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궤도]][[분류:일본의 노면전차]][[분류:1925년 개업한 철도 노선]][[분류:도큐 세타가야선]] [include(틀:도큐의 노선)] ||<-2> {{{#!wiki style="margin: 0px -5px;" [[도큐 전철|[[파일:Tokyu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도큐 전철|{{{#ffffff 도큐 전철}}}]]}}}||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K-SG.svg|width=50]]||{{{#fcc800,#ffcb02 '''{{{+1 [ruby(世田谷線, ruby=せたがやせん)]}}}'''[br]'''S'''eta'''g'''aya Line[br]세타가야선}}} ||}}} || ||<-2> [[파일:Tokyu-300.jpg|width=100%]] ---- [[도큐 300계 전동차]] || ||<-2> '''노선 정보''' || || '''분류''' ||[[노면전차]] || || '''기점''' ||[[산겐자야역]] || || '''종점''' ||[[시모타카이도역]] || || '''역 수''' ||10 || || '''노선기호''' ||{{{+1 [include(틀:글배경b, 배경색=#fcc800, 글자색=#595757, 내용=SG)]}}} || || '''개업일''' ||[[1925년]] [[1월 18일]] || || '''소유자''' ||<|2>[[도큐 전철|[[파일:도큐 전철 로고.svg|width=150]][br]{{{#ee0011,#fe1121 도큐 전철}}}]] || || '''운영자''' || || '''사용차량''' ||[[도큐 300계 전동차]] || || '''차량기지''' ||유키가야 검차구 카미마치반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5.0km || || '''궤간''' ||1372mm || || '''선로구성''' ||복선 || || '''사용전류''' ||직류 600V 가공전차선 || || '''신호장비''' ||궤도신호 연동 차내경보장치 || || '''최고속도''' ||40km/h || || [youtube(LoDWxvIuxlE)] || || {{{#595757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및 설명 == [[도큐 전철]]의 [[노면전차]](전용궤도) 노선이다. 1925년 산겐자야-세타가야 구간이 타마가와 전기철도의 지선으로써 개통되었다. 1969년에는 타마가와선'''(玉川線. 현재 운행중인 [[도큐 타마가와선|타마가와선(多摩川線)]]과는 별개의 노선이다.)'''의 시부야-후타코타마가와 구간이 폐선[* 이후 1977년에 '[[도큐 덴엔토시선#s-4.4|신타마가와선]]'을 건설하여 지하로 재개통되었고 현재는 [[덴엔토시선]]의 지하구간으로 편입되었다.]되어 남은 구간은 세타가야선으로 개칭된다. 전 노선 균일요금제이며 1일 승차권을 발매하고 있다. 여담으로 차량마다 색깔이 다르며, 총 10가지 색이 있다. [[https://ja.wikipedia.org/wiki/東急300系電車#各編成の写真|여기서 보자]] --일본 철도업계에 이 노선과 [[시즈오카시미즈선]]이 있다면, 일본 항공업계에는 [[후지드림 항공]]이 있다.-- === 노선 데이터 === * 관활 : 도큐 전철 (궤도사업자) * 구간 : 산겐자야~시모타카이도 5.0km * 궤간 : 1372mm * 역 수 : 10 * 복선구간 : 전구간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600V) * 폐색방식 : 궤도법에 따라 없음 * 보안장치 : 궤도신호에 의한 차내경보장치 * 최고속도 : 40km/h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 노면전차? === 세타가야선은 도큐 노선 중 유일한 궤도법 적용 구간으로 노면전차에서 볼 법한 차량들이 다니지만 전 구간 전용 궤도라 마찬가지로 궤도법의 적용을 받는 노선인 도덴 아라카와선에 비해 노면전차라는 느낌이 약한 편이다. 이는 원래 세타가야선이 구 타마가와 전기철도선의 노선이었던 타마가와선(玉川線)[* 우연의 일치로 도큐 타마가와선(多摩川線)과 발음이 같다.]의 지선이었던 것에 기인하는데 이 타마가와선은 도로를 병주하는 전형적인 노면전차 노선이었고, 세타가야선의 전신인 시모타카이도선은 이 타마가와선에서 분기하여 전용선로를 따라 시모타카이도까지 운행하는 지선이었다. 이 시절 시모타카이도선의 운행체계는 구간 내 운행인 현재의 세타가야선과는 달리 본선인 타마가와선과 직결하여 시부야~시모타카이도 구간을 운행하는 형태였는데 1969년의 타마가와선 폐선으로 인해 노면구간이 전부 사라지고 전 구간이 전용궤도인 세타가야선만 남아 형식상 노면전차이면서도 노면전차같지 않은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세타가야선은 궤도선 구간인 것 외에도 도큐 노선 중 유일한 1372mm 궤간 노선으로, 궤간만 놓고 보면 종점인 시모타카이도에서 접속하는 케이오선과 동일규격이다. 과거 다이도큐 시절에는 시모타카이도역에 두 노선간의 연결선이 존재했던 시기가 있었지만 이 선로는 어디까지나 회송 목적으로만 쓰였던 선로였으며 두 노선의 전압규격이 서로 달랐기 때문에 기동차가 견인하는 형태로 회송을 수행했다. 오늘날 이 선로는 남아있지 않지만 만약 남아있었다 쳐도 두 노선은 21세기 현재에도 전압 뿐 아니라 차량규격 및 승강장의 높이와 길이 등 궤간만 빼고 거의 모든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실제 이용될 일은 없었을 것이다. == 역 목록 == * 전구간 [[도쿄도]] [[세타가야구]]내 소재. ||<-4> {{{#595757 '''도큐 세타가야선'''}}} || || {{{#595757,#a8a6a6 km}}} || {{{#595757,#a8a6a6 번호}}} || {{{#595757,#a8a6a6 역명}}} || {{{#595757,#a8a6a6 환승노선}}} || || 0.0 || SG01 || [[산겐자야역|산겐자야[br]{{{-2 ([[쇼와여자대학]] 앞)}}}]][br](三軒茶屋)[br]{{{-2 (昭和女子大学前)}}} ||¶[[도큐 전철]] [[파일:TK-DT.svg|width=17]][[도큐 덴엔토시선|덴엔토시선]] (DT03)|| || 0.3 || SG02 || [[니시타이시도역|니시타이시도]][br](西太子堂) || || || 0.9 || SG03 || [[와카바야시역(도쿄)|와카바야시]][br](若林) || || || 1.4 || SG04 || [[쇼인진자마에역|쇼인진자마에]][br](松陰神社前) || || || 1.9 || SG05 || [[세타가야역|세타가야]][br](世田谷) || || || 2.2 || SG06 || [[카미마치역|카미마치]][br](上町) || || || 2.7 || SG07 || [[미야노사카역(도쿄)|미야노사카]][br](宮の坂) || || || 3.4 || SG08 || [[야마시타역(도쿄)|야마시타]][br](山下) ||¶'''[[고토쿠지역]]''' : [[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width=17]][[오다큐 오다와라선|오다와라선]] (OH10)|| || 4.2 || SG09 || [[마츠바라역(도쿄)|마츠바라]][br](松原) || || || 5.0 || SG10 || [[시모타카이도역|시모타카이도]][br](下高井戸)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width=17]][[케이오선]] (KO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