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주시의 면]] [include(틀:광주시의 읍면동)] ||<-2> '''[[파일:광주시 CI.svg|height=15]]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도척면}}}'''[br]道尺面 | Docheok-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광주시 도척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540033 || || '''관할 법정리''' || 8리 || || '''하위 행정구역''' || 16행정리 57반 || || '''면적''' || 52.15㎢ || || '''인구''' || 9,557명[* 2022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83.26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주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종성]] ,,(재선),, || ||<-2> '''경기도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유형진 ,,(초선),, || ||<-2> '''광주시의원 | 라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박상영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주훈 ,,(초선),, ||}}}}}}}}} || ||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노곡로 20 (노곡리 58-14) || [목차][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6px" [[파일:docheokmyeon_office.jpg|width=100%]]}}} || || {{{#ffffff '''도척면사무소 전경'''}}} || [[경기도]] [[광주시]]의 [[면(행정구역)|면]]. 동쪽으로는 [[이천시]] [[신둔면]], 서쪽으로는 [[오포2동|매산동]][*A 산으로 막혀있어 곤지암읍을 통해서 가야 한다.]과 [[용인시]] [[모현읍]][*B 산으로 막혀 있어서 용인시 양지면이나 광주시내로 우회해야 한다.], 남쪽으로는 용인시 [[포곡읍]][*B], [[양지면]]과 [[이천시]] [[마장면]], 북쪽으로는 [[초월읍]][*A]과 [[곤지암읍]]으로 이어져 있다. == 역사 == 도척이란 이름은 백제의 [[온조왕]]이 도읍을 정할 때 이곳을 탐사하면서 여러 번 생각을 했다고 하여 되재란 이름이 붙었고, 이를 한자로 옮겨 도척이 되었다.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64914&cid=43740&categoryId=44178|네이버 설명]] * [[https://www.gjcity.go.kr/portal/bbs/view.do?bIdx=243873&ptIdx=26&mId=0206040100|1981년 도척면사무소 전경]] * [[https://www.gjcity.go.kr/portal/bbs/view.do?bIdx=243865&ptIdx=26&mId=0206040100|1981년 도척지서 설립]] == 정치 == 1952년, 제주도 인사처장을 지낸 임종회(54)가 도척면의회 의장을 지냈다. 그는 자유당 소속이었다. 1956년에는 면서기를 지낸 구연목(71)이 도척면의회 의장을 지냈다. 다른 면의원들도 대체로 면서기 등 지역 공무원 출신들이었다. 이후 1960년대부터 면 단위의 지방자치제가 폐지되고 이후에도 부활되지 않았다. == 하위 법정리 == 아래의 자료들은 광주시의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지명 유래 소개]] 페이지의 내용을 옮긴 것이다. === 노곡리 === || [[파일:nogokri.jpg|width=100%]] || || 노곡리의 중심에 위치한 레포츠공원 || 老谷里 >이 마을 뒷산이 노루처럼 생겼는데 이 마을은 그 목부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해서'노루목'(老谷里)이라 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행정구역 개편 시에 노곡리라 부르게 되었다. > >노루목 >이 마을에서 상림리(祥林里)로 넘어가는 산의 생김새가 새끼노루가 어미노루를 바라보는 형상이라고 해서 '노루목'이라 부르게 되었다. > >고녹골 >이곳에 있는 논들은 풍부한 관개수로에 비옥한 땅이므로 '고은논'이라 불렀는데 여기에 비옥하다고 해서 옥자를 넣어 '고은, 옥, 골'이 합하여 '곤옥골'이 되고 다시 '고녹골'이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도척면의 면소재지로 도척면 행정복지센터가 위치해 있다. [[도척초등학교]]와 [[광일중학교]]도 이곳에 위치해 도척면의 중심지이다. [[98번 지방도]]가 이곳을 지나가며 [[용인시]] 방면으로 가려면 노곡리를 통과해 [[태화산]] 기슭을 넘어야 한다. === 유정리 === 柳井里 >1910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에 '유여동'(柳余洞)과 '운정동'(雲井洞)을 합하여 '유정리'라 부르게 되었다. > >운정동(雲井洞ㆍ굴우물) >이 마을에는 예부터 유명한 영천(靈泉)이 있었는데 여기에는 언제나 안개와 구름이 끼어 있어 '운정동'이라 하고 우리말로는 '구름우물'이라 했는데 이 말이 변하여 '굴우물'이라 한다. > >미륵동(彌勒洞) >고려시대부터 노상에 버려두었던 석불(石佛)을 조선조 말기 진사(進士) 조희백(朝熙百)의 아내가 잘 모시자 낳지 못하던 득남을 했다고 한다. 이런 일이 있던 이후부터 이곳은 부처님을 모시는 곳이 되었으니 마을이름도 '미륵동'이라 부르게 되었다. > >바위산골 >마을 주위에는 태화산과 미역산이 있어서 기암괴석이 많은데 마을이름도 '바위산골'이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도척저수지]]가 위치해있다. 