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SSG 랜더스 외국인 선수)]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P_758019365830.jpg|width=100%]]}}} || ||<-2> '''{{{+2 데이브 부시}}}[br]Dave Bush''' || || '''본명''' ||데이비드 토마스 부시[br]David Thomas Bush || ||<|2> '''출생''' ||[[1979년]] [[11월 9일]] ([age(1979-11-09)]세) || ||[[펜실베이니아|펜실베이니아 주]] [[피츠버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코네스토가 고등학교 -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01년 드래프트 4라운드 (전체 109번, [[탬파베이 레이스|TBD]])--[br]2002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55번,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04~2005)[br][[밀워키 브루어스]] (2006~2010)[br][[텍사스 레인저스]] (2011)[br][[SK 와이번스]] (2012)[br][[토론토 블루제이스]] (2013) || || '''지도자'''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 투수코치 (2017)[br]'''[[보스턴 레드삭스]] 투수코치 (2020~2023)''' || || '''프런트''' ||[[보스턴 레드삭스]] 피칭 애널리스트 (2017~2019)|| [목차] [clearfix] == 개요 == [[토론토 블루제이스]]-[[밀워키 브루어스]]-[[텍사스 레인저스]]를 거친 전직 메이저리거이자 [[SK 와이번스]]에서 뛰었던 [[외국인]] [[선발투수]]. 前 [[보스턴 레드삭스]]의 투수코치이다. == 선수 경력 == === 메이저 리그 === 2001년 [[탬파베이 레이스|탬파베이 데블레이스]]의 4라운드 지명을 거부하고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로 진학했으며, 다음해 [[토론토 블루제이스]]의 2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2004년 메이저리그로 승격해 2시즌 동안 10승 15패를 거둔 후 3:3 트레이드를 통해 [[밀워키 브루어스]]로 트레이드되었고, 여기서 [[벤 시츠]]-크리스 카푸아노-[[덕 데이비스]]-오카 토모카즈와 함께 선발진의 한 축을 이루어 2년 연속 두자리승수를 올리기도 하며 2010년까지 활약했다.[* 2010년 8월 11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전에서 '''[[백투백#s-2.2.1|4타자 연속 피홈런]]'''이란 굴욕을 당했다. 이 기록의 소유자는 메이저리그 역사를 통틀어 4명 뿐. 여담으로 국내 야구인 중 2018년부터 한화 이글스 감독을 맡고 있는 [[한용덕]]이 이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01년 8월 18일 삼성전에서 허용한 기록.]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age/018/2012/06/06/1338958261.976182_PP12060500019.jpg|width=100%]]}}} || 2010 시즌 후 FA로 풀리면서 밀워키와 결별, 이후 [[텍사스 레인저스]]와 계약을 맺었으나 시원치 않은 성적을 남기고 2012 시즌을 마이너에서 뛰었다. 메이저리그에서 8년을 뛰면서 기록한 통산 성적은 56승 69패, 평균자책점 4.70, 767탈삼진. === [[SK 와이번스]] === 2012년 6월 [[아킬리노 로페즈]]의 대체 선수로 [[SK 와이번스]]에 입단했다. 입단한지 얼마 되지도 않아 붙은 별명은 역시 [[조지 W. 부시|이름 때문에]] '''[[미국 대통령|솩통령]]'''으로 확정. 공교롭게도 첫 선발 등판인 6월 16일 경기가 [[박찬호]]와 선발 맞대결이 되면서 '''[[먹튀]]를 잡으러 온 전직 [[텍사스 레인저스]] 구단주 [[조지 워커 부시]]''' 같은 각종 드립이 뿜어져 나왔다. 본인이 친분이 있는 [[두산 베어스]]의 [[더스틴 니퍼트]]와 [[삼성 라이온즈]]의 [[브라이언 고든]]이 한국에서 성공하는 것을 보며 한국에 진출할 결심을 했다고. 그리고 메이저리그 180승의 대결[* MLB 커리어중 박찬호는 124승, 부시는 56승 합하면 180승. 