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3> '''{{{#fff {{{+1 도카이도 신칸센 분신자살 화재 사건}}}[br]東海道新幹線火災事件[* [[일본어 위키백과]]의 표제어.][*번역 도카이도 신칸센 화재 사건]}}}''' || ||<-2> '''{{{#fff 발생일}}}''' || [[2015년]] [[6월 30일]] 오전 11시 30분경 || ||<-2><|2> '''{{{#fff 발생 위치}}}''' || [include(틀:지도, 장소=小田原市上町)] || || [[일본]]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 카노마치[br](神奈川県小田原市上町) || ||<-2> '''{{{#fff 유형}}}''' || [[분신#s-1|분신사고]] || ||<-2> '''{{{#fff 원인}}}''' || [[자살]] || ||<|2> '''{{{#fff 인명피해}}}''' || '''{{{#fff 사망}}}''' || {{{#ff0 2명}}} || || '''{{{#fff 부상}}}''' || 28명 || ||<-2> '''{{{#fff 재산 피해}}}''' || 객차 1량 폐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5년 6월 30일, 오전 11시 30분경에 [[도쿄역]] 발 [[신오사카역]] 행 [[도카이도 신칸센]] [[노조미(열차)|노조미]] 225호 X59편성([[신칸센 N700계 전동차|N700계 전동차]])에서 발생한 사건. 이 사건으로 인해 분신자살한 범인과 50대 여성이 사망했고 수십 명이 경상을 입었으며, 일본의 대동맥인 도카이도 신칸센은 약 3시간 동안 운행을 중단했으며 지연 여파는 운행이 종료되는 자정까지 계속되었다.[* [[도카이도 신칸센]]은 '''고속 열차가 3분 간격으로 다니는 노선이다.'''] == 사건 발생 == 사건은 [[신요코하마역]]과 [[오다와라역]] 사이의 구간을 달리던 도중 발생했다. 11시 30분경, 노조미 225호 편성 1호차에 갑자기 웬 남성이 들어왔다. 남성은 통로를 왔다갔다 하더니 갑자기 자신의 몸에 기름을 들이붓고 그대로 불을 붙였다. 너무나도 순식간에 일어난 일이라 당연히 승객들은 패닉에 빠져들었으며, 차량은 금새 연기로 자욱해졌다. 범인은 그 자리에서 바로 사망했고, 불이 의자와 바닥에 옮겨붙었지만 불연소재 + 승무원의 발빠른 소화 작업으로 재빨리 진화되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안타깝게도 50대 여성 사망자가 발생했다. === 범인 === 다음 날인 7월 1일, 범인의 신원이 발표되었다. 범인은 [[도쿄도]] [[스기나미구]]에 살고 있는 하야시자키 하루오(林崎春生, 71세)라는 노인이었다. [[파일:external/fcf95a8dbdf8d4a75dc3a1e7e0532b09f424e46638f0a62851cc18038790609a.jpg]] [[이와테현]] 출신의 하야시자키는 공사장에서 일하거나 유치원 버스 운전수, 아마추어 [[엔카]] 가수 등등 다양한 직업을 겪으며 전국을 전전하다가 도쿄에 정착했다. 범행 직전에는 청소부 일을 하고 있었지만, 그 일도 나이로 인해 회사에서 짤리게 되었는데, 연금 가지고는 도저히 생활할 수 없었다고 주변에 하소연했다고 한다.[* 그가 받는 연금은 격월 24만 엔으로 한 달에 12만 엔이다. 도쿄의 비싼 집세를 생각하면 말 그대로 입에 풀칠만 할 정도.] 결국 돈이 궁해진 그는 홧김에 스기나미 구청에 가서 공무원들 앞에서 목이라도 맬 것이라고 이웃들에게 얘기했는데, 이웃들은 그저 농담으로만 여기고 있었다는 모양. 결국 사건 전날인 29일, 그는 근처 주유소에서 휘발유를 구입하고 다음 날 분신자살을 감행했다. === 피해자 === 범인 이외의 사망자는 1명으로, 쿠와하라 케이코(桑原佳子, 52세)라는 여성이었다. [[파일:external/blog-imgs-80.fc2.com/news2530066_6.jpg]] 이 여성은 도망치다가 결국 연기를 지나치게 마시고 [[일산화탄소]] 중독을 일으켜 1호차와 2호차 사이의 통로에 쓰러져 사망했다. 케이코씨는 [[요코하마시]]에서 마사지사로 일하고 있었으며, 밝은 성격으로 손님들에게 평판도 좋았다고 한다. 