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천하오검)] [[파일:Doujigiri_Yasutsuna.jpg]] ||<-4><#424242> '''{{{#white 도지기리 야스츠나(童子切安綱)}}}''' || ||<#E0E0E0> '''도공''' || 오오하라 야스츠나(大原安綱) ||<#E0E0E0> '''도파''' || - || ||<#E0E0E0> '''제작 시기''' || [[헤이안 시대]] ||<#E0E0E0> '''종류''' || [[타치]] || ||<#E0E0E0> '''길이''' || 79.9 ㎝ ||<#E0E0E0> '''현존 여부''' || [[도쿄국립박물관]] || ||<#E0E0E0> '''명문''' || 安綱 ||<#E0E0E0> '''문화재 등록''' || [[일본의 국보|국보]] 공예품 제 15호 || 童子切安綱 == 개요 == '''[[천하오검]] 중 하나''' == 상세 == 통칭 도지기리. [[헤이안 시대]]에 도공 야스츠나(安綱)가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오오카네히라]](大包平)[* 역시 일본 국보로 지정된 검. 천하오검에는 들어가지 않는다.]와 함께 "일본도 동서 제 1인자"로 일컬어진다. [[미나모토노 요리미츠]]가 이 검으로 [[슈텐도지]]를 베었다는 전설이 있다. 그 이외에도 마츠다이라 미츠나가가 어린 시절 병에 시달릴 때 이 칼을 머리맡에 두고 잤더니 병이 그쳤다거나, 이 검의 녹을 닦는 것을 혼아미 가에서 잊고 있었을 때 여우가 몰려들어 알렸다는 등의 전설이 있다. 검 자체는 아시카가, 도요토미를 거쳐 도쿠가와 가에서 갖고 있다가 그 분가인 에치젠 마츠다이라 가에 넘어갔다. 이후 다른 개인 수집가의 소유물이 되었지만 1962년에 문화재보호위원회가 사들였다. 현재 일본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도쿄국립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 창작물에서 == [[대항해시대 3]]에서 아이템으로 등장하는데, [[금각사]]를 발견한 후 [[츠카하라 보쿠덴]]과 싸워 이기면 얻을 수 있다. 한글판에서는 '아이 베는 안강'이라는 괴악한 이름으로 번역되었다.[* '도지기리'가 한자로는 '童子切' 직역하면 '동자를 베다' 정도의 뜻이 되기 때문에 당시 번역팀이 일본 신화/역사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었다면 충분히 이렇게 번역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 쓰인 동자는 아이가 아니라 [[슈텐도지]](주탄'''동자''')를 의미한다는 게 함정. 애초에 동자라는 단어 자체가 일본에서는 일정이상의 급위를 지닌 오니에게 붙이는 칭호같은 단어이다. 덕분에 [[일본삼대악귀]]를 베어낸 [[레전설]]급 명검이 유아 살인마가 쓴듯한 [[마검]]으로 돌변했다...] 애니메이션 [[도사의 무녀]]의 등장인물인 [[오리가미 유카리]]가 [[오오카네히라]]와 함께 사용하는 칼이다. 게임 [[영원한 7일의 도시]]에선 [[쥬쿠]]의 신기로 나온다. 게임 [[Bloodstained: Ritual of the Night]]에서 도 종류의 무기로 나온다. [[Fate/Grand Order]]에서는 [[미나모토노 라이코(Fate 시리즈)|버서커 미나모토노 라이코]]의 주무장이자, 인연예장으로 등장. [[사신소년]]에서는 특이하게도 [[츠카하라 보쿠덴]]의 유산으로 등장한다. [[분류:일본도]][[분류:일본의 국보]][[분류:도쿄국립박물관 소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