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시철도]]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도시철도)] [목차] == 대한민국의 기록 == * 한글명이 긴 역들 || 순위 || 역명 || 글자수[* '역'이라는 글자는 글자수 계산에서 제외함.] || 도시철도 노선 || || 1위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국.부 [[부산국제금융센터]]의 개장으로 [[2014년]] [[11월 5일]]자로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문전역]]에서 지금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 || 10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 2위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구 서울운동장역→동대문운동장역.] ||<|2> 9자 || [[서울 지하철 2호선]][br][[서울 지하철 4호선]][br][[수도권 전철 5호선]] || || [[의정부경전철 차량기지임시승강장|차량기지임시승강장]] || [[의정부 경전철]] || ||<|5> 3위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5> 8자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서울 지하철 6호선]][br][[인천국제공항철도]][br][[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경기도청북부청사역]] || [[의정부 경전철]] ||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영문명이 긴 역들 || 순위 || 역명 || 글자수[* 'Station'이라는 단어는 글자수 계산에 포함됨. 공백, 가운뎃점은 글자수 계산에서 제외됨.] || 도시철도 노선 || || 1위 || [[칠곡경대병원역]][br]Chilgok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Center Station || 54자 || [[대구도시철도 3호선]] || || 2위 || [[경성대·부경대역]] [br] Kyungsung University·Pukyong National University Station || 51자[* 부역명인 동명대학교(Dongmyung University)를 포함하면 무려 70자나 된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3위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국.부][br]Busan International Finance Center·Busan Bank Station || 47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4위 || [[경기도청북부청사역]] [br]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North Office Station || 46자 || [[의정부 경전철]] || ||<|2> 5위 || [[경인교대입구역]] [br]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ation || 43자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br] B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Campus Station || 43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사람 이름이 들어 있는 역 || 역명 || 개장년도 || || [[김유정역]] || 1939년 개통, 2004년 현 역명으로 변경 ||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2008년 개통 || || [[기흥역]][* 부역명이 '''[[백남준]]'''아트센터역이다.] || [[분당선]]은 2011년 개통, [[용인 에버라인|용인 경전철]]은 2013년 개통 || || [[세종대왕릉역]] || 2016년 개통 || || [[수로왕릉역]] || 2011년 개통 || || [[낙성대역]][* 병기역명이 '''[[강감찬]]'''역이다.] || 1983년 개통, 2019년부터 병기 || * 외래어로 구성되어 있는 역 ||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개통연도 || 기타 || || [[고속터미널역]] [br]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 [[수도권 전철 3호선]][br][[서울 지하철 7호선]][br][[서울 지하철 9호선]] ||<|2> 1985년 || 부분 외래어가 사용된 역 || || [[남부터미널역]] [br] Nambu Bus Terminal Station || [[수도권 전철 3호선]] || 부분 외래어가 사용된 역 [br] 개통 당시 화물터미널역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br] Digital Media City Station || [[서울 지하철 6호선]][br][[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br][[인천국제공항철도]] || 2000년 ||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역[* 처음 개통 당시에는 수색역으로 불려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최초의 역에 오르지 못했다.] || || [[센텀시티역]] [br] Centum City Station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002년 || 지방에 소재하는 역명 전체가 외래어가 사용된 최초의 역 || || [[센텀역]] [br] Centum Station || [[동해선 광역전철]] || 2016년 ||<|6>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역 || || [[벡스코역]] [br] BEXCO Station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br] [[동해선 광역전철]] || 2002년 || || [[캠퍼스타운역]] [br] Campus Town Station || [[인천 지하철 1호선]] ||<|3> 2009년[* 수도권 전철 최초로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역] || || [[테크노파크역]] [br] Techno Park station || [[인천 지하철 1호선]] || || [[센트럴파크역]] [br] Central Park Station || [[인천 지하철 1호선]] || || [[파라다이스시티역]][* 구 국제업무단지역. [[국제업무지구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바뀌었다.] [br] Paradice City Station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2016년 || * 합성어로 구성되어 있는 역 || [[오시리아역]] [br] OSIRIA Station || [[동해선 광역전철]] || 2016년 || 역명 전체가 합성어인 역 || * 부역명에 영어가 들어가 있는 역 || 역명 || 부역명 || 도시철도 노선 || || [[센텀시티역]] || BEXCO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남천역]] || KBS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수성못역]] || TBC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 [[수성구청역]] || KBS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출구가 가장 많은 역들 || 순위 || 역명 || 출구 수 || 도시철도 노선 || || 1위 || [[반월당역]] || 23개 || [[대구 도시철도 1호선]][br][[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2위 || [[두류역]] || 20개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2> 3위 || [[수영역]] || 16개 || [[부산 도시철도 2호선]][br][[부산 도시철도 3호선]] || || [[중앙역(부산)|중앙역]] || 16개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국내 최초의 스크린 도어 설치역 ||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 [[문화전당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 [[금남로4가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 도시철도 전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최초의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모노레일]] 노선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국내 유일 로프식 스크린 도어 설치역 ||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 [[문양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심도가 가장 깊은역 || 순위 ||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심도 || 비고 || || 1위 || [[김포공항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83m || || || 2위 || [[만덕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64.25m || 지하 9층 || || 3위 || [[산성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55.4m || || || 4위 || [[배산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55.2m || 지하 8층 || || 5위 ||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51.9m || || *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 역 * 서울5호선 [[여의나루역]] (-27.5m)[* 다만 어느 자료에서는 영등포시장역이 조금 더 낮다고 나와있다.] * 가장 역간거리가 긴 구간 * 2018년 9월 29일 까지 *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김포공항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구간 (10.9km)[* 공항철도 [[마곡나루역]]이 개통되어 역간 거리가 짧아졌다.] * 2018년 9월 29일 부터 *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영종역]] ~ [[청라국제도시역]] 구간 (10.3km)[* [[세계한상역]]이 지어지면 기록이 깨진다] * 각 노선별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역[* 선로기준][* 심도나 교량높이가 아니라 해발고도 기준이다. 따라서 지하구간이라서 무조건 낮거나 고가구간이라서 무조건 높은건 아니다.] || 노선 || 역명 || 구간 || 높이(m) || 높이(RL) || 비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덕계역]] || 소요산~인천/신창/광명/서동탄 || 약 85m || 약 185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낙성대역]] || 을지로순환선/신정지선/성수지선 || ? || ? ||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원당역, 지축역, 무악재역 중 하나 || 대화~오금 || ? || ? || || || [[수도권 전철 4호선]] || [[수리산역]] || 당고개~오이도 || 약 70~73m || 약 170~173 || || || [[수도권 전철 5호선]] || 마천역, 명일역, 신금호역, 거여역, 고덕역 중 하나 || 방화~상일동/마천 || ? || ?