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덴마크)] ||<-7>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덴마크 외교 관련 틀''' [[파일:덴마크 국장.svg|width=20]]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북유럽의 외교)] [include(틀:덴마크의 대외관계)] [include(틀:덴마크 관련 문서)] }}} || [목차] == 개요 == [[덴마크]]의 외교에 관한 문서. == [[아시아]]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크기=40)] [[대한민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국-덴마크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출력=, 크기=40)] [[북한]]과의 관계 === 덴마크는 [[북한]]과 외교관계를 맺었지만, 대사관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다른나라의 대사관을 통해 북한을 겸임하고 있다. 덴마크의 구호단체 미션 이스트가 평양 주재 사무소를 열었다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11098158|#]] 2020년 10월 15일 북한측은 국제사회의 제재를 회피하려 했다는 내용의 다큐멘터리 영화가 거짓이라고 주장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129445|#]]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한국-덴마크 관계, version=420, paragraph=3)] === [include(틀:국기, 국명=인도, 출력=, 크기=40)] [[인도]]와의 관계 === [[인도]]와는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덴마크내에도 인도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 [[안다만니코바르 제도]]가 덴마크의 지배를 잠시 받은 적이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이란, 출력=, 크기=40)] [[이란]]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덴마크-이란 관계)] 덴마크는 이란과 외교관계를 맺었다. 하지만 이란이 반서방 국가이기 때문에 갈등이 있는 편이고 종교와 관련된 것에서도 갈등이 있다. 2000년대에 무함마드와 관련된 만평으로 인해 주 이란 덴마크 대사관앞에서 시위가 발생했고 이란에서도 반 덴마크 운동이 발생되는 등 양국간에 갈등이 있다. 2020년 10월 7일에 덴마크 정부는 주 덴마크 이란 대사관이 덴마크에 살고있는 이란 여성으로 하여금 현지 이슬람 성직자가 여성측에게 불리하게 작성한 이혼 조건을 받아들이도록 종용했다는 의혹으로 주재 이란 대사를 초치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10114150|#]]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출력=, 크기=40)] [[중국]]과의 관계 === 덴마크산 돼지고기가 중국으로 많이 수출되며, 동시에 중국인들도 덴마크에 많이 여행오는 등 사이는 그렇게 나쁘지 않았지만 코로나 사태 이후로 덴마크에서도 반중감정이 심해졌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421&aid=0004430735|한 때 덴마크의 한 신문에 별 부분을 코로나바이러스 입자로 바꾼 오성홍기 만평을 실었다가 중국 측에서 강하게 항의한 적이 있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010020000074?input=1195m|또한 덴마크의 한 작가가 천안문 사태를 추모하는 내용의 조각상을 만들어서 홍콩에 기증했다가 중국이 민주화 흔적을 지우기 위해서 이 조각상을 철거하려 하자 건드리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2018년 4월 18일, 인도와 아이슬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와의 첫 정상회의가 개최됐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0032323?sid=104|#]] 2021년. 코펜하겐 대학교의 중국인 교수가 중국 인민해방군과 손잡고 고산병 연구한 것으로 드러났다.[[https://m.yna.co.kr/view/AKR202111190524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유럽]] == === [include(틀:국기, 국명=핀란드, 출력=, 크기=40)] [[핀란드]]와의 관계 === [[핀란드]]와도 우호적인 관계다. 직선으로 가려면 [[스웨덴]]을 통해 육로로 나간 뒤 다시 여객선으로 오거나, 아예 항공편을 이용해야 한다. 참고로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에 핀란드가 언급된다. === [include(틀:국기, 국명=노르웨이, 출력=, 크기=40)] [[노르웨이]]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덴마크-노르웨이 관계)] 노르웨이와는 한때 노르웨이가 덴마크의 지배를 받기도 했고, 현재 두 국가의 왕실 가문도 [[글뤽스부르크 왕조]]로 한 가문 이라(현 덴마크 여왕 마르그레테 2세와 노르웨이 국왕 하랄 5세는 6촌) 사이가 굉장히 좋다. 같은 NATO의 회원국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양국의 군사 무기 규격도 F-16A/B 전투기나 C-130 수송기로 같은 미제 무기들을 운용하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스웨덴, 출력=, 크기=40)] [[스웨덴]]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웨덴-덴마크 관계)] [[스웨덴]]은 다른 북유럽 국가와 함께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특색을 가지고 있어 교류 관계가 굉장히 깊다. 그만큼 라이벌 관계기도 하지만, 왕실은 친척 관계이다. (현 덴마크 여왕 마르그레테 2세와 스웨덴 국왕 칼 구스타프 16세는 사촌) 스웨덴으로 갈 수 있는 [[외레순 다리]]가 관통한다. === [include(틀:국기, 국명=독일, 출력=, 크기=40)] [[독일]]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독일-덴마크 관계)] 과거 2차 슐레스비히 전쟁에 패해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지방을 통째로 독일에 넘겨준 적도 있고 [[2차 세계 대전]]당시 [[덴마크 보호령|독일의 침략]]을 받은 적이 있어서 국민감정이 있는 편이다. 