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오사카시]][[분류:일본의 강]][[분류:일본의 랜드마크]][[분류:운하]] [include(틀:수권 - 강)] ||<-2> {{{+2 '''도톤보리강'''}}} [br] '''[ruby(道頓堀川, ruby=どうとんぼりがわ)]''' | '''Dotonbori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톤보리.jpg|width=100%]]}}}|| ||<-2>[include(틀:지도,장소=道頓堀,너비=400px,높이=224px)]|| ||<-2> [[http://www.dotonbori.or.jp/|도톤보리 상점회 홈페이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U9e3kL9ahA, width=450, height=300)]}}} || ||<:> {{{#white '''4K로 촬영한 도톤보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톤보리강은 [[에도 시대]]에 건설되어 [[오사카시]] 중남부를 동서로 흐르는 길이 2.7km의 [[운하]]로, 다른 이름은 '미나미호리(南堀)'. == 상세 == 나카노시마 동부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운하인 히가시요코보리로부터 지금은 매립된 옛 니시요코보리(현재의 [[오사카메트로 요츠바시선|요츠바시스지]])를 연결할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서쪽의 키즈가와강까지 흐른다. 운하 도시 시절 이후 나가호리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운하가 모두 매립되고, 토사보리(土佐堀), 히가시요코보리(東横堀)와 함께 살아남았다. 주변에 [[번화가]]가 형성되어서 강 양쪽으로 빌딩이 늘어서 있는 모습이 매우 독특하다. 강변은 공원화되어 있으며 번화가와 교차하는 부분은 거의 밤낮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로 북적인다. 특히 도톤보리와 신사이바시를 연결하는 다리를 에비스바시라고 부르는데, 아래 단락에서 설명하는 글리코맨 전광판이 있는 장소가 바로 에비스바시 앞이다. 이 다리는 약속의 장소로 유명하다. 글리코맨 전광판과 아래 "주변 관광"에서 언급하는 독특한 간판을 설치한 음식점/상점들도 이 다리와 가깝기 때문에, 난바의 야경을 감상하기 위한 장소로도 인기가 아주 높다. 도톤보리 리버 크루즈의 가이드 말에 따르면 주중 22만 명, 주말 35만 명에 달하는 유동 인구가 발생한다고 한다. 그러나 주말이라도 식사 시간대를 피하면 20~30분 안에 가게에 들어 갈 수 있다. == 가는 길 == 도톤보리강에서 가장 유명한 에비스바시를 찾아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먼저 [[난바역|미도스지선 난바역]] 지하 상가의 14번 출구로 나와 뒤를 돈 다음 하천이 나오는데 바로 오른쪽에 보이는 첫 번째 보행자 전용 다리가 에비스바시이다. 출구에서 에비스바시까지의 거리는 약 200m 정도이다. 지하철 [[신사이바시역|미도스지선 신사이바시역]]에서도 가까운 편이다. 하지만 [[난바]]나 [[우메다]]역만큼은 아니지만 지하 상점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하다. 안내판 안 보고 엉뚱한 데로 나갔다간 지하 상점가에서 한참 헤매고 고생하기 십상이다. 역의 지하 상점가[* 크리스타 나가호리다.]는 [[나가호리츠루미료쿠치선]] [[나가호리바시역]]과 이어져 있어 꽤 길고 출구도 많은 편이다. 미도스지선을 타고 신사이바시 역에 하차. 