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신내역]] || 응암순환~신내 || ?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장암역]] || 장암~부평구청 || ? || ? || || || [[서울 지하철 8호선]] || [[산성역]] || 암사~모란 || ? || ?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중앙보훈병원역]] || 개화~중앙보훈병원 || ? || ? || || || 인천 1호선 || [[계양역]] || 계양~국제업무지구 || ? || ? || || || 인천 2호선 || [[검바위역]] || 검단오류~운연 || ? || ? || || || 신분당선 || 성복역, 광교역 중 하나 || 강남~광교 || ? || ? || || || 경의중앙선 || [[지평역]] || 임진강~지평/서울역 || 약 93m || 약 193 || || || 경춘선 || 평내호평역 || 광운대/청량리~춘천 || 약 120m || 약 1120 || || || 수인분당선 || [[죽전역(분당선)|죽전역]], 구성역, 신갈역, 기흥역 중 하나 || 청량리~인천 || ? || ? || || || 공항철도 || 계양역, 영종역 중 하나 || 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 || ? || ? || || || 의정부 경전철 || ? || ? || ? || ? || || || 에버라인 || [[삼가역]] || 기흥~전대·에버랜드 || 약 130m || 약 1130 ||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 일단 인천공항1터미널역은 아니다.] || ? || ? || ? || || || 경강선 || [[삼동역]] || 판교~여주 || ? || ? || || || 우이신설선 || 북한산우이역, 솔샘역 중 하나 || 북한산우이~신설동 || ? || ? || || || 서해선 || [[소새울역]] || 소사~원시 || ? || ? || [* 하중역이 개통되면 기록이 바뀐다.] || || 김포골드라인 ||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노포역]] || 다대포해수욕장~노포 || ? || ? ||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만덕역]] || 대저~수영 || 94m || 29.75m ||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안평기지간이역]] || 미남~안평기지간이역 || ? || ? || [* 간이역 제외하면 안평역이 가장 높다.] || || 부산김해경전철 || ?[* 일단 괘법르네시떼역, 공항역, 장신대역은 아니다.] || ? || ? || ? || || || 동해선 || 부전역, 거제해맞이역, 신해운대역 중 하나 || 부전~일광 || ? || ? || || || 대구 1호선 || [[현충로역]] || 설화명곡~안심 || ? || ? || || || 대구 2호선 || [[담티역]] || 문양~영남대 || ? || ? || || || 대구 3호선 || [[용지역]] || 칠곡경대병원~용지 || ? || ? || || || 광주 1호선 || [[녹동역]] || 녹동~평동 || ? || ? || || || 대전 1호선 || [[반석역]] || 판암~반석 || ? || ? || || * 각 노선별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 역[* 선로기준][* 심도나 교량높이가 아니라 해발고도 기준이다. 따라서 지하구간이라서 무조건 낮거나 고가구간이라서 무조건 높은건 아니다.] || 노선 || 역명 || 구간 || 높이(m) || 높이(RL) || 비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제기동역]] || 소요산~인천/신창/광명/서동탄 || ? || ?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까치산역]] || 을지로순환선/신정지선/성수지선 || ? || ? ||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 ? || ? || ? || || || [[수도권 전철 4호선]] || ? || ? || ? || ? || || || [[수도권 전철 5호선]] || 양평역, 영등포시장역, 여의나루역중 하나 || 방화~상일동/마천 || ? || ?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 ? || ?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가산디지털단지역]] || 장암~부평구청 || ? || ? || || || [[서울 지하철 8호선]] || [[잠실역]] || 암사~모란 || ? || ?