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NASCAR 컵 시리즈 챔피언)] [목차] == 개요 == Dale Earnhardt 1951. 04. 29 ~ 2001. 02. 18 데일 언하트(Dale Earnhardt)는 미국의 스톡카 드라이버 겸 팀 오너로, 나스카 컵 시리즈의 전신인 나스카 윈스톤 컵에서 활동하였다. 그는 7회의 윈스턴 컵 챔피언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리처드 페티와 [[지미 존슨]]이 낸 기록과 타이 기록이다. == 생애 == === 나스카 커리어 === 언하트의 커리어는 1975년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1980, 1986, 1987, 1990, 1991, 1993, 1994년간 총 7회 챔피언에 올랐으며, 1975년~2001년까지 총76승을 거두었다. ==== 로드 오스터룬트 레이싱(1979~1980) ==== ==== 로드 오스터룬트/스테이시/리처드 칠드레스 레이싱(1981) ==== ==== 버드 무어 엔지니어링(1982~1983) ==== ==== 리처드 칠드레스 레이싱(1984~2001) ==== === 사망 === [youtube(3o7Huvi8JAA)] 2001년 2월 18일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데이토나 500에서, 데일 언하트는 [[마이클 월트립]]과 [[데일 언하트 주니어]][*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데일 언하트의 아들이다.]가 1/2위를 지키도록 3위 자리에서 스털링 마를린의 추월 시도를 막고 있었다. 상위권 순위는 그 상태로 유지되어 있었고, 마지막 랩의 4번째 코너에서 마를린의 40번 닷지에게 후미를 받히게 된다. 언하트는 차체를 바로잡으려 했으나 바로 뒤에서 따라오던 슈레이더의 차량에게 그대로 우측면을 들이받혔고, 250km/h가 넘는 속도로 벽을 들이받고 만다.[* 이 충격으로 조수석 뒷바퀴가 차체에서 떨어져 나갔으며, 본넷 고정장치가 파손되어 전면 윈드실드에 본넷이 수차례 부딪혔다.] 이후 추가 충돌 없이 슈레이더의 차량이 언하트의 차량을 미는 형태로 피트로드와 트랙 사이의 풀밭으로 빠져나갔다. 슈레이더는 다행히 경미한 부상만 입고 차를 빠져나왔고, 언하트의 상태를 보러 다가간 순간 언하트가 죽었음을 직감했다. 일반적으로 피트까지 자력으로 주행하지 못할 수준의 사고가 발생했을 때는 당시의 나스카 규정상 보고 후 주변 병원으로 이송되지만, 언하트는 사고 직후 바로 [[구급차]]를 타고 핼리팩스 메디컬 센터로 이송되었다. 그의 소생 시도는 결국 실패로 돌아갔고 5시 16분에 사망 선고가 내려졌다. '''그렇게, 아버지는 아들의 순위를 지키다 세상을 떠났다.''' ==== 여파 및 여담 ==== 이 사건으로 스톡카 레이싱의 안전 규정이 다시 한번 강화되었다. 팀들은 5점식 벨트를 6점식 안전벨트로 바꿔 달았으며, HANS의 도입에 관한 규정이 바로 나오지는 않았으나 드라이버 43명 중 41명이 펩시 400 레이스에서 HANS를 달고 참전하였다. 그리고 헬멧 관련 규정도 얼굴을 완전히 뒤덮는 헬멧을 필수 착용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또한 'Car Of Tomorrow'라는 이름의 새로운 섀시가 개발되어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사용되었다. 한편으로 데일 언하트와 직접 충돌한 스털링 마를린은 '언하트가 당신 때문에 죽었다.'라 주장하는 이들에게서 혐오 메일이나 살해 협박을 지속적으로 받았고, 결국 데일 언하트의 아들 데일 언하트 주니어가 더 이상 마를린에게 책임을 묻지 말아 달라고 직접 요청했다. 