98번 국지도가 이곳을 경유한다. === 방도리 === 芳都里 >1917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방등리'(芳登里)와 '내도척(內都尺)'을 합하여 '방도리'라 하게 되었다고 한다. > >되재 >속설에 의하면 이곳에 도읍을 정하려던 온조왕이 땅을 되풀이해서 재었다고 해서 '되재'라고 하였다고 하나, 이곳은 용인시과 접경지대라 산이 험준하여 넘나들이 '된 재'란 뜻은 '된재'가 변한 말인 듯하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현대해상]]의 연수원인 하이비전센터가 이곳에 있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방도터널]]이 생겼다. [[뱅드림]]의 일본 명칭인 "방도리"와 발음이 같아서 뱅드림 팬들의 [[성지]] 취급받고 있다. === 추곡리 === 楸谷里 >조선시대에 서판서(徐判書)란 분이 피난처를 찾아 이곳에 정착하여 살기 위하여 큰 집을 짓고 둘레에 가래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곳을 '가래실'이라 했는데 이를 '추곡'이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노곡천]]의 상류가 위치하며 [[도척저수지]]가 추곡리와 유정리에 걸쳐 있다. 그 덕분에 [[낚시터]]가 몇 곳 있다. [[98번 지방도]]가 이곳을 통과한다. 왕복 2차로인데 계속 유턴할 곳이 없다가 추곡교회 인근에 오게 되면 마을로 진입해서 유턴해야 한다. [[17번 국도]]의 북측 종점이다. === 상림리 === || [[파일:sangrimri.jpg|width=100%]] || || 노곡천과 상림리의 풍경 || 祥林里 >이 마을 뒷산의 형태가 누에모양이고 이곳에서는 뽕나무가 잘 된다고 해서 '상림리'(祥林里)라 했는데 이를 후에 '祥林里'로 쓰게 되었다는 것이다. > >사기소(沙器所) >옛날에 이곳에서는 사기그릇을 굽던 곳이라고 해서 '사기소'라 하였다. 지금도 사기그릇 깨진 것이 많이 발굴되고 있는 곳이다. > >승방(僧房)터 >이곳은 산세가 좋아 부처님을 모시는 절을 지었으나 크게 발전하지 못하고 지금은 그 터만 남아 있다고 해서 '승방터'라고 부르게 되었다. > >시어골 >이곳에는 산세가 험준하고 맹수들이 많아서 '이곳에서는 살기 싫다'고 해서 '시어골'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노곡천]]이 흐르는 곳이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관리하는 숲 태화산학술림이 있다. === 도웅리 === [[파일:dowoongri.jpg]] 도웅리의 대표적인 명소인 [[곤지암리조트]]와 [[화담숲]]의 주차장. 陶雄里 >조선시대에 이 곳에서는 질그릇을 만들어 팔러 다닐 때 넘던 '독고개'와 '옹골'(甕洞)을 합하여 '도웅리'라 부르게 되었다. > >고해(古海) >도웅이 앞으로 흐르는 냇물이 예전에는 벼락바위 앞으로 흘렀는데 그때 이 냇물이 넓고 길어서 마치 바다 같다고 해서 '고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 >독고개 >옛날에는 한양으로 옹기(甕器)를 팔러갈 때 넘던 고개라 하여 '독고개'(甕峴)이라 하다가 '웅골'로 변하여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곤지암리조트]]가 위치한 곳이다. 이를 겨냥한 식당과 [[펜션]]도 많다. [[http://www.xn--699am62b71bmvgcmk.com/|곤지암리조트 렌탈샵]]이 인근에 15군데 정도로 스키 관련 상권을 이루고 있다. === 궁평리 === 宮坪里ㆍ궁뜰 >조선조 시대에 궁에서 내린 땅이라고 해서 이곳을 행정구역 수정 당시 '궁펑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일설에 의하면 백제시대 궁주의 땅이 있던 들(坪)이란 뜻으로 '궁뜰'이라 부르기도 한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98번 지방도]]에서 궁평리로 들어오는 진입로가 그리 좋지 않다. [[곤지암리조트]]로 가는 길이 궁평리를 통과해서 가며, 그때문에 놀러오는 사람들을 겨냥한 스키 장비 대여소나 식당 등이 있다. 여담으로, 이 지역에 1000세대가 넘는 아파트 단지 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 진우리 === 鎭牛里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때에 진(鎭)말과 우치(牛峙)말을 합하여 '진우리'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양촌(陽村) >조선조 후기부터 이 마을에는 양(楊)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집단으로 거주하였다고 하는데, 그리하여 마을이름을 '楊村'이라고 하다가 후일에 '陽村'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 >옛진말 >현재의 진우리 공동묘지 밑에는 신안(新安) 주(朱)씨가 공동거주를 하고 있었는데 상여의 출입이 많은 곳이라 이곳으로 옮기면서 먼저 살던 곳이라고 해서 '옛진말'이라 부르게 된 것이다. > >우치(牛峙) >이 산에 있는 바위들이 하도 기암괴석이어서 이것을 갖다가 삼각산에 갖다 놓으려고 바위 구멍을 뚫어 소로 끌고 가다가 이 고개에서 소의 보줄이 끊어지는 바람에 소가 넘어졌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 마을을 '소티'라하고 한자로는 '牛峙'라 쓰게 되었다. > >신대(新垈ㆍ새말터) >예진말, 우치부락, 진말이 선서대로 형성된 다음에 새로이 이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새터말'이라 하고 한자로는 '新垈'라 쓰게 되었다. > >웃점말 >이곳의 토질이 질그릇 만드는 점토(粘土)이어서 '점말'이라 했는데 그 위치가 위에 있다고 하여 '웃점말'이라 한다. > >큰골 >이 말을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경관이 아름답고 큰 골짜기라고 해서 이곳을 '큰골'이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중부고속도로]]가 이곳의 정중앙을 관통해서 지나간다. 중부고속도로 상에 도척 [[졸음쉼터]](양방향)가 있다. 또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곤지암JC]]가 있다. 광주물류단지가 있다. 공동주택으로 광주근형심포니아파트가 있다. 이 아파트는 도척면의 유일한 아파트 단지이다. == 특징 == * [[곤지암리조트]], [[CGV DRIVE IN 곤지암]]이 있다. == 교육 == * [[도척초등학교]] * [[광일중학교]] == 교통 == * [[광주시의 공영버스/도척면]] * [[도척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