신사이바시 상점가(SHINSAIBASHI-SUJI) 방향으로 나와서 상점가를 쭉 내려가면 다리가 나오는데, 이 다리가 에비스바시 다리이다. 글리코맨이 팔을 벌리고 있는 것이 보인다면 잘 찾아온 것이다. 출구에서 에비스바시까지의 거리는 약 750m 정도로 난바보다는 상당히 먼 편이지만 사람 구경하면서 가기엔 괜찮다. 주의할 점은 신사이바시 상점가의 경우 1구역과 2구역으로 나뉘어 있는데, 반드시 다이마루 백화점이 보이는 1구역 쪽으로 쭉 내려가야 한다. 건너편 2구역 쪽으로 길을 잘못 들어가게 되면 정반대 방향인 [[혼마치역]] 방향으로 가게 된다. [[난바역|난카이 난바역]]에서 가려면 다카시마야 백화점을 지나 마루이 백화점 건물 오른편에 있는 에비스바시 상점가를 지나가면 목적지가 나온다. 1구역을 지나가면 횡단보도가 나오고 횡단보도를 건너면 건너편에 상점가 2구역이 보이는데 2구역을 지나가면 에비스바시 다리가 보인다. 출구에서 에비스바시까지의 거리는 500m 정도이다. == 유래 == '도톤보리'란 이름은 전국 시대 말 ~ 에도 시대 초의 상인 '야스이 도톤(安井道頓, 1533~1615)'에서 유래했다. 1582년, 오사카 성 운하 개발의 공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오사카 성 남쪽 토지를 하사받았는데, 토지 개발을 위해 자비를 털어 운하 개발에 착수하였으나 [[오사카 전투#여름의 전투|오사카 여름의 진]]에 휘말려 죽게 된다. 운하는 후손들의 손으로 완성되었고, 그의 이름을 따서 '도톤보리'가 되었다. == 주변 관광 == * 글리코 사인을 비롯해 오사카를 대표하는 명물 중 현대적이고 색다른 이미지인 카니도라쿠(かに道楽), 쿠이다오레 타로(くいだおれ太郎)[* 쿠이다오레 식당 자체는 [[2008년]]에 폐업했다.] 등이 이쪽에 몰려있다. 여기에 복어 요리 전문점 즈보라야(づぼらや)의 마스코트를 합쳐 일종의 [[삼신기]] 취급하기도 한다. * 유람 보트를 타고 강을 안내하는 도톤보리 크루즈가 있으며[* 프로그램은 일본어로 진행되므로 티켓팅할 때 한글 써있다고 프로그램도 한글일 거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 프로그램은 60~70%가 주변 사람들에게 손 흔들어 주는 거다. 도톤보리 근처의 명소 몇 군데를 소개시켜 주므로 가이드라고 생각하고 듣자.] 신사이바시에서 [[오사카성]]까지 보내주는 여객 보트도 있다. * 근처에 [[돈키호테(할인잡화점)|돈키호테]]라는 유명한 잡화 상점이 위치해 있다. 도톤보리강에 위치한 돈키호테의 경우 건물에 도톤보리강 주변의 전망을 볼 수 있는 관람차 [[헵파이브]] 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2009년도에 일어난 사고로 인해 운영을 하지 않고 밤에 불만 켜놓는다. 2017년 기준으로 조만간 관람차 재개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홍보 중이다. 2018년, 다시 운행을 시작했다! * 쿠이다오레, 즉 '먹다 망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근처에 맛집이 많다. 2016년 현시점에서 이는 다소 옛말로, 지금은 오사카역과 우메다 상권 쪽을 조금 더 높게 쳐주는 편인데[* 현지인들은 텐진바시 쪽으로 많이 놀러간다고 한다.], 비지니스 상권[* 비즈니스 상권으로는 [[요도야바시역]], [[모리노미야역]], [[혼마치역]]을 더 높게 친다. [[신오사카역]]은 상업 시설 발달이 늦었으므로 제외.]답게 고급 식당이 많은지라 문자 그대로 먹다 [[파산|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인분에 1만 엔짜리 철판 요리가 있다. 