물론 마를린도 2월 20일에 자신은 절대 고의적으로 그를 충돌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거기에 더해 언하트의 차에 들어가는 안전벨트를 납품한 심슨 퍼포먼스 프로덕츠의 빌 심슨도 데일 언하트의 팬들에게 살해 위협을 받아야 했다. 언하트는 나스카에서 모든 커리어를 다 쌓아올린 전설적인 드라이버였지만 유독 데이토나 500에서는 고전한 것으로 유명했는데, 특히 1990년 데이토나 500에서 200랩 중 155랩을 리드하고 파이널 랩에서 플랫 타이어로 인해 우승에 실패한 것이 대표적이다. 언하트는 끝끝내 1998년 데이토나 500에서 우승을 차지해 한을 풀었고 성대한 축하를 받았으나 그의 끝 또한 데이토나 500이 되었다. 당일 경기 173번째 랩에서 [[토니 스튜어트]]의 전복 사고로 유명한 [[https://youtu.be/CqlT_GkIsaQ|18대가 엮이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는데]], 언하트가 이 사고에 엮였더라면 사망하지 않았을 수도 있었다.[* 잘 보면 유유히 빠져나가는 언하트의 검은색 쉐비가 보인다.] 2001 데이토나 500은 폭스 스포츠에서 중계한 사상 첫 공식 경기로, 나스카 팬들에게 익숙했던 간판 중계진 마이크 조이, 대럴 월트립, 래리 맥레이놀즈가 합을 맞춘 첫 경기다. 대럴 월트립은 2000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한 드라이버 출신인데 컵 챔피언만 세 번, 데이토나 500마일 우승 1회 포함 84승을 거머쥔 전설적인 드라이버이자, 언하트의 라이벌이자 친구였다. 월트립은 은퇴 후 출범한 폭스 스포츠 온 나스카에 해설위원으로 데뷔해 2019년까지 나스카 팬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대표적인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당일 경기 우승자인 마이클 월트립은 성씨만 봐도 알 수 있듯 대럴의 동생인데, 1986년에 첫 풀타임 시즌을 보내 이때까지 개근했지만 이 경기 전까지 우승한 경기는 하나도 없었고 잊을만 하면 대형 사고를 내는, 형의 실력을 못 따라가는 드라이버였다. 그러던 그가 2001년 시즌부터 데일 언하트, Inc.로 팀을 옮겨 시즌을 보내게 됐는데, DEI 소속으로 출전한 첫 경기에서 마침내 첫 우승을 가장 상징적인 데이토나 500에서 거둔 것이다. 팀의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데일 언하트가 소유한 팀이었으며[* 정작 본인은 리처드 차일드레스 레이싱 소속이었다.], 이날 경기에서 2위를 차지한 그의 아들 또한 DEI 소속이었다. 형의 친구이자 자신의 친구이기도 한 언하트의 팀에 들어와 자신의 형이 중계 부스에서 지켜보는 첫 경기에서 우승하게 된 드라마틱한 순간이었으나, 언하트의 사고로 인해 비극적인 순간이 되었다. 마이클 월트립은 경기 후 빅토리 레인에서 축하를 하던 중 언하트의 소식을 듣게 되었는데, 후에 그가 말하길 생애 최고의 순간에서 최악의 순간으로 바뀌었다고 했다. 많은 사연이 얽힌 감격스런 첫 우승에도 소식을 듣자마자 착잡해져 더이상 축하를 받을 만한 상황이 아니게 되었고, 결국 마이클은 2년 뒤 2003년 데이토나 500에서 우승해 한을 달래야 했다. 팬들은 처음에는 언하트의 사고가 별 것 아니라고 생각하기도 했다. 그도 그럴게 '''일단 어디까지로나 겉으로는''' 얌전한 사고 같아 보였고, 결정적으로 [[https://youtu.be/2KYRgKUI81k|1996년 탈라데가에서 일어난 대형 사고에서 걸어나오는 등]][* 사실 걸어나올 몸 상태는 전혀 아니었다. 