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PFL 라이트 헤비급 챔피언)] [include(틀:역대 PFL 미들급 챔피언)] ||<-2>
[[파일:20150918092750_827Q4896.jpg|width=100%]]|| || '''{{{#white 이름}}}''' || '''데이비드 브랜치[br](David Branch)''' || || '''{{{#white 국적}}}'''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 || || '''{{{#white 출생지}}}''' || '''[[샬럿(도시)|샬럿]], [[노스캐롤라이나]]''' || || '''{{{#white 거주지}}}''' || '''[[브루클린]], [[뉴욕주|뉴욕]]''' || || '''{{{#white 생년월일}}}''' || '''[[1981년]] [[9월 26일]] ([age(1981-09-26)]세)'''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 '''[[https://www.sherdog.com/fighter/David-Branch-32431| 29전 22승 7패]]''' || || '''{{{#white 승}}}''' || '''6KO, 7SUB, 9판정''' || || '''{{{#white 패}}}''' || '''3KO, 3SUB, 1판정''' || || '''{{{#white 체격}}}''' || '''185cm / 84kg[* 평체는 104kg] / 198cm''' || ||<|4> '''{{{#white 주요 타이틀}}}''' || '''[[WSOF]] 2014 미들급 토너먼트 우승''' || || '''[[WSOF]] 초대 미들급 챔피언''' || || '''[[WSOF]] 2015 라이트헤비급 토너먼트 우승''' || || '''[[WSOF]] 초대 라이트헤비급 챔피언''' || ||<|2> '''{{{#white 기타}}}''' || '''[[WSOF]] 미들급 타이틀 방어 3회''' || || '''WSOF 라이트헤비급 타이틀 방어 1회''' || || '''{{{#white SNS}}}'''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avidcbranchmma, 크기=22)] [[https://facebook.com/davidbranch32/|[[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davidbranch32/|[[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 개요 == 전 UFC 미들급 종합격투기 선수. == 전적 == * 주요 승: 토마시 드르발, [[리치 아토니토]], 제레미 메이, [[도미닉 스틸]], [[더스틴 자코비]], [[파울로 필리오]], 다닐로 빌포트, [[데릭 메히먼]], [[제시 테일러]], [[오카미 유신]], 제시 매컬리것, 테디 홀더, [[클리포드 스탁스]], [[비니 마갈레스]], [[루이스 테일러]], [[크지스토프 조트코]], [[티아고 산토스]] * 주요 패: [[제랄드 해리스]], [[후지마르 팔라레스]], [[앤소니 존슨]], [[루크 락홀드]], [[제라드 캐노니어]], [[잭 허맨슨]], [[알렉산더 슐레멘코]] == 커리어 == === [[UFC]] === 2승 2패의 그저 그런 성적을 거두고 UFC에서 퇴출당했다. 다만 2연승을 하다가 1패를 당해서 퇴출당했는데 퇴출 당하기에는 이르다는 평을 받았었다. === [[WSOF]] === 중소단체에서 [[앤소니 존슨]]에게 판정패를 당했으나 이후 WSOF라는 단체에서 10연승을 하며 엄청난 상승세를 보였다. 이때 해당 단체에서 미들급/라이트헤비급 2체급을 동시에 석권하는 등 매우 인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10연승 중에서는 과거 UFC에서 활동했었던 [[더스틴 자코비]], 다닐로 빌포트, [[제시 테일러]], [[오카미 유신]], 클리포드 스탁스, [[비니 마갈레스]] 등 전 UFC 출신 선수들이 대다수였다. === 다시 [[UFC]] === 이런 활약이 인상적이었는지 다시 UFC에 입성했다. UFC 복귀전 상대는 UFC 211에서 탑10안에 드는 강자 [[크지스토프 조트코]]로 확정되었다. ==== [[크지스토프 조트코]] ==== UFC 211에서 [[크지스토프 조트코]] 상대로 고전 끝에 2:1 스플릿 판정승으로 가까스로 승리했다. 