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파충류족]] [[유희왕]]의 최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175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한글판명칭=독사왕 베노미논, 일어판명칭=毒蛇王(どくじゃおう)ヴェノミノン, 영어판명칭=Vennominon the King of Poisonous Snakes, 몬스터=, 효과=, 레벨=8, 속성=어둠, 종족=파충류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이 카드는 이 카드 이외의 효과 몬스터의 효과로는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의 파충류족 몬스터의 수 × 500 포인트 올린다. 이 카드는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베놈 스왐프"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묘지의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 자신 이외의 몬스터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없는 소환 제한, 자신의 묘지의 파충류족 몬스터 수만큼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효과]], [[베놈(유희왕)|베놈 스왐프]]의 효과를 받지 않는 [[지속효과]], 전투로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파충류족 몬스터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자체 소생하는 [[유발효과]]를 가진 최상급 효과 몬스터. [[독사신 베노미너거]]과 마찬가지로 이름에 "베놈"이 들어가지 않으므로 [[베놈(유희왕)|베놈]] 카드군에 속하진 않는다. 때문에 "베놈 스왐프"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는 효과가 별도로 붙어있다. 파충류족에 있어선 귀중한 범용성 있는 파워 어태커로, [[스네이크 레인]] 등과 함께하면 3000을 넘기는 건 무리도 아니다. 하지만 이런 공격력 폭등 카드가 다 그렇듯이 효과엔 정말 취약하다. 전투로 파괴되면 부활 가능하지만 약화된 채로 부활하게 된다. 애니에서도 쥬다이가 이를 간파해 전체 공격 효과가 있는 와일드 쟤기맨으로 코브라를 말려죽이려고 했다. 파괴되자마자 이것도 내 계획의 일부였다면서 베노미너거를 소환해서 그렇지.[* 사실 그 약점은 베노미너거에도 있는 약점이었으나 소환 시 공격력이 와일드 쟤기맨을 넘겨서 도루묵.] 어둠 속성에 공격력 / 수비력이 0이라 불러오긴 쉽지만, 이 당시 높은 공격력을 손쉽게 확보할 수 있는 카드가 [[킬러 토마토(유희왕)|킬러 토마토]] 등을 통하여 툭툭 튀어나오는 것은 너무하다고 생각했는지 자신 이외의 효과 몬스터의 효과로는 불러낼 수 없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물론 몬스터 효과에 한정이기 때문에 [[데미지=파충류]]나 [[데미지 콘덴서]], [[암흑차원의 해방]] 등 마함들로 얼마든지 소환할 수 있다. 몬스터 효과로 특수 소환하는 것만 막기에 [[펜듈럼 소환]]도 가능하긴 하다. [[독사신 베노미너거]]의 소환 트리거가 되는 몬스터인데, 베노미너거를 특수 소환하는 함정 카드 사신강림과 타이밍을 맞추기 정말 힘들다. 그나마 [[바이퍼 리본]]이나 [[독사의 공물]], [[리미트 리버스]] 등으로 부담을 줄일 순 있다. [[유희왕 GX]] [[유희왕 GX/이차원세계 편|이차원세계 편]] 118~119화에서는 [[프로페서 코브라]]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사용. [[베놈(유희왕)|베놈 서펜트와 베놈 보아]]를 릴리스해 소환되어서 높은 공격력과 소생 효과로 쥬다이를 고전시켰다. [[엘리멘틀 히어로 와일드 쟤기맨]]에게 전투 파괴되고 [[독사신 베노미너거]]의 소환 트리거로 쓰였다. 공격명은 '''베놈 블로(Venom Blow)'''. 디자인이 [[G.I. Joe]]에 나오는 악의 조직 [[코브라(G.I. Joe)|코브라]]의 수장 [[서펜터]]와 닮았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전술의 발전]] || TAEV-KR014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전술의 발전|TACTICAL EVOLUTION]] || TAEV-JP014 || [[슈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DUELIST EDITION Volume 2 || DE02-JP007 || [[노멀]] || 일본 || || || [[전술의 발전|Tactical Evolution]] || TAEV-EN014 || [[울트라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Legendary Collection 2: The Duel Academy Years Mega Pack || LCGX-EN192 || [[슈퍼 레어]] || 미국 || || || Ra Yellow Mega Pack || RYMP-EN069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베놈(유희왕)|베놈 스왐프]] === === [[베놈(유희왕)#베놈 샷|베놈 샷]] === === [[독사신 베노미너거|사신강림]] === === [[독사신 베노미너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