한화 약 '''11만 원이다.''' 심지어 키타신치 쪽은 [[캬바쿠라]] 등이 많아 일본에서도 청담동과 비슷한 물가 수준을 자랑하여 동네 자체 물가가 겁나게 비싸다.] 하지만 오사카 스타일은 역시 서민적인 싸고 푸짐한 음식들 쪽이다.[* 다만 [[이치란]] 라멘은 정말 이걸 먹어보고 싶은 게 아니라면 가지 않는 것을 추천. 줄을 엄청나게 서 있다. 어느 정도냐면 스탭들이 줄을 끊어서 여기저기에 세워놓을 정도다. 굳이 이치란 라멘을 먹어보고 싶다면 차라리 후쿠오카 본점을 가거나, 도톤보리 말고 오사카 인근의 다른 곳을 들르는 김에 그쪽 체인점에 가는 것이 좋다.] * '''[[타코야키]]''' 가게가 굉장히 유명하다. 오사카시 도톤보리의 명물로 도톤보리에 들른다면 꼭 먹어야 하는 요리. 길거리에서 노점상들을 흔히 볼 수 있고 들어가는 문어와 부재료와 크기도 꽉 차있고 알차며 실하다. 크기가 [[자몽]]만 한 폭탄야끼도 판다. * 기업인 [[백종원]]의 한신포차 오사카점도 도톤보리에 있다. === 글리코 사인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Dotonbori_NeonSign.jpg]] 이 강에 있는 일본 굴지의 제과회사 [[글리코|에자키 글리코]]와 기업 마스코트인 [[글리코]]맨이 그려진 간판(グリコサイン/글리코 사인). 이 지역 관련 사진에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글리코 사인은 1935년부터 도톤보리강에 존재하였으며, 5번의 디자인 교체가 있었다. 6세대인 오늘날의 글리코상 간판은 2014년 10월 23일에 LED를 사용하여 새롭게 개장 공사를 진행하여 오늘날의 형태를 사용하는 중이다.[* 본 문서에 있는 글리코상 사진은 5세대 글리코상으로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사용되었으며 LED로 보수 공사를 진행하기 전 사진이다.] 이제 글리코상 간판은 단순한 광고가 아닌 오사카가 문화재 형식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관련 공식 홈페이지도 있다.[[https://www.glico.com/jp/health/contents/glicosign/|#]] === 카니도라쿠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Kani-Douraku_-_Head_Store.jpg]] 카니도라쿠(かに道楽)[* 여담으로 [[센티멘탈 그래피티]]의 도톤보리 배경 사진이 이 카니도라쿠 앞 거리를 찍은 것이다.] [[https://douraku.co.jp/kr/|한국어 홈페이지]] 63년 전통의 유명 대게요리집. 카니스키를 비롯해 다양한 대게요리를 팔고 있으며 예약을 하지 않으면 웨이팅을 서야 하니 참고. === 쿠이다오레 타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Dotonbori-7.jpg]] 쿠이다오레 타로(くいだおれ太郎) 포스트에 따르면, 쿠이다오레 식당이 문을 닫으면서[* 문을 닫은 이유는 건물 노후화 및 재료비로 인한 적자. 하지만 문을 닫는 그날 손님들을 초대하여 최후의 만찬을 했는데 그날 쿠이다오레 식당의 마지막을 보기 위해 전국에서 몰려든 사람이 3,000명에 달했고 뉴스로 전국에 생중계까지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법인 자체는 존속하고 있으며, 쿠이다오레 타로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쿠이다오레 타로도 은퇴(...)했다고 한다. 