단지 실려 나오면 팬들이 걱정할까봐 무리해서 걸어나온 것.] 숱한 사고에도 멀쩡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레이스 관계자들이 보기에는 상당히 심각한 사고였으며, 특히 자신의 동생이 마침내 첫 우승을 거머쥐어 눈시울을 붉힌 대럴 월트립이 언하트의 걱정을 그 순간에도 입 밖으로 냈을 정도였다. 사고로 언하트가 사망한 뒤 열린 첫 경기이자 정규 시즌 두 번째 경기인 듀라 루브 400(록킹엄)에서 DEI 소속 스티브 파크가 우승을 차지해 언하트 생애 마지막 경기, 사후 첫 경기를 모두 DEI가 우승하는 데 성공했다. 언하트의 사망으로 공백이 생긴 리처드 칠드레스 레이싱의 한 자리는 바로 전 시즌 2부 리그 쯤에 해당되는 부시 시리즈(현재의 Xfinity 시리즈)에서 3위를 차지한 25살의 어떤 드라이버에게 29번 차를 몰게 해 메꿨는데, 그 드라이버는 개인 통산 3번째 경기이자 당해 정규 시즌 4번째 경기인 크래커 배럴 올드 컨드리 스토어 500(애틀랜타)에서 2위 [[제프 고든]]과 간발의 차이로 우승을 차지하는 명장면을 만들어 내며 화려하게 데뷔한다. 그 드라이버가 [[케빈 하빅]]이다. 하빅은 그 시즌에 최종 4위를 차지해 신인왕 또한 차지했다. 사고 이후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첫 경기인 펩시 400에서는 '''그의 아들 데일 언하트 주니어가 1위, 데이토나 500 챔피언 마이클 월트립이 2위'''를 차지하는 드라마틱한 결과가 나왔다.[* 상술했듯 이 둘은 언하트가 소유했던 DEI 소속 동료다.] 데이토나 500 1, 2위가 2, 1위를 차지한 것인데, 아버지를 잃은 뒤 첫 우승을 그가 사망한 데이토나에서, 그것도 바로 직후 경기에서 거머쥐어 그 의미가 더욱 컸다. 또한 월트립은 언하트의 사망으로 인해 우승의 기쁨을 누리지 못했는데, 펩시 400에서 언하트 주니어와 함께 세레모니를 하며 나스카 역사상 한손에 꼽힐 명장면을 만들어 냈다. 2001년 컵 시리즈 챔피언에는 [[제프 고든]]이 등극했는데, 그는 1993년 시즌에 첫 풀타임을 치르고 1995년 컵 챔피언에 오름으로써 90년대 후반에 살아있는 전설 언하트 vs 전설이 될 고든 라이벌 구도를 만들어낸 드라이버였다. 고든은 이 시즌에 우승을 차지하며 통산 4번째 컵 챔피언에 올랐다. 언하트의 사망 이후 그의 상징인 리처드 칠드레스 레이싱 3번 쉐비는 아무도 사용하지 않다가 2009~11년 트럭 시리즈, 2012~13년 네이션와이드 시리즈(현재 Xfinity 시리즈)에서 RCR 소속 [[오스틴 딜런]]이 사용한 뒤, 2014년 시즌 딜런의 컵 시리즈 풀타임 데뷔가 확정된 뒤 그가 3번 쉐비를 몰며 컵 시리즈에 복귀한다. 딜런은 현재까지도 시즌 10위 내에 들어본 적도 없는 드라이버여서, 마치 야구계에서 신성시되던 [[베이브 루스]]의 60홈런 기록을 [[로저 매리스]]가 경신했을 때처럼 나스카에서 성역화된 언하트의 3번을 니까짓게 모느냐는 욕을 상당히 많이 먹었다.[* 물론 딜런에게 3번을 허용한 것은 리처드 칠드레스, 데일 언하트의 가족에게만 허용됐기 때문으로 명분은 있었기 때문에 대다수의 팬들은 문제삼진 않았다.] 하지만 그가 언하트의 유일한 데이토나 500 우승 20주년인 2018년 데이토나 500에서 --과정이 어찌 됐든-- 우승을 차지하며 3번 쉐비가 데이토나 500 빅토리 레인에 돌아오는 뜻깊은 순간을 만들어주긴 했다. == 여담 == 그의 아들 데일 언하트 주니어와 손자 제프리 언하트도 나스카 레이서이다. [[신세기 GPX 사이버 포뮬러]]에 나오는 [[레온 앤하트]]의 성은 그에게서 따왔다. [[분류:모터스포츠/관련 인물]][[분류:미국의 레이서]][[분류:1951년 출생]][[분류:2001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