독일과 덴마크를 잇는 터널이 2029년까지 완공될 예정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421&aid=0004951813|#]] === [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출력=, 크기=40)] [[네덜란드]]와의 관계 === 덴마크는 1521년 184명의 네덜란드 농부를 초청하여 코펜하겐 궁전에 야채를 공급하는 대가로 아마게르 섬에 정착하도록 했다. 네덜란드 이민자들은 덴마크 세금에서 면제되었으며 1823년까지 대부분의 야생 동물을 사냥할 수 있고 자체 사법제도를 갖는 등의 특권을 받았고 현재도 외교, 경제 관계가 활발하다. ===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 출력=, 크기=40)] [[러시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러시아-덴마크 관계)] [[러시아]]의 경우 과거 소련 시절부터 전통적으로 유대 관계를 맺었고, [[소련]]은 대서방 외교 정책의 일환으로 [[스웨덴]]과 함께 서양 문물을 처음 접하는 경로로 쓰기도 했다. 그러나 유럽 평의회 회원국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는 사이가 좋지 못했다. 2002년에는 [[위버링겐 상공 공중충돌 사고]]로 러시아와 덴마크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행할 때도 덴마크 입장에서는 러시아에게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출력=, 크기=40)] [[영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영국-덴마크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아이슬란드, 출력=, 크기=40)] [[아이슬란드]]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덴마크-아이슬란드 관계)] 아이슬란드는 덴마크의 오랜 지배를 받았다. 19세기에 아이슬란드는 덴마크 왕국과 갈등을 빚었다가 덴마크측에서 [[아이슬란드 왕국]]을 세웠다. 1944년에 아이슬란드가 공화국으로 독립했다. 아이슬란드가 덴마크의 지배에서 벗어난 뒤, 교류, 협력이 많아지고 있다. === [include(틀:국기, 국명=에스토니아, 출력=, 크기=40)] [[에스토니아]]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덴마크-에스토니아 관계)] === [include(틀:국기, 국명=코소보, 출력=, 크기=40)] [[코소보]]와의 관계 === 덴마크는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했다. 이에 양국간에 교류,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코소보내 경제적인 상황에 의해 코소보쪽에서 덴마크로 이주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2021년 12월 20일에 덴마크와 코소보는 교도소 임대차 계약을 체결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1222003000109?section=international/europe|#]] == [[아메리카]] ==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크기=40)] [[미국]]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미국-덴마크 관계)] 17세기부터 덴마크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당시 덴마크령은 [[미국]]에게 양도하면서 [[미국령 버진아일랜드]]가 되었다. 그리고 미국 독립 직후에는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다. 지금까지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내에도 [[덴마크계 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고 2018년에 백악관 경제 자문 위원회(CEA)가 덴마크에 관한 '사회주의의 기회 비용'이라는 72페이지의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덴마크가 격분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435205|#]] 도널드 트럼프가 [[그린란드]] 매각을 제안했지만 덴마크 여론은 싸늘했고, 트럼프의 방문이 취소되어 양국 관계가 냉각되었다. [[조 바이든]]이 취임한 이후에는 그래도 사이가 예전처럼 괜찮아진 편이다. 양국은 [[북극이사회]] 회원국들이다. ===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출력=, 크기=40)] [[캐나다]]과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캐나다-덴마크 관계)] 캐나다와 덴마크는 미국과 마찬가지로 교류, 협력이 활발하다. 그리고 미국과 마찬가지로 양국은 북극이사회 회원국들이다. 하지만 한스 섬을 두고 영토갈등이 존재했지만, 2022년 6월에 양국이 한스 섬에 대한 영토갈등을 해결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202495?sid=104|#]] === [include(틀:국기, 국명=그린란드, 출력=, 크기=40)] [[파일:덴마크 원형.png|height=16]] [[그린란드]]와의 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덴마크-그린란드 관계)] 그린란드는 17세기 이후, 덴마크의 영토로 편입됐다. 덴마크와 그린란드는 2009년에 자치권 확대에 합의했고 그린란드는 덴마크로부터 독립을 추진하고 있다. 덴마크내에는 소수의 그린란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 지역별 관계 == * [[한국-덴마크 관계]] * [[덴마크-이란 관계]] * [[러시아-덴마크 관계]] * [[독일-덴마크 관계]] * [[영국-덴마크 관계]]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 관계]]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덴마크-아이슬란드 관계]] * [[덴마크-에스토니아 관계]] * [[미국-덴마크 관계]] * [[캐나다-덴마크 관계]] * [[덴마크-그린란드 관계]] == 관련 문서 == * [[유럽연합]]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발트해 국가 이사회]]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NB8]] * [[녹색성장 및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 * [[대국관계일람/유럽 국가/북유럽 국가]]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덴마크, version=1037, paragraph=14)] [[분류:덴마크의 외교]][[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