문을 닫은 시점이 2008년 7월이라 그 이후에 이곳을 방문한 사람이 쿠이다오레 인형이 없어진 것을 보고 당황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다행히도 2011년 8월 기준 쿠이다오레 타로만 다시 복귀해 있어서 다시 관광객들이 사진을 찍곤 한다. 쿠이다오레 타로는 2017년 6월 28일 기준으로 나카자 쿠이다오레 빌딩[* 원래 이 자리에는 나카자(中座)라는 가부키 극장이 있었는데, 1600년대경부터 존재했던 오랜 역사를 가진 곳이었다. 그러나 경영난으로 1999년에 문을 닫고 2002년에 철거, 그 터에 지금의 나카자 쿠이다오레 빌딩이 들어섰다. 여담으로 나카자 극장 철거 당시 가스관 해체 작업 도중 가스 폭발 사고가 일어나 극장 건물을 비롯해 인접한 상가 건물들과 호젠지 요코쵸의 건물 16채가 전소되었으나, 기적적으로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이라는 곳에서 열심히 북을 치고 있다. 쿠이다오레 타로는 1985년 한신 타이거스 우승 당시 광란의 팬들이 도톤보리에 던져 넣으려다가 제지를 당했는데, 덕분에 [[커넬 샌더스의 저주|대신 희생당한 게 샌더스상이다]].[* 2009년 준설 과정에서 한신 팬들이 던져 넣은 할랜드 샌더스상이 발견되어 팬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그걸로 끝난 게 아니라, 1992년에 다시 한신 타이거스가 잘나가기 시작하고 당시 한신 외야수 [[카메야마 츠토무]](亀山努)와 쿠이다오레 타로가 닮았다는 점에 착안하여 팬들이 노리고 있다는 소문이 나자, '''"내는 수영 몬합니데이([[http://cui-daore.sakura.ne.jp/sblo_files/cui-daore/image/oyogemahen01.jpg|わて、泳げまへんねん]])"'''라고 쓰인 간판과 물안경, 튜브 등의 특별 코스튬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 해, 결국 한신은 '''[[교진군|요미우리]]와 공동 2위'''로 시즌을 마쳤다.] === 즈보라야 (폐점) === [[파일:external/www.zuboraya.co.jp/shop02_02.jpg]] 즈보라야(づぼらや) 도톤보리점의 간판. 본점은 츠텐카쿠로 유명한 신세카이에 위치해 있으며 1920년부터 2020년까지 100년간 장사를 한 복어집이었다. 다만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시아/일본|코로나19]]의 영향을 견디지 못하고 즈보라야가 9월 15일부로 폐업했다. 당시 폐업 안내문이 'ほな、さいなら'라는 사투리로 적혀 있던 데다 쿠이다오레와 달리 마스코트까지 완전히 철거됐기에 안타까움을 감추지 못하는 반응이 많았다. == 여행시 주의 사항 == * 2010년대 후반부터 [[토요코 키즈|도쿄의 신주쿠 도호 빌딩 옆 광장]]처럼 글리코 간판 밑 둔치가 가출 청소년들의 집결 장소로 쓰여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속칭 '''구리시타(グリ下)'''라 불리는 현상이다. 또한 새벽 시간대에는 도톤보리 주변에 [[노숙자]]들이 꽤 많은 편이다. * 유흥가[* 소에몬쵸 등에는 호스트바, 캬바쿠라가 밀집해 있다.]라 밤이 되면 유흥업소 호객꾼이 호객 행위를 하는데 따라가서 좋을 게 없다. 물론 외국인이라고 말하면 보통은 그냥 가긴 하지만 간혹 외국인도 붙잡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 호객 행위가 싫다면 저녁 7~8시 정도까지만 있다가 가면 된다. 아무래도 유흥가인지라 간혹 범죄에 노출될 수도 있으니 늦은 밤에 돌아다닌다면 주의할 것. 2016년에는 [[http://m.news.naver.com/read.nhn?oid=055&aid=0000463000&sid1=104&mode=LSD|한국인 대상으로 묻지마 폭행이 일어났다.]] * 우리나라의 [[명동]]과 마찬가지로 넘쳐나는 관광객으로 인해 오히려 내국인들이 점점 외면하는 곳이 되어가고 있다. 