 어중간한 타점의 하급 어태커에게 공격권을 양보해가면서 쓰기에는 애매하다. [[마법족의 마을]]처럼 히어로가 자체적으로 뚫기 힘든 마법 카드가 있을 때 요격할 수는 있겠지만, 그런 상황에서 이 카드가 수월하게 나오는 것을 바라기는 어려우니 락을 걸어버리는 마법 카드를 날려버릴때만 사용하자. ②의 효과는 패가 0장일 경우 묘지에서 이 카드와 다른 데스티니 히어로 1장을 제외해 2장 드로우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기동 효과|기동 효과]]. 이 카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효과로, 2장 드로우는 강력한 효과이니만큼, 카드명 제약 및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는 조건을 걸어놓았다. 통합 히어로 덱은 단기전을 선호하고, 전개가 수월하게 풀리면 [[엘리멘틀 히어로 리퀴드맨]] 등으로 패가 자연스럽게 불어나는 편이기에 애매하다. 오히려 이 카드는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를 이용해 [[데스티니 히어로 디스트로이 피닉스 가이]]를 용병으로 쓰는 덱에서, [[데스티니 히어로 대시 가이]]와 함께 채용해 어드밴티지를 불리는 방식으로 이용되었다. 9기 시절 나왔던 카드이니만큼 매물이 부족해 가격이 천정부지로 올랐으나, 이후 베르테 아나콘다가 금지 처분을 받으면서 자연스럽게 입지가 하락했으나 그래도 드물게 메인덱 및 사이드덱에 한장씩 들어가있는 경우도 보인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스트럭쳐 덱에서 2장이 수록되었으며, 암귀 덱이 1티어로 떠오르자 6월 26일 금제로 준제한을 받은 적 있다. 현재는 무제한 상태. 2022년 8월 31일,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금지 처분을 받았다. 디피닉스의 용병화가 심해져 관련 카드를 제재해야 하는데, 오프라인처럼 퓨전 데스티니를 금지에 올려버리면 히어로 덱이 바로 사장되고, 베르테 아나콘다를 금지하자니 아직 [[낙인융합]]이 나오지 않아 수익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레어도도 낮고 히어로 덱에서도 잘 쓰이지 않으면서 범용 드로우 소스로 사용된 이 카드를 금지로 올려버린 것. 의외의 카드가 금제에 오른 것 때문에 당시에는 상당히 구설수에 올랐으나, 현재는 베르테 아나콘다를 사용하는 덱이 랭크 듀얼에 잘 보이지 않아 이전만큼 이슈가 되지는 않고 있다. 오히려 노련한 금제였다는 말도 나온다. ||<-5>수록 시리즈 || ||<(> 2016-08-06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PDS-JP006 | '''[[데스티니 솔저스|ブースターSP - デステニー・ソルジャ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21-07-0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21TP-JP307 | [[토너먼트 팩|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1 Vol.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1-18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ESO-EN006 | '''[[데스티니 솔저스|DESTINY SOLDI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18-10-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LEHD-ENA05 | LEGENDARY HERO DECK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0-03-2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UOV-EN069 | DUEL OVERLOA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22-02-23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18-EN017 | OTS TOURNAMENT PACK 1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1-2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PDS-KR006 | '''[[데스티니 솔저스|부스터 SP 데스티니 솔저스]]'''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데스티니 히어로, version=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