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유희왕]]의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Graverobber-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도굴꾼'''|| || 일어판 명칭 ||'''[ruby(墓, ruby=はか)]あらし'''[* [[유희왕 R]]에서는 현재 표기대로 바뀌었다.]|| || 영어판 명칭 ||'''Graverobber'''|| ||<-2> 마법 / 함정 || ||<-2>상대 플레이어의 묘지에 놓여진 카드를 한 장 빼앗는다!!|| 원작에서 [[죠노우치 카츠야]]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듀얼리스트 킹덤 편|듀얼리스트 킹덤 편]]을 비롯하여 후반까지 계속 애용한 카드. 어떤 카드든 묘지에서 훔쳐 올 수 있는 덕분에 함정이나 몬스터도 선택할 수 있었으며, 선택한 카드 즉석에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자랑한다. 덕분에 사용할 때마다 그를 궁지로부터 구해낸 기사회생의 카드라 할 수 있다. 특히 [[듀얼리스트 킹덤]] 준결승전에서는 [[밴디트 키스]]와의 듀얼 중 [[시간의 기계-타임머신]]을 빼앗아 와 결정적인 순간에 승리에 공헌했으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는 [[인섹터 하가]]와의 듀얼 중 하가 묘지의 [[종족 말살용 카드|살충제]]를 가져와 [[곤충 여왕]]을 소멸시키거나, [[리시드]]와의 듀얼 중 [[어리석은 매장]]의 효과로 묘지로 보낸 [[인조인간 -사이코 쇼커-]]를 되살리기도 했었고, 배틀 시티 준결승 상대 결정 배틀 로얄에선 [[어둠의 마리크]]의 [[통혼의 주술]]을 가져와 카이바의 파괴륜의 데미지를 마리크에게 떠넘겨 마리크의 라이프를 제로로 만들어 길동무로 삼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오리지널 에피소드에서는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리스트 킹덤]] 결승전에서 [[데몬 소환]]을 훔쳐 와 [[흉내쟁이 환술사]]로 [[융합(마법 카드)|융합]]을 복사해 [[블랙 데몬즈 드래곤]]을 융합 소환해 듀얼의 주도권을 쥐고 유우기를 압박했다. 또한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에서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3위 결정전]]에서는 '''[[에너미 컨트롤러]]'''를 가져와 엄청난 양의 커맨드를 입력하는 것도 하나의 묘미. ~~← → A ↑ ← ↓ → A ← ↓← → A ↑ ←~~ 그리고 대망의 리얼 파이트 듀얼이었던 바론과의 듀얼에서는 빅뱅 블로우를 빼앗아와 헤르모스와 융합시켜 빅뱅 드래곤 블로우를 탄생시켜 격전의 연속이었던 듀얼을 결판내는 데에 공헌했다.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타카스]]와의 듀얼을 앞두고 죄수들에게 기증받은 덱의 카드 중 하나로 나온다. 하지만 듀얼 중에 직접 사용되지는 못하고 묘지로 보내졌다. === [[유희왕/OCG|OCG]] === || [[파일:墓荒らし.jpg|width=10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Graverobber-DB1-EN-C-UE.jpg|width=98%]] || || 내수판 || 수출판 || || 한글판 명칭 ||'''도굴꾼'''|| || 일어판 명칭 ||'''[ruby(墓荒, ruby=はかあ)]らし'''|| || 영어판 명칭 ||'''Graverobber'''|| ||<-2> 일반 함정 || ||<-2>상대의 묘지에 있는 마법 카드 1장을 선택하여, 턴 종료시까지 자신의 패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마법 카드를 사용했을 경우, 2000 포인트의 데미지를 받는다.|| 원작에 비해 상당히 너프를 먹었다. 이와 비슷한 카드로 [[마루후지 료]]가 사용한 로스트 프라이드가 있는데, 자신의 마법 카드 1장을 코스트로 상대방의 묘지의 마법 카드를 패로 가져오는 효과를 사용해, [[강제전이]]를 묘지로 보내고 스크랩 퓨전을 패에 넣어, [[사이버 오우거|사이버 오우거 2]]를 융합 소환하는 데 써먹었다. 가져온 마법 카드를 사용하기 위한 라이프 코스트가 크긴 하지만 코스트를 집행하는 방식이 '''라이프를 지불하는''' 게 아니라 '''데미지를 받는''' 형식이라 [[블랙 페더 드래곤]]이나 [[데스 웜뱃]] 등으로 막을 수 있다. 듀얼에서 '''[[신의 경고|라이프 2000 따윈]] [[프레데터 플랜츠 베르테 아나콘다|그냥 내주고 마는]]'''게 일상이기 때문에, 라이프가 아까워서 안 쓰는 건 아니다. 거기다가 '''카드를 코스트로 써서 [[어드밴티지]]가 -1이 되는 [[이중마법]]'''과 달리 어드밴티지를 잃지 않으면서 상대 마법 카드를 스틸한다는 건 정말이지 매력적이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상대의 묘지에 의존한다는 점, 그리고 효과의 특성상 사실상 자신의 턴에만 쓸 수 있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역으로 상대가 묘지의 마법 카드를 우려먹는 효과를 발동하였을 때에 카운터로 쓰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유희왕은 종족 특화나 테마 특화 카드들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기에 유용성은 떨어지는 편. 역시 해외판에서는 [[탄압|십자가를 모조리 털리고 묘비 모양도 바뀌었다.]] == 관련 카드 == === [[도굴꾼 구울]] === === [[도굴꾼의 보복]] === === [[무기창고 도굴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