해외 관광객들이 휩쓸고 가면서 물가도 오르고 관광객들에 비해 객단가가 낮은[* 심지어 내국인 방문객들 중 [[손놈]]도 있는데, 자리만 잡고 메뉴는 별로 안 시켜서 악평이 있다고 한다.] 내국인들을 가게들이 푸대접하면서 현지인들이 약속 장소나 모임 장소, 데이트 장소 잡을 때 기피하기 때문.[* 근래 현지인들은 '키타'라 불리는 우메다 지역으로 간다. 혹시라도 난바 쪽에 약속을 잡더라도 도톤보리로는 안 간다고 한다. 현지 직장인들은 약속을 상대적으로 조용한 오피스가이자 키타와 미나미 사이의 [[요도야바시역]], [[혼마치역]] 근처로 잡기도 한다.] 실제로 근래에는 도톤보리에서 일본어보다 한국어, 중국어, 영어가 더 많이 들리고 오히려 일본어를 듣기가 어려워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흥가 밀집 지역이라 신사이바시로 이어이지는 소엔모쵸 지역에는 여전히 현지인들이 많이 돌아다닌다. 문제는 이들 대부분 유흥업소 이용을 목적으로 온거라 술에 거나하게 취해 외국인들, 특히 여성들을 대상으로 접촉해오는 일이 많기 때문에 여자끼리 여행을 왔다면 유흥업소 지역은 피해야 한다. == 수질 == 일본내에서 더럽기로 유명한 강중 하나다. 사실 현재는 많은 관리노력으로 예전의 악명만큼은 아니지만 깨끗하다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편. 원래는 근대화 시절 오사카의 생활 폐수나 공업용수가 버려지던 쓰레기장 같은 강이었다. 주변에 상권들이 들어서며 더이상 그런 용도로 사용되고 있지는 않지만, 지금까지 버려온 온갖 유독 물질들이 강 바닥에 시커먼 진흙과 같은 형태로 쌓여있어 수질 개선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예 상류에서부터 정화가 완료된 강물을 흘려보내고 있고, 몇차레 강바닥을 통째로 퍼낸 결과 붕어와 같이 더러운 물에서도 버티는 몇종의 물고기들이 살아가고 있다. 다만 인간에게는 아직 위험한 수준. 대장균 수치가 높아 강에 들어간 사람들이 피부나 성기 등의 염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굉장히 빈번하다. == 도톤보리 [[다이빙]] == 사실 도톤보리 하면 유명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이 도톤보리 강에 뛰어드는 일명 '''도톤보리 다이빙'''. [[한신 타이거스]]가 우승[* [[세리그]] 우승이건 [[닛폰시리즈]] 우승이건 상관없다. [[한신아재|이 사람들]]은 '''"우승"''' 소리만 나오면 일단 뛰어들고 본다. 그리고, 2023년 진짜 [[2023년 일본시리즈|우승했다!]]]하거나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이 [[FIFA 월드컵]] 16강 이상에 오르는 등 스포츠계의 경사가 일어날 경우 승리에 도취된 열성 팬들이 전라로 다이빙을 하는 것으로 유명한 장소다. 첫 시작은 1985년 카츠라 후쿠와카(桂福若)라는 사람[* 보통 일반인이 아니라 오사카에서 태어나 그 곳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라쿠고]]가(落語家) 출신이다.]이 친구와 내기를 했던 것에서 시작했다고 한다. [[요미우리 자이언츠]] 팬이었던 카츠라 후쿠오카는 당시 친구들과 1985년 [[센트럴리그]] 우승 팀은 누구로 할지 내기를 했고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에 걸고 "만약 한신이 우승하면 도톤보리에서 뛰어들겠다!"