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데스티니(게임)/무기)] [목차] == 개요 == 조준을 더욱 쉽게 만들어주는 업그레이드로 로켓 런쳐를 제외한 모든 무기에 달 수 있다. 두번째 줄에 아래의 스코프를 2~3개까지 택할 수 있지만 산탄총과 기관총, 로켓런쳐 전반부, 전설급 무기를 포함한 일부 무기는 스코프 대신 총열이 대신 자리잡게 된다. 전자는 산탄총과 로켓 런쳐 특성상 난사해도 맞출 수 있어서 정조준 따위 의미없거나 기관총에게 스코프까지 달아주면 밸런스에 심각한 문제가 생겨 적용하지 않았지만 후자는 해당 무기에 달린 전용 스코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굳이 스코프를 달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배율 공식이 꽤 복잡하다. 무기별로 적용된 기본 배율에다 스코프 배율, 거기에다 스킬을 통한 스코프 배율 보정과 특수한 효과까지 붙으면 매우 다양한 스코프 배율을 보여준다. [[http://imgur.com/a/irnwR|기계식 조준기 및 도트 사이트]] [[http://imgur.com/a/o9so0|망원조준경]] 정조준 이미지를 보면 이해가 빠르다. ~~사실 이미지를 링크시켜도 이해되지 않는다는게 함정~~ 스코프의 외형과 정조준 이미지만을 따로 볼려면 [[http://destinyscopes.com|이 링크]]를 타면 된다.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투영 이미지만을 볼려면 [[http://imgur.com/a/vD03p|요 링크]]를 타면 된다. == 기계식 조준기 == [[파일:external/destiny.wiki.fextralife.com/Quickdraw_Is.png]] 주무기군의 대부분의 총기에 붙는 일반적인 조준기지만 본 게임에서의 기계식 조준기는 홀로그램 도트 사이트에 가까운 편이다. 정조준했을때 연사시 반동을 보정시켜주는 수치가 높을수록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의 보정 수치는 점차 감소한다. 세번째 DLC로 '''자동권총'''에도 달 수 있게 적용되었는데 정확히 말해선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자동권총 한정이다. * Quickdraw IS -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15씩 향상된다. * Sureshot IS - 안정성이 2 보정되며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12씩 향상된다. * Fastdraw IS - 안정성이 4 보정되며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10씩 향상된다. * Truesight IS - 안정성이 5 보정되며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8씩 향상된다. * Steadyhand IS - 안정성이 6 보정되며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8씩 향상된다. == [[도트 사이트]] == [[파일:external/destiny.wiki.fextralife.com/Red_Dot-oas.png]] 스코프에 붉은 점이 찍혀있다. 스코프 명칭이 Red-dot로 시작된다. * OXS 계열: 모든 스코프가 0.2배율로 되어 있지만 안정성을 향상시켜준다. 근접전에 특화된 무기군에게 달아주면 효과적이다. *OES - 안정성이 12 향상된다. *OAS - 안정성이 14 향상된다. * OR 계열: 스코프 배율이 조금 더 높다. 사정거리와 안정성을 주로 향상시켜준다. *ORS - 0.3배율, 사정거리가 6, 안정성이 9 향상된다. *ORES - 바로 위의 스코프가 업그레이드된 형태. 0.3배율, 사정거리가 6, 안정성이 9, 재장전 시간이 4, 제어성이 4 향상된다. *ORS1 - 0.4배율, 사정거리가 8, 안정성이 6 향상된다. *ORA -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스코프, 배율이 향상되었으며 제어성이 향상된다. *ORA2 -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스코프, 배율이 향상되었으며 제어성이 향상된다. * OEG 계열: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스코프 종류 * OEG - 배율이 향상되었으며 제어성이 향상된다. * OEG Rifle scope - 도트 사이트보단 저배율 스코프에 가까운 스코프, 사정거리가 향상된다. * Reflex 계열: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스코프 종류, * MD-Reflex - 배율이 향상되었고 제어성이 향상된다. * Reflex - 배율이 향상되었는데 장착시 에임 어시스트 범위가 늘어난다. == 저배율 스코프 == [[파일:external/destiny.wiki.fextralife.com/Focus_Lens_FLS2.png]] 중거리에 대응할 수 있는 스코프, 각각의 스코프마다 장단점이 명확하게 구분되어져 있다. * Focus Lens 계열: 사정거리와 안정성을 향상시켜준다. * FLS2 - 0.4배율, 사정거리가 8, 안정성이 2 늘어난다. * FLA5 - 0.6배율, 안정성 증가 없이 사정거리가 10 늘어난다. * FLAS10 - 0.8배율, 사정거리와 안정성이 10씩 향상되지만 재장전 시간이 5, 제어성이 12씩 떨어진다. * Ranged Lens 계열: 사정거리를 늘려주지만 특정한 스탯을 증감시키는 수치가 달리 적용된다. * RLS3 - 0.6배율, 사정거리가 8, 안정성이 3 향상되지만 재장전 시간이 2, 제어성이 7 떨어진다. 난사에 초점을 맞췄다. * RLR5 - 0.8배율, 사정거리가 15, 제어성이 10씩 늘어나지만 안정성이 2, 재장전 시간이 3씩 떨어진다. 정조준 명중률을 좀 더 상승시켜준다. == 망원조준경 == [[파일:external/destiny.wiki.fextralife.com/AMBUSH_SLH25.png]] 저격총에게 붙는 스코프, 여러 스탯이 증감하기 때문에 스코프에 따라서 특정 전투에 특화시킬 수 있다. * [[기습|Ambush]] SLH25: 0.5배율, 사정거리가 15씩 떨어지지만 안정성이 20, 재장전 시간이 10, 제어성이 12 향상된다. 저격총을 DMR로 만들어주는 사실상 망원조준경을 빙자한 도트 사이트로 DMR 무기군에게 이걸 장비하면 완벽하게 DMR로 변하게 된다. * Shortgaze 계열: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을 향상시켜준다. * SLH10 - 0.5배율, 사정거리와 재장전 시간 제어성이 5씩 향상된다. 근접전이나 중거리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여주지는 않는다. * SLH15 - 3배율, 안정성이 10,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8씩 향상되었다. 정밀저격 특화형으로 앉아사격 퍽과 조합되면 괴수같은 안정성을 보유할 수 있다. * Longview 계열: 사정거리를 늘려준다. * SLH10 - 1배율, 사정거리와 8,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5씩 향상되지만 안정성이 5 떨어진다. 중거리 특화형. * SLH20 - 3배율, 사정거리가 15, 제어성이 5 향상되지만 안정성이 10씩 떨어진다. 정밀저격에 특화했지만 연사하면 조준점이 흐트러진다. * Sys SLS 계열: 스코프에 따라 해당 무기의 성질을 변화시켜준다. * TacSys SLS15 - 2배율, 사정거리가 10씩 떨어지지만 안정성이 15, 재장전 시간과 안정성이 5씩 향상된다. 근접전 특화형. * Sightsys SLS20 - 4배율, 사정거리가 15, 안정성이 8 늘어난다. 장거리 특화형. * Eye SLR 계열: 사정거리와 안정성을 향상시키지만 재장전 시간과 제어성이 8씩 떨어트리는 단점이 있다. * [[호크아이|Hawkeye]] SLR15 - 2배율, 사정거리가 10, 안정성이 5 향상되었다. 중거리 특화형. * [[이글 아이|Eagleeye]] SLR20 - 5배율, 사정거리가 20, 안정성이 5 향상되었다. 장거리 특화형. * SLX20 계열: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스코프 * Viewtac SLS20 - 제어성을 향상시킨다. * Wildhawk SLH20 - 스코프 배율과 사정거리를 향상시키지만 제어성과 안정성이 감소한다. == 제조사 전용 == 세번째 DLC에서 추가된 스코프로 특정한 제조사에게만 붙는 스코프다. 무기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스코프가 나온다. === 술로스제 === 대부분이 자동소총, 반자동 소총, 펄스 라이플에 붙게 되는 스코프다. * SLO 계열: 기존 스코프의 기계식 조준기에 대응된다. * SLO-12 - 제어성이 향상된다. * SLO-19 - 배율 상승없이 조준 보정만 해준다. * SPO 계열 : 도트 사이트에 대응된다. *SPO-26 - 경량형 도트 사이트, 제어성이 향상된다. *SPO-29 - 홀로그램 도트 사이트, 배율 상승없이 보준 보정만 해준다. * SRO 계열 : 저배율 스코프에 대응된다. * SRO-37 - 중거리용 스코프, 사정거리가 향상된다. * SRO-41 - 위험감지 스코프, 장착하면 슈퍼챠지를 사용할 수 있는 가디언이나 강력한 적의 윤곽이 스코프에 나타난다. 