이날은 자신과 가족의 올 한해 무병장수를 기원하러 [[이세 신궁]]으로 가던 도중이었기에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그 이외에는 가벼운 화상을 입거나 호흡 곤란을 보이는 승객들이 수십 명 있었지만, 다행스럽게도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 여담 == 인명 피해가 있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여러모로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를 떠오르게 한다. 범인의 의도적인 방화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으며, 불연재 시트와 역무원의 발빠른 대처로 대형사고를 막을 수 있었다는 점에서 묘하게 닮았다. 특히나 안전에 있어서는 세계 탑클래스를 자랑하던 신칸센도 악의를 품은 [[테러]]에는 속수무책이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일본의 철도 회사들이 대책을 찾느라 골머리를 썩히고 있지만 승객들의 짐을 전부 일일이 체크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서 근본적인 대책은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도카이도 신칸센 개통 51년 동안 화재사고는 거의 없었다.[* 물론, 담배불 정도의 소소한 사고는 있었다.] 신칸센 자체도 화재사고 규모 설정을 책 한 권이 탈 정도의 규모로 설정해놨으며 그마저도 승무원이 제압 가능하다고 생각했기에... 개통 이후로도 화재사고에 대해서는 특별한 변화는 없었다고 보면 된다. 또한 신칸센은 주행 중에 [[이명]] 현상이 있기도 해서 밀폐식 환기가 작동한다. 이로 인하여 화재 시 연기가 많이 날 경우에는 환기 시스템으로 인해 연기가 빠져나가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사망보다 질식사할 사망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도 이번 사고에서의 피해자도 질식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이 사고로 인하여 현재 N700계에 설치되어 있는 CCTV를 객실 안까지 설치할 예정이며, JR 동일본도 CCTV를 증설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사고로 인해 철도차량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자는 의견도 나왔지만, 아직까지 스프링클러를 설치한 차량은 전 세계 고속철도를 통틀어봐도 없다. 객차 하나당 20m가 넘는데, 1편성 당 10량으로 잡아도 200m의 배관을 설치해야 한다. 거기에 적어도 30초 동안 물을 퍼부으려면 많은 양의 물을 담은 채로 운행해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크게 늘어나 지금과 같은 300km/h로 달리기에는 더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래도 스프링클러의 차량 설치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으니, 언젠가는 스프링클러가 철도차량에 적용될 지도 모른다. 한국에는 중전철중에선 인천1호선 2차분에 스프링클러가 있다. 노인의 유가족들은 JR 도카이로부터 6억 엔 상당의 손해배상 청구를 받았다고 한다. 상속 포기나 한정상속을 하면 손해배상을 하지 않아도 되긴 하지만... 노인이 불을 질렀던 차량 1량(783-2059)은 차량의 일부가 불에 타는 바람에 폐차되었고, 2016년에 같은 차번을 가진 대체 차량이 생산되었다. 참고로 N700계 차량의 첫 폐차였다. [[분류:2015년 철도사고]] [[분류:헤이세이 시대/철도사고]][[분류:2015년 화재]][[분류:일본의 화재]][[분류:철도 화재]][[분류:일본의 자살 사건]][[분류:방화]][[분류:가나가와현의 사건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