라고 말했는데 1985년 센트럴리그 우승을 한신 타이거즈를 하자 선언대로 뛰어 든 것이 시초라고 한다.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은 [[https://www.osaka2.jp/archives/14395099.html|오사카시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하자. 특히 한신의 호성적 일때 유별난데 1985년 때와 마찬가지로 우승하면 도톤보리강에 한신 선수들과 닮은 사람들을 도톤보리강에 던지는 게 한신 팬의 도톤보리 다이브였다. 만약 사람이 없으면 마네킹으로도 대체하기도 하는데 1985년 우승 다잇 한신의 4번 타자 [[랜디 바스]]를 직접 강에 떨굴 수는 없었고, 랜디 바스 닮은 외국인도 주변에 없어서 '''랜디 바스 닮은 인형을 강에 떨구자'''라는 생각으로 [[KFC]] 도톤보리점을 습격해 제지하는 직원들을 두들겨 패고 커넬 샌더스 동상을 강탈해서 강에 던진 일화도 있다.[* 오사카 시의 홈페이지에 따르면 이를 주도한 사람은 저 위에 도톤보리 다이브를 처음 시작한 카츠라 후쿠오카의 친구였다고 한다.] 이때 이후로 38년 동안 우승을 못했던 것을 두고 [[커널 샌더스의 저주]]라 부르기도 하는데 강에 떨궈진 샌더스 동상은 2009년에 발견되어 [[고시엔 구장]] 내 고시엔 역사관에 있다가 KFC 오사카 지사로 넘겨졌다.[* 다만 왼손 부분을 찾지 못했다. 아마 강 속에 파묻혀 있거나 떠내려 갔을 가능성도 있다.][* 이 이야기는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 서도 다뤄졌었다. [[http://a8401199.tistory.com/395|#]].] 당연히 안전상의 문제로 오사카시와 경찰 측에서는 경고문도 붙이는 등 제재를 가하는 편이지만, 한신 타이거스가 센트럴 리그를 우승하거나 일본 시리즈 진출을 하면 그딴 게 눈에 들어올 리가 없다. [[https://youtu.be/q5qMpsuNkmI|2014년 클라이맥스 시리즈 우승 이후]][* [[전통의 일전|전통의 숙적]] [[요미우리 자이언츠]]를 [[도쿄돔]]에서 시리즈 스코어 4-0(부전패 1패 제외)으로 박살 내고 나서의 상황이다.]. 이미 2003년 9월 여기 뛰어든 남성 1명이 숨진 적이 있었는데[* [[한신 타이거스]]가 길고 긴 암흑기를 빠져나와 '''18년 만의 리그 우승을 확정 지은 날'''이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2/0002763510?sid=102l|결국 2015년 1월1일 0시경에 10대 한국인 여행객이 뛰어들어 사망한 사고까지 발생했다]]. 2023년 다시 리그 우승을 차지하자 역시 이번에도 도톤보리 강에 뛰어드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오사카부 경찰이 다리를 통제하니 아예 다리 옆에서 뛰어들게 되었다(...). 다만 정작 밑을 흐르는 강의 수질은 '''좋지 않은 편'''으로, 수질개선을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인 결과 겉보기엔 더럽거나 냄새나지도 않고 뱀장어를 비롯해 여러 생물이 서식하는게 확인되었지만, [[대장균]]이 검출되는 등 사람이 들어갈 정도로 깨끗하지는 않다고 한다.[* 변기물에 뛰어드는 정도라고 비유하는 수질 전문가들도 있다.] 나카노시마, [[오사카 성]] 주변과는 다르게 수질 관리가 별로 안 되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2003년 리그 우승 당시 1985년을 떠올리며 이 강에 자의로든 타의로든 뛰어든 한신 팬들의 상당수가 후에 원인을 알 수 없는 [[피부병]]과 [[염증]]으로 몇 달을 고생했다. 