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ドボン 일본에 [[원카드]]급으로 널리 퍼진 카드 게임. '페이지 원'에 마작의 쏘는 규칙과 용어를 섞었다. 게임의 목적은 가지고 있는 손패를 전부 떨어내는 것이다. == 기본 룰 == 보통 한 게임에 인원은 2~6명 정도다. 한 사람 당 5장의 패를 가지고 시작한다. 먼저 인원이 둘러앉은 다음 트럼프 카드를 중앙에 놓는다. 카드를 섞고 각 사람에게 패를 5장씩 나눠준 다음 그와 별도로 한 장을 앞에 내놓는다. 가장 높은 카드를 받은 사람이 먼저 시작한다. 마지막으로 맨 위의 카드 한 장을 그림이 보이도록 카드 뭉치 옆자리에 놓는다. 시계방향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보이게 뒤집어 놓은 카드 뭉치의 맨 위에 있는 카드와 동일한 숫자 또는 무늬의 카드를 뭉치 위에 계속해서 한 장씩 올려놓으면서 자신의 모든 카드를 가장 먼저 소모하면 승리한다. 기본적으로 한 장씩만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5가 제시되어 있다면 같은 하트 무늬의 카드 중 하나나 ♠5, ♣5, ♦5 중 하나를 낼 수 있다. 만약 자기가 가진 카드 중에서 올려놓을 수 있는 카드가 없다면 대신 카드 한 장을 가져가고 다음 사람에게 순서를 넘겨야 한다. 단, 가져간 카드가 낼 수 있는 카드일 경우 바로 내도 된다. 그리고 자기가 가진 카드가 1장이 되는 순간 "리치"를 선언한다. 그리고 주로 "원카드"를 외치면 다른 사람들은 한 장씩 먹어야 한다. 그러나 만약 자신을 제외한 다른 사람이 먼저 "원카드"를 외쳤다면 벌칙으로 본인이 카드 한 장을 먹어야 한다. 이 룰이야말로 원카드의 묘미다.[* 참고로 "아메리칸 페이지 원"에서는 남은 카드가 2장이 되었을 때 "페이지 원", 마지막 카드를 낼 때 "스톱"이라고 말해야 한다. 말하지 않을 경우 패널티로 3장 또는 5장의 카드를 가지게 된다.] 이상의 기본 룰은 거의 공통적이지만 지역별로 특수한 추가 규칙이 존재하기도 한다. 같은 지역이라도 동네마다 룰이 사소하게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혼란 방지를 위해 시작하기 전에 미리 합의를 보는 것이 좋다. * 보통 남은 카드의 수를 상대방이 알 수 있게 드는 것이 원칙이지만 카드를 겹쳐 들어서 상대방이 남은 카드의 수를 모르게 하는 방식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 여러 장을 동시에 낼 수 있는 룰 === 이 방법으로 한번에 여러 장을 내서 패가 0장이 된다고 해도 주로 리치를 선언해야 한다. * 퐁(ポン), 깡(カン) 예를 들어 ♠5가 있다면 ♥5, ♣5, ♦5를 동시에 낼 수 있다. 내는 순서는 별 상관이 없지만 가장 나중에 낸 것만 다음 차례에 적용된다. 9의 효과는 1개만 낸 것과 같은 것으로 친다. 단, J와 2는 효과가 중첩한다. * 같은 문양의 카드 + 낸 카드의 다른 문양에 4개의 동일한 숫자 같은 문양의 카드를 내고 낸 카드와 다른 문양에 동일한 숫자의 카드를 낼 수 있는 룰이다. 예를 들어 ♠5가 있다면 스페이드 카드를 아무거나 내고 낸 카드와 같은 숫자의 카드를 네 장 낼 수 있다. ex) ♠5일 때 ♠3, ♥3, ♣3,♦3을 동시에 낼 수 있다. === 카드의 능력 === 아래에 번호별 적용시키는 능력을 모두 나열한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2 카드 ==== * 능력 : 자신의 다음 차례 사람에게 2장을 먹인다. * 공격을 받은 상대는 반드시 2를 내야 하며, 내지 못하면 카드를 먹고 차례를 넘긴다. * 공격에는 누적효과가 있다. ==== 8 카드 ==== * 능력 : 카드를 낸 후 자신이 원하는 무늬로 바꿀 수 있다.(속칭 '''체인지'''.) * 예를 들어 ♣8을 내고 스페이드라고 말하면 이것은 스페이드로 취급한다. 물론 내기 전에 무늬를 바꿔서 내는 것은 안되며,[* 예를 들어 ♠5가 있는 상태에서 클럽이라고 외치며 ♣7을 낼 수는 없다.] 8카드를 낸 이후 다음 차례의 사람은 다시 8 카드를 내거나 바뀐 무늬의 카드를 내야 한다. ==== J 카드 ==== * 능력 : 현재 진행 방향으로 한 사람을 건너뛰어 그 다음 사람에게 차례를 넘긴다.(속칭 '''점프'''.) * A→B→C→A의 순서로 게임을 진행할 시 A가 J를 내면 사용하면 바로 C의 차례다. 인원이 2명일 경우 한 번 더 자신의 턴이 오는 것으로 취급된다. ==== 9 카드 ==== * 능력 : 게임의 진행 방향을 반대로 바꾼다.(속칭 '''빽''', '''리버스'''.) * A→B→C→A의 순서에서 C가 9카드를 사용하면 그 이후로는 C→B→A→C가 된다. 따라서 1:1 매치의 경우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다. === 도봉 === 들고 있는 카드의 값이 상대가 낸 카드의 값과 같으면, 마작의 '론'처럼 해당 상대를 쏠 수 있다. 여기서 J/Q/K의 값은 11/12/13이다. 상대가 퐁이나 깡을 해서 여러 장을 냈을 때 낸 패의 총합만큼 들고 있으면 역시 도봉이 성립된다. 예시 1: A가 ♠3을 냈는데, B가 ♥A, ♣2를 들고 있다. 이때 B는 A를 쏠 수 있다. 예시 2: 제시된 카드가 ♠5여서 C가 깡을 선언하고 ♥5, ♣5,♦5를 냈다. D는 나는 ♥Q, ♣3을 들고 있다. 이때 D는 C를 쏠 수 있다. 또한, 상대가 낸 카드의 값과 같은 카드가 여러 장 있어도 도봉이 성립된다. 예시 3: E가 ♠5를 냈다. F는 ♥5, ♣5를 들고 있다. 이때 F는 E를 쏠 수 있다. 한편 쏜 상대를 역으로 쏠 수 있다. 예시 2: 제시된 카드가 ♠10이어서 G가 깡을 선언하고 ♥10, ♣10,♦10을 냈다. H는 ♥J, ♣J, ♣8을 들고 있어서 G를 일단 쏘았다. 그런데 G의 손패는 무려 ♣9, ♥7, ♦5, ♠4, ♦3, ♣A, ♥A여서 G는 오히려 H를 역으로 쐈다. === 점수 계산 === |||||||||| 점수표 |||||||||| |||| 카드의 종류 || 배율 || 점수 || 도봉 시 점수 || |||| 3,4,5,6,7,10 || X1 || 1 || 2 || |||| J,Q,K,A || X2 || 2 || 3 || |||| 2 || X3 || 3 || 4 || |||| 8 || X4 || 4 || 5 || |||||| 특수 경우 |||||| |||| 산패가 떨어졌을 때[br]切りなおし || 배율 1배 추가 || |||| 역도봉[br]返し || 배율 1배 추가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봉, version=23)] [[분류:카드 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