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 || ? || ? || ? || || || 인천 1호선 || ? || ? || ? || ? || || || 인천 2호선 || ? || ? || ? || ? || || || 분당선 || ? || ? || ? || ? || || || 신분당선 || ? || ? || ? || ? || || || 경의중앙선 || ? || ? || ? || ? || || || 경춘선 || ? || ? || ? || ? || || || 공항철도 || ? || ? || ? || ? || || || 의정부 경전철 || ? || ? || ? || ? || || || 수인선 || ? || ? || ? || ? || || || 에버라인 || ? || ? || ? || ? ||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 || ? || ? || ? || || || 경강선 || [[이매역]] || 판교~여주 || ? || ? || || || 우이신설선 || [[보문역]] || 북한산우이~신설동 || ? || ? || || || 서해선 || [[초지역]] || 소사~원시 || ? || ? || || || 김포골드라인 ||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민락역]]으로 추정]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망미역]] || 대저~수영 || ? || -20.36m || [* 출입구 인근 도로 기준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 역은 4.5m인 [[덕천역]] ]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 || ? || ? || ? || || || 부산김해경전철 || ? || ? || ? || ? || || || 동해선 || ? || ? || ? || ? || || || 대구 1호선 || 설화명곡역, 화원역 중 하나 || 설화명곡~안심 || ? || ? || || || 대구 2호선 || [[계명대역]] || 문양~영남대 || ? || ? || || || 대구 3호선 || [[만평역]] || 칠곡경대병원~용지 || ? || ? || || || 광주 1호선 || 공항역, 광주송정역 중 하나 || 녹동~평동 || ? || ? || || || 대전 1호선 || [[중앙로역(대전)|중앙로역]] || 판암~반석 || ? || ? || || == 세계의 기록 == * 총 노선 길이 || 순위 || 이름 || 역 수[* 환승역 중복 포함.] || 길이 || || 1위 || [[상하이 지하철|상하이]] || 508 || 832km[*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포함.] || || 2위 || [[베이징 지하철|베이징]] || 463 || 783km || || 3위 || [[광저우 지하철|광저우]][* [[광포선]] 포함.] || 262 || 538km || || 4위 || [[청두 지하철|청두]] || 333 || 518km || || 5위 || [[선전 지하철|선전]] || 301 || 433km || || 6위 || [[난징 지하철|난징]] || 199 || 421km || || 7위 || [[런던 지하철|런던]] || 270 || 402km || || 8위 || [[모스크바 지하철|모스크바]] || 233[* [[모스코브스코예 첸트랄노예 콜초선]] 포함시.] || 394km || || 9위 || [[뉴욕 지하철|뉴욕]] || 472 || 380km || || 10위 || [[서울 지하철|서울]] || 331 || 350km[* 서울 도시철도만의 기록으로, 인천 지하철 및 기타 광역철도 합산시 '''1,232km'''이 되어 '''압도적 1위'''가 되지만 다른 도시의 기록도 사철이나 광역철도를 합치지 않은 수치이기 때문에 형평성 문제로 1위는 되지 않을것이다.] || || 11위 || [[델리 메트로|델리]] || ? || 348km || || 12위 || [[충칭 궤도교통|충칭]] || 184 || 310km || || 13위 || [[마드리드 지하철|마드리드]] || 316 || 282km || || 14위 || [[톈진 지하철|톈진]] || 204 || 275km || || 15위 || [[MTR|홍콩]] || 184 || 269km || || 16위 || [[멕시코시티 도시철도|멕시코 시티]] || 195 || 226km || || 17위 || [[싱가포르 MRT|싱가포르]] || 150 || 217km || || 18위 || [[파리 메트로|파리]] || 303 || 214km || || 19위 || [[도쿄 지하철|도쿄]] || 179 || 195.1km[* 의외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도쿄 지하철|도쿄 도시철도]]([[도에이 지하철]], [[도쿄 메트로]])만의 기록으로, 사철의 구간은 합치지 않은 것이다. 광역권의 [[JR그룹]] 노선을 포함시 무려 '''2045.4km(!!!)'''이다. 또 사철의 구간까지 합치면 '''훨씬 더''' 길어진다.] || || 20위 || [[워싱턴 메트로|워싱턴]] || 91 || 190km || || 21위 || [[샌프란시스코/대중교통#s-3|샌프란시스코]] || 44 || 167km || || 22위 || [[시카고 전철|시카고]] || 145 || 165.4km || || 23위 || [[타이베이 첩운|타이베이]] || 132 || 153km || || 24위 || [[베를린 U반|베를린]] || 170 || 151.7km || || 25위 || [[오사카메트로|오사카]] || 123 || 131km[* [[오사카메트로 난코 포트타운선|난코 포트타운선]] 제외.] || || 26위 || [[테헤란#s-4.2]] || 83 || 128km || || 27위 || [[다롄 지하철|다롄]] || 44 || 124.5km || || 28위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상트페테르부르크]] || 70 || 121.4km || || 29위 || [[부산 도시철도|부산]] || 108 || 116.6km[* 1~4호선만을 포함.] || || 30위 || [[스톡홀름 지하철|스톡홀름]] || 100 || 105.7km || * 단일 노선 길이 ||<-2> 유인 노선 || || 노선명 || 길이 || || [[수도권 전철 1호선]] || 200.6km || ||<-2> 무인 노선 || || 노선명 || 길이 || || 프랑스 릴 Red Line || 32 km || * 세계 최초 스크린 도어 설치역 || 역명 || 노선 || || 모스콥스카야역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 * 세계에서 가장 많은 출구를 가진 역 || 역명 || 출구수 || 국가 || || [[신주쿠역]] || 200개 || [[일본]]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도시철도, version=1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