사실 연말연시를 비롯해 뭔가 흥분되는 일만 있으면 일단 뛰어들고 보는 사람이 꼭 있다(...). 워낙 자주 뛰어들다 보니 [[감바 오사카]]에서도 아예 도톤보리에 광고를 내면서 "뛰지 마시오"라고 메시지를 냈는데, 2023년 한신 센트럴리그 우승 때도 뛰어든 사람이 결국 [[요도염]]에 걸렸다고 한다. 단, SNS상에서 화제가 된 인물을 지칭한 것은 아니다. 2023년에도 드디어 '''[[커널 샌더스의 저주|해묵은 저주]]를 풀어내면서 도톤보리강에 많은 인파가 몰려들었다.''' 오사카 경찰은 1300명을 동원[* 반면 오릭스 우승 시에는 100명을 동원할 예정이었다.], '안전에 유의해달라면서' 협조를 요청했지만 '''[[한신아재|이 양반들]]이 들을리가 있나...''' 결국 에비스바시 위에서 뛰어드는 것만 경찰들이 세 줄이나 세우며 간신히 통제하고[* 사실 밑 강둑보다는 다리 위를 집중적으로 막은 것에 가까웠다. 당장 2003년 우승 당시에도 저기를 통제 못해서 인사사고가 터졌다.] 다리 밑 강둑에서는 숱하게 뛰어내려댔다. 다만 AGAIN 38년은 또 겪기 싫었는지 샌더스 동상 대신 이번엔 [[https://www.fmkorea.com/index.php?mid=baseball&sort_index=pop&order_type=desc&document_srl=6361496293&listStyle=webzine|샌더스 코스프레를 한 사람을 도톤보리 강바닥에 내동댕이치는 걸]]로 극적인 [[타협]]을 했다. [[https://youtu.be/sWw1SN9u7HY|기사]]에 따르면 총 37명이 뛰어들었으며, 사상자나 체포된 사람은 없다고 한다. ==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 * [[오사카]]를 배경으로 했던 영화인 [[블랙 레인]] 등에서도 인상 깊게 나온다. * [[용과 같이 시리즈]]에 등장하는 거리인 '[[소텐보리]]'는 '''우연치 않게''' 이곳과 비슷하다고 한다.[* 거리의 구조나 풍경, 간판 등을 보면 모티브로 삼은 것이 맞으나, 뻔히 보이는 사실을 두고도 우연의 일치라는 '완곡한 표현'을 하는 것은 일본의 [[혼네|문화적 특성]] 때문이다. 해당 게임은 야쿠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이 주인공이 활동하는 지역 일대가 야쿠자와 양아치들에게 장악되어 그냥 길 가다 보면 몇 번씩 야쿠자나 양아치에게 시비가 걸려 돈을 뜯기거나, 가게들이 야쿠자에게 상납금을 바치고 살인 사건이 나는 곳으로 묘사된다. 어느 나라나 자기 동네가 그런 무법천지로 그려지는 것을 원치 않겠지만 일본의 경우는 특히 이런 부분에서는 더욱 민감한 측면이 있고, 2010년대 들어 세력이 많이 약해졌다고는 하지만 실제로 야쿠자 조직들이 활동하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일단은 완곡하게 표현하는 것.] * [[실황 떠벌이 파로디우스]]에서는 스테이지 1에 나오는 도시가 [[대한민국]] [[서울]]이라는 설정인데 '''대놓고 [[글리코]] 간판이 나온다.''' 이것 말고도 오사카 명물인 드럼 치는 줄무늬 광대인 쿠이다 오레 인형을 패러디한 레어 적이라든지, 빌리켄상을 패러디한 황금 동상 지형 지물을 보면 그냥 오사카를 만들어놓고 서울이라고 개드립 치고 았다. * 영화 [[일본침몰(2006)|일본침몰]](2006년작)에선 이 일대가 바다에 침수된 것으로 묘사된다. [[파일:Dotonbori_sink.jpg]] * [[명탐정 코난]] 83권의 [[코난과 헤이지, 사랑의 암호]](애니판 764화)에선 [[핫토리 헤이지]]가 에비스 다리에서 위장 수사 중인 마약 단속국 직원[* 농림수산성 소속이며 약학대를 졸업했다는 언급이 있고 복장을 사복 경찰보다 자유롭게 귀걸이,문신 등을 하고 다니는데 이는 의심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한다.]