이는 한국 기자들이 만들어낸 용어]에서 7이닝 6피안타 3볼넷 5탈삼진 1실점으로 KBO 데뷔 첫 등판에서 승리투수가 되었다. 6월 22일 [[무등 야구장]]에서 열린 [[KIA 타이거즈]]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6⅓이닝 103투구수 7피안타 2볼넷 2탈삼진 4실점 2자책에 실책까지 하며 첫 등판보다는 부진했지만 [[한기주]]의 집필에 힘입어 팀이 스코어 6:4로 재역전승하여 시즌 2승을 거두었다. 6월 28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삼성 라이온즈]]전에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1회부터 마운드가 계속 신경쓰이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그때문인지 불안한 모습을 보이다 결국 3회에 2루수 [[정근우]]의 에러와 안타, [[박석민]]의 선행주자를 아웃시키는 땅볼을 만들어 낸 후 [[진갑용]]을 몸에 맞춰 2사 만루를 만들었다. 다음 타자였던 [[조동찬]]을 중견수 앞 플라이로 만들어 내며 이닝을 마무리하나 싶었는데, 중견수 [[김강민]]이 공을 잃어버렸다. 결국 주자 일소하는 2루타가 되어 3실점을 해버렸다. 이후 이닝을 잘 챙겨가나 싶었으나, 6회에 내야안타에 이은 도루와 단타로 1실점을 추가로 해버리고 강판되었다. 이날 부시의 성적은 5⅔이닝 112투구수 7피안타 3볼넷 6탈삼진 6실점 3자책점으로 첫 패전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그 날부터 SK는 7월 11일까지 8연패라는 충격적인 기록을 세우며 6위로 추락하게 되며, 부시는 그 8연패 기간 동안 2패를 추가했다. 시즌이 지날수록 좋지 않았다. 8월 [[평균자책점]]이 5점대였고 9월에는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10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면서 2012년에 17경기 81⅓이닝 4승 6패 평균자책점 4.43을 기록했고 결국 [[롯데 자이언츠]]와의 [[KBO 플레이오프/2012년|플레이오프]] 엔트리에서 제외되고 말았다. [[2012년 한국시리즈]] 엔트리에는 포함되었지만, 3차전 선발로 나와서 [[2012년 한국시리즈/3차전|1028 대첩]]에 일조했다.[* 이날 부시는 [[불암콩콩코믹스]]에서 [[조지 W 부시]]로 나왔다.] [[롯데 자이언츠]]와의 2012년 플레이오프 엔트리에는 들지 못했지만 [[삼성 라이온즈]]와의 2012년 한국시리즈에는 [[최윤석]]을 대신하여 엔트리에 포함되었고, 1경기 2이닝 1피안타 1볼넷 1사구(死球) 2탈삼진 3실점 2자책점을 기록했다. 팀은 시리즈 전적 2승 4패로 준우승에 그쳤다. 시즌이 지나면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고, [[2012년 한국시리즈/3차전|1028 대첩]]의 임팩트가 너무 큰 탓이었는지 결국 2012 시즌이 끝나고 보류선수 명단에서 제외되며 최종적으로 팀을 떠났다. == 지도자 경력 == 은퇴 후, 한동안 소식이 없다가, 2017년부터 [[보스턴 레드삭스]]의 피칭 애널리스트를, [[201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중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투수코치를 맡았었다. 그리고 2020년부터는 [[보스턴 레드삭스]]의 투수 코치로 재임중이다. 2023 시즌 후 팀을 떠났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isI2cabdH8)]}}}|| 일단 투구폼이 독특한데, 와인드 업을 크게 가지지 않고 아주 짧게 팔을 휘둘러 공을 던진다. 부시의 첫 등판 경기를 중계한 해설진의 평에 의하면 투수가 투구를 하는 폼 보다는 '내야수가 송구를 하는 폼'에 가깝다고 하였다. 패스트볼 구속은 140km/h대 초반으로, 빠르지는 않지만 안정된 제구력과 커브, 체인지업으로 쌓은 메이저리그 출신다운 활약을 기대했으나 한국에서는 적응 문제인지 제구력이 갈수록 나빠지는 추세를 보였다. 극심한 홈-원정 성적차를 보이는 게 특징으로, 8월 말 기준 홈인 [[인천 SSG 랜더스필드|문학 야구장]]에선 '''3승 1패, 평균자책점 2.29'''을 기록했지만 반대로 원정경기에선 '''1승 3패, 5.70'''의 성적이다. 부시의 이런 성적 편차는 한국 [[야구장]]의 열악한 마운드 상태 때문이라고 하는데, 전문가들은 부시가 이닝이 지날수록 깊게 패이는 지방구장의 약한 마운드 흙에 적응하지 못하는 반면 홈인 문학의 마운드는 상대적으로 단단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투구하면서 더 오래 이닝을 소화할 수 있는 것이라 평가하고 있다. 