팬들의 반응은 이기긴 했지만 기대했던 경기력에 못 미친다는 평을 받았다. ==== [[루크 락홀드]] ==== UFN 116에서 전 UFC 미들급 챔피언 [[루크 락홀드]]와 메인이벤트로 경기가 성사되었다. 이기면 타이틀샷까지 바라볼수있는 절호의 기회인 셈. 1라운드에는 펀치연타로 락홀드를 위기로 몰고 테이크다운까지 성공시키며 선전하였으나 2라운드에 테이크다운 허용후 파운딩으로 TKO패 당하며 아쉽게 패배하고 말았다. ==== [[티아고 산토스]] ==== UFN 128에서 위험한 타격가 티아고 산토스를 도리어 1라운드만에 펀치로 KO 시키며 대권도전의 발판을 다시 마련하였다. ==== [[제라드 캐노니어]] ==== UFC 230에서 원래 [[호나우도 소우자]]와 대결하기로 되어있었으나 같은 대회를 앞둔 락홀드가 부상으로 빠지며 [[호나우도 소우자]]가 와이드먼 상대로 락홀드 대신 대타로 들어가며 브랜치의 상대가 비어버렸는데 대타로 [[제라드 캐노니어]]가 대체투입 되었는데 여기서 2라운드 29초만에 그만 역전KO패를 당하며 다시 먼길로 돌아가게 생겼다. 경기 내용은 1라운드는 레슬링으로 캐노니어를 고전시키며 1라운드는 가져갔으나 2라운드에 시작한 지 얼마 안돼서 펀치를 제대로 허용하며 역전KO패를 당하고 말았다. ==== [[잭 허맨슨]] ==== UFC on ESPN 2에서 잭 허맨슨에게 경기 시작한지 49초만에 길로틴초크로 초살당하며 커리어 사상 첫 연패를 당하며 대권도전과 완전히 멀어졌다. ==== 약물 적발 ==== 이후 약물 적발을 당했는데 ipamorelin이라는 성장호르몬 촉진약물류에 걸리며 2년 출전 자격정지를 당하고 UFC에서 또다시 퇴출당하는 불명예스러운 기록을 남겼다. 팬들의 반응은 약물을 하고도 경기력이 그 모양이냐는 비아냥을 들었다. 그나마 같은 약쟁이인 [[안토니오 실바]]보다는 낫다는 평. 인터넷에 자신의 몸 상태 사진을 올렸는데, 가히 [[파울로 코스타]] 저리가라 할정도로 벌크업이 된 모습이었다. 그리고 중소단체에서 같은 약쟁이 출신인 [[알렉산더 슐레멘코]]와 경기를 가졌으나 1라운드만에 길로틴초크로 패배했다. == 파이팅 스타일 == 레슬링, 주짓수[* [[헨조 그레이시]]에게 블랙벨트를 수여받았다.], 타격 모두 평균 이상을 웃도는 웰라운드 파이터다. 경기 스타일은 압박으로 케이지로 밀어붙이고 더블렉으로 테이크다운시키거나 상대가 들어오면 카운터 싱글렉으로 테이크다운 시킨 후 상위포지션에서 안정적인 경기를 펼친다. 상대가 클린치 상황에서 더블 언더훅을 성공시키면 긴 팔을 이용해 양 손을 맞잡아 언더훅을 무력화시키는 디펜스를 활용한다. 케이지를 활용한 테이크다운 디펜스도 준수하다. 그라운드에서는 상위압박이 상당해서 압박패스, 빠른 포지션 전환에 능하고 상대가 이스케이프할 각을 만들게 하기 어렵게한다. 못 나오면 암 트라이앵글 초크를 노리고 빠져나오면 리어 네이키드 초크나 스크램블 상황에서 길로틴, 다스같은 앞목초크를 노린다. 타격에서는 긴 리치에서 나오는 빠르고 간결한 잽을 바탕으로 한 원투를 주 무기로 활용한다. 자신보다 긴 자코비를 상대로 잽싸움에서 리드를 가져가며 역전승을 이끌어냈고 훅잡이인 산토스전에선 아예 피니쉬까지 갔다. 슬립 후 카운터 오버핸드의 활용과 후속 연타능력도 좋아 락홀드를 피니쉬 직전까지 갔다. 롱가드를 활용한 리치 디펜스에도 능해 상대입장에선 파고들기가 어렵다. 풋워크도 능숙해 몰린다 싶으면 사이드스텝으로 빠져나가는 능력도 좋다. 킥 활용도 나쁘지 않아서 잽 거리보다 멀리 있을땐 레그킥이나 앞발 바디킥을 활용한다. 약점은 클린치시 너무 수세적인 경향이 있다. 클린치상황땐 케이지에 몰려 언더훅을 생각보다 잘 내준다. 상대가 프레이밍을 주고 타격하게 되면 대처능력이 떨어진다. 하단 테이크다운을 선호해 상대가 길로틴 초크를 활용할 수 있는 여지를 준다. 상위포지션에서 압박패스능력은 좋으나 파운딩을 통한 가드패스는 잘 활용하지 않는다. 타격에선 락홀드처럼 킥에 능한 선수들에겐 취약한 경향이 있다. == 기타 == [[데릭 브런슨]]에게 주짓수 퍼플벨트를 [[https://facebook.com/photo.php?fbid=10154103065897872|수여한 적이 있다.]] [[분류: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1981년 출생]][[분류:2007년 데뷔]][[분류:샬럿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