을 카즈하를 납치하려는 것[* 사실은 현장에 휘말리지 않게 하려는 의도였다.]으로 오인[* 사실 이때쯤 코난이 도주하고 있는 마약범의 수첩을 줍고는 접선하는 장소가 에비스 다리란 것과 오사카와 도쿄의 지하철 번호를 이용한 것을 알아내고는 도쿄의 에비스 다리로 갔었는데 약속 시간인 12월 3일 3시가 지나도 범인이 오지 않자 핫토리에게 전화를 건 것이었고--폰에 노선도가 내장되어 있는지 모르고 편의점에 도쿄 지하철 노선도를 사러 뛰어갔다 온 [[오오타키 고로|고로]]만 지못미-- 오사카의 에비스 다리란 것과 접선 암호인 '접선 장소에 흰 장미를 들고 있겠다'로 3명을 추려냈었는데 핫토리가 문신을 한 남자와 카즈하가 대화하고 있는 것을 보고 당황한다. 용의자 3명은 흰 장미 다발을 들고 있는 아저씨(사실 딸을 마중 나온 것)와 후사에 브랜드(--후사에빠인--하이바라의 말에 의하면 아직 일본에 정식 출시도 안 된 비싼 상품인 듯하다.--그리고 의심을 하는 하이바라의 표정과 그걸 보는 코난의 표정은 덤. 사실 [[하이바라 아이/캐릭터 붕괴|어찌 보면 이때 캐붕의 징조를 보이는 것 같기도 하다]].--) 를 들고 있는 아가씨(친구 모임인 듯)와 위에 나온 마약 단속국 직원이다.] 질투심과 카즈하에 대한 걱정 때문인지 얼떨결에 "나의 카즈하에게 무슨 짓이야!!!"라는, 고백한 거나 마찬가지인 말을 했다. 당시 카즈하가 이를 물어봤을 때 "증거도 없이 이상한 소리 하지 마."라고 했으며 나중에 카즈하가 또 물어보니까 비슷하게 들리는 다른 말을 한 거라고 해서 어물쩍 넘겼고, 코난이 이때 자신이 한 말을 녹음했다는 걸 안 뒤에 괜찮은 사건이 있는 곳으로 데려가 주면 파일을 지워주겠다는 약속을 해서 지웠다. 그런데 소년 탐정단이 복사본을 갖고 있어서 별 의미가 없었다. 하이바라 아이는 아예 벨소리로 해놨고. 86권에서 밝혀진 것에 따르면 그가 이때 한 말을 감추고 싶어 한 진짜 이유는 '신이치는 런던 빅벤 앞에서 한 그런 중요한 말을 에비스 다리에서 한 걸로 할 수는 없어서.'였다.--오오 헤이지 오오-- * [[명탐정 코난: 세기말의 마술사]]에서는 이곳이 [[부산광역시]] [[남포동(부산)|남포동]]으로 [[현지화]]돼서 [[https://www.instiz.net/name/28075369|방영되었는데]], 문제는 오사카에 가보지 않아도 어디선가 많이 볼 정도로 유명한 도톤보리의 글리코 아저씨 전광판이 등장하는데도 남포동이란 자막이 떠서 폭소를 자아냈다. * [[크레용 신짱]]에서는 신짱네 가족이 유명한 [[오코노미야키]]를 원장 협회 원장님--두목님--들과 같이 먹는 것으로 나왔다. 국내판에서는 [[부산광역시|부산]]의 [[동래]]에서 [[동래파전]]을 먹는 것으로 로컬라이징되었다. 각국의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점과, 부침개 요리가 비슷해서인 듯. 사실 오사카 지방을 부산으로 로컬라이징하는 경우는 오래된 클리셰이기도 하고 또 그나마 현지화했을 때 도톤보리 비슷하게 오래된 가게들이 많으면서 난잡하게 번잡한 곳으로 현지화하기에는 부산의 남포가 가장 비슷하기도 하다. * [[핸드 셰이커]]와 후속작인 [[위즈 W'z]]에서 스토리의 시작점 및 메인 장소 및 전투 장소로 나온다. * 2017년에 방송된 [[AKB48]] 자매 그룹 출연의 드라마인 [[두부 프로레슬링]]에 등장하는 여성 레슬러인 [[시로마 미루]]의 링네임의 유래이기도 하다. 즉, 도톤보리 시로마. * 2022년 영화 [[불릿 트레인]]에서는 이 강이 '''기찻길'''이 되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