실제로 부시는 원정 등판에서 3-4이닝까지는 무난하게 막다가 그 이후부터는 급속히 무너지면서 볼넷과 안타를 마구마구 허용하는 패턴을 보인다. 2012 시즌 시작 전 [[해외야구 갤러리]]에서 이 선수를 고평가하다가 부시가 시즌 후반 극심한 부진을 보이면서 망신당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04 ||<|2>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16 || 97⅔ || 5 || 4 || 0 || 0 || 0.556 || 3.69 || 95 || 11 || 33 || 64 || 47 || 40 || 1.229 || || 2005 || 25 || 136⅓ || 5 || 11 || 0 || 0 || 0.313 || 4.49 || 142 || 20 || 45 || 75 || 73 || 68 || 1.254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06 ||<|5> [[밀워키 브루어스|MIL]] || 34 || 210 || 12 || 11 || 0 || 0 || 0.522 || 4.41 || 201 || 26 || 58 || 166 || 111 || 103 || 1.138 || || 2007 || 33 || 186⅓ || 12 || 10 || 0 || 0 || 0.545 || 5.12 || 217 || 27 || 56 || 134 || 110 || 106 || 1.401 || || 2008 || 31 || 185 || 9 || 10 || 0 || 0 || 0.474 || 4.18 || 163 || 29 || 61 || 109 || 92 || 86 || 1.141 || || 2009 || 22 || 114⅓ || 5 || 9 || 0 || 0 || 0.357 || 6.38 || 131 || 19 || 54 || 89 || 84 || 81 || 1.469 || || 2010 || 32 || 174⅓ || 8 || 13 || 0 || 0 || 0.381 || 4.54 || 198 || 28 || 75 || 107 || 108 || 88 || 1.509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1 || [[텍사스 레인저스|TEX]] || 17 || 37⅓ || 0 || 1 || 0 || 0 || 0.000 || 5.79 || 47 || 6 || 14 || 23 || 27 || 24 || 1.50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2 || [[SK 와이번스|SK]] || 17 || 81⅓ || 4 || 6 || 0 || 0 || 0.400 || 4.43 || 80 || 8 || 39 || 45 || 45 || 40 || 1.365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3 ||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1 || 3 || 0 || 0 || 0 || 0 || 0.000 || 15.00 || 5 || 4 || 1 || 1 || 5 || 5 || 2.000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 [br] (9시즌) || 211 || 1144⅓ || 56 || 69 || 0 || 0 || 0.448 || 4.73 || 1199 || 170 || 397 || 768 || 657 || 601 || 1.306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17 || 81⅓ || 4 || 6 || 0 || 0 || 0.400 || 4.43 || 80 || 8 || 39 || 45 || 45 || 40 || 1.36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KBO)]]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미국의 야구 코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79년 출생]][[분류:2004년 데뷔]][[분류:2013년 은퇴]][[분류:피츠버그 출신 인물]][[분류:웨이크 포레스트 대학교 출신]][[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밀워키 브루어스/은퇴, 이적]][[분류:텍사스 레인저스/은퇴, 이적]][[분류:SK 와이번스-SSG 랜더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