가장 위험한 적을 우선순위로 제거할 수 있게 도와준다. * SPO-57 - 위험감지 스코프, 위와는 달리 이쪽은 모든 적의 윤곽을 스코프에 띄울 수 있다. === 하케제 === 다양한 상황에 특화된 스코프를 사용하며 적용되는 스코프마다 해당 무기를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다. * G계열 : 리볼버를 제외한 주무기군에 달린다. * GA Post - 경량형 스코프, 제어성이 향상된다. * GB Iron - 기계식 조준기, 제어성이 향상된다. * SC Holo - 홀로그램 스코프, 조준을 좀 더 쉽게 해준다. * L계열 : 위와 동일하게 리볼버를 제외한 주무기군에 달리며 해당 무기의 범용성을 향상시켜준다. * SD Thermal - 열감지 스코프, 모든 적의 열을 감지해준다. * LB Assault - 중거리용 스코프, 사정거리가 향상된다. * LC Marksman - [[지정사수]]용 스코프, 사정거리가 향상된다. * LD [[와치독스|Watchdog]] - 위험감지 스코프, 슈퍼챠지를 사용할 수 있는 가디언이나 강력한 적의 윤곽이 나타난다. * AT계열 : 저격총에만 장비되는 스코프 * ATA Scout - 저배율 스코프, 제어성이 향상된다. * ATB Long range - 장거리 스코프, 사정거리가 향상되나 제어성이 감소한다. * ATD Raptor - 자사의 표준 망원조준경, '''체력이 적은 적'''의 윤곽이 스코프에 나타난다. === 오모론제 === 어떤 것을 적용시켰느냐에 따라 플레이 스타일이 다양각색으로 달라진다. * IS계열 : 반자동 소총, 퓨전 라이플의 반동을 잡는 정도가 달라진다. * [[양초|Candle]] IS2 - 초소형 기계식 조준기, 제어성이 향상된다. * [[스파크|Spark]] IS6 - 홀로그램 스코프, 제어성이 향상된다. * HS계열 : 적에 따른 대응방법이 달라진다. 반자동 소총이야 난사가 되지만 퓨전 라이플은 급작스럽게 나타난 적을 대응하기 어렵다. * [[횃불|Torch]] HS2 - 근접전용 도트 사이트, 조준보정력을 향상시켜준다. * [[플래시|Flash]] HS4 - 자사의 이미지 투영 기술이 적용된 스코프로 적의 윤곽이 스코프에 나타난다. * MS계열 : 장거리 대응방법이 달라진다. 반자동 소총, 퓨전 라이플을 탈을 쓴 저격소총으로 만들 수 있다. * Impulse MS2 - 장거리 스코프, 사정거리가 향상된다. * Signal MS5 - 자사의 이미지 투영 기술이 적용된 스코프로 멀리 있는 적의 윤곽이 잡혀지며 그 적과의 거리에 따라 스코프 배율이 '''자동으로 조절된다.''' * SS계열 : 저격총에만 달리는 망원조준경 * Yepaki SS2 - 자사 표준 망원조준경, 제어성이 향상된다. * [[콘도르|Condor]] SS2 - 장거리용 스코프, 사정거리가 향상된다. * Corvo SS2 - 자사의 '''초장거리용''' 스코프, 사정거리가 엄청나게 향상된다. * Faucon SS1 - 초경량형 홀로그램 저배율 스코프, 제어성이 향상된다. * [[아퀼라|Aquila]] SS4 - 자사의 이미지 투영 기술이 적용된 망원조준경, 멀리 있는 적의 윤곽이 잡혀지며 그 적과의 거리에 따라 스코프 배율이 자동 조절된다. 성능으로만 따지만 저격소총 내에서는 꿈과 희망의 산물. == 아이언 배너 전용 == 네번째 DLC에서 추가된 아이언 배너의 무기에만 적용되는 스코프다. 세번째 DLC까지의 아이언 배너 무기들은 게임 내에서 볼 수 있는 모델링을 따르고 있지만 네번째 DLC에서 추가된 아이언 배너의 무기는 700여년 전 인류의 몰락기 때 '''여행자의 힘으로 되살아난 초창기 수호자들이 썼던 고철 무기'''였기 때문에 모든 스코프가 깔끔한 형태의 디자인이 아닌 나사못 등으로 대충 조준기를 만든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 Iron sight : 리볼버, 권총류에 붙어 나오는 스코프. 참고로 '기계식 조준기'와 초창기 아이언 배너에서 만든 조준기라는 중의적인 의미가 내포되어져 있다. * Loudly - 가볍고 견고한 스코프로 반동이 약간 줄어든다. 또한 에임 어시스트 기능이 포함되어져 있다. * Warrior - 반동을 거의 없는 수준으로 만들어준다. 참고로 자동소총, 반자동소총, 펄스 라이플은 이 스코프가 기본으로 적용된다. * Vigor - 리볼버, 권총류에 기본으로 적용되는 스코프로 반동을 약간 줄여준다. * Iron : 리볼버를 제외한 주무기군에 붙어 나오는 스코프 * Red dot - 근접전에 재빠른 대응을 할 수 있는 도트 사이트 * Ranged scope - 의외로 가벼운 저격용 스코프, 사정거리가 강화되고 에임 어시스트도 강화되기 때문에 주무기군을 준저격총으로 만들 수 있다. 자동소총은 중장거리까지 대응이 가능해지고 반자동소총은 저격총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 펄스 라이플은 3점사를 좀 더 멀리서도 맞힐 수 있게 된다. [[분류:데스티니(게임)/장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