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전투를 독려하는 군사 행동, rd1=독전대, other2=월드 오브 워십에 등장하는 독일 전함, rd2=월드 오브 워쉽/독일 테크 트리/전함)] [include(틀:독전 시리즈)] [include(틀:이해영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1 '''독전'''}}} (2018) [br] Belie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독전2.jpg|width=100%]]}}} || || '''장르''' ||[[범죄물|범죄]], [[액션]], [[스릴러]], [[느와르]], [[미스터리]], [[서스펜스]], [[형사]], [[하드보일드]] || || '''감독''' ||[[이해영]] || || '''각본''' ||[[정서경(각본가)|정서경]], [[이해영]] || || '''원작''' ||[[두기봉]] - 영화 《[[마약전쟁|마약전쟁]]》 || || '''제작''' ||임승용 || || '''프로듀서''' ||정희순 || || '''촬영''' ||김태경 || || '''편집''' ||양진모 || || '''조명''' ||홍승철 || || '''미술''' ||이하준 || || '''음악''' ||[[달파란]] || || '''출연''' ||[[조진웅]], [[류준열]], [[김성령]], [[박해준]], [[차승원]], [[김주혁]] 외 || ||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용필름|[[파일:용필름 로고.png|width=60]]]] || ||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파일: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로고.svg|width=60]]]] || ||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Well Go USA|[[파일:well-go-logo.png|width=70]]]] || || '''제작 기간''' ||[[2017년]] [[7월 1일]] ~ [[2017년]] [[11월 16일]] ||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8년]] [[5월 22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18년]] [[6월 8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19년]] [[10월 4일]] || || '''상영 시간''' ||123분 (2시간 3분) | 131분 (2시간 11분, 확장판) || || '''월드 박스오피스''' ||$39,047,153 || || '''총 관객수''' ||5,202,076명 (일반판 5,064,323명 + 감독판 137,753명) || || '''스트리밍''' ||[include(틀:넷플릭스 표시)] [[https://www.netflix.com/kr/title/81002312|▶]][* 익스텐디드 컷과 동시 공개. ~ [[2023년]] [[6월 14일]] 종료. 되었었으나 19일 시점에는 다시 넷플릭스에 공개된 상태다. 다만 익스텐디드 컷은 종료 유지.] || || '''[[영상물 등급 제도|{{{#990202 상영 등급 }}}]]'''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화 《[[천하장사 마돈나]]》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을 연출한 [[이해영]] 감독의 신작으로, 2013년에 만들어진 마약 사건을 다룬 [[두기봉]] 감독의 홍콩 영화 <[[마약전쟁]]>(원제: 毒戰)의 리메이크작이다.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독전.jpg|width=100%]]}}}|| || '''글로벌 포스터'''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8asOmw3UnMw)]}}}|| || '''글로벌 예고편'''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lH0s72RhBzY?si=q7LoPvs2-kgkItS1)]}}}|| ||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n7dX8rn-gL4)]}}}|| || '''모션 포스터'''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raRxnNM6eMQ)]}}}|| || '''비하인드 영상'''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youtube(KU34jxbD-Hw)]}}}|| || '''캐릭터 예고편''' || 예고편에 노래는 [[Imagine Dragons|이매진 드래곤즈]]의 [[Believer|빌리버]] == 시놉시스 == >'''아시아 최대 마약 조직, 실체 없는 적을 추적하라!''' > >의문의 폭발 사고 후, 오랫동안 마약 조직을 추적해온 형사 '원호'의 앞에 조직의 후견인 '오연옥'과 버림받은 조직원 '서영락'이 나타난다. > >그들의 도움으로 아시아 마약 시장의 거물 '진하림'과 조직의 숨겨진 인물 '브라이언'을 만나게 되면서 그 실체에 대한 결정적 단서를 잡게 되는데··· > >끝까지 의심하라! >5월 24일, 독한 자들의 전쟁이 시작된다!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주연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독전 원호.jpg|width=100%]]}}}|| || '''[[조원호(독전)|{{{#800000 조원호}}}]]''' ([[조진웅|{{{#800000 조진웅}}}]]/[[용 예|{{{#800000 용 예}}}]](영어 더빙) 扮) || >'''"미친 거 알면 건들지 마십시오. 이 선생, 잡을 겁니다."''' >'''"어떤 한 인간을 존나게 집착하다 보면은,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상한 신념 같은 게 생기거든? 근데 왜 난 니가 뭔가 와닿지가 않냐?"''' 본작의 주인공.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원호(독전))]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서영락.jpg|width=100%]]}}}|| || '''[[서영락|{{{#800000 서영락}}}]]''' ([[류준열|{{{#800000 류준열}}}]]/[[케일럽 옌|{{{#800000 케일럽 옌}}}]](영어 더빙) 扮) || >'''"정말로 이 선생님이 이러신 거라고요?"[* 개의 상태를 보며 한 말. 서영락의 정체가 누구인지를 생각하면 사실상 작품 초반부에 뿌린 가장 결정적인 복선.]''' >'''"저 못 믿으시잖아요. 괜찮습니다, 전 팀장님 믿으니까."''' 이 선생이 이끄는 조직의 말단으로, 이 선생의 마약 조직의 바이어들과 직접 연락하는 일을 맡는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영락)] === 마약 조직 관계자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오연옥.jpg|width=100%]]}}}|| || '''오연옥''' ([[김성령|{{{#800000 김성령}}}]]/클라우디아 최(영어 더빙) 扮) || >'''"이 선생은 직접 전면에 나선 적이 없거든. 모든 걸 뒤에서 지시했어."''' 이 선생의 막대한 후견인. 인천 공장 폭파 사고의 생존자이다. 마약반에 찾아와 이 선생에 대한 정보를 주는 대가로 경찰이 자신을 보호해줄 것을 요구하며 도움을 청한다. 그러나 운전기사가 가져온 약이 혈당량 수치를 더욱[* 전에는 '그냥 낮추는'으로 되어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당뇨병]] 환자는 혈당량 수치를 낮추는 약을 맞는다. 하지만 한번에 정해진 양보다 많이 맞게 되면 저혈당 쇼크로 순식간에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낮추는 약으로 바꿔치기 되어 해장국을 먹던 도중 급사하고 만다. 사건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이긴 하나 러닝타임의 극 초반에만 등장하는지라 주요 인물로 소개된 것 치고는 비중이 적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_박선창.jpg|width=100%]]}}}|| || '''박선창''' ([[박해준|{{{#800000 박해준}}}]]/닉 마티뉴(영어 더빙) 扮) || >'''"니 엄마는 안된 건 안된 건데...이 거래에 걸린 모가지가 수십이다. 잘하자."''' 마약 조직의 최대 간부 중 하나. 한국항공[* 현실의 대한항공을 변형한 듯.] 해외경영부 [[상무이사]] 출신의 마약조직 간부로 일 처리가 깔끔하기로 정평이 난 인물로 직급은 상무. 조직 내 이권 다툼이 일어났을 때 칼을 빼들어[* 한국 굴지의 대기업 상무까지 올라갔던 사람이라는 말에서 고학력자이며 능력이 매우 뛰어난 사람임을 알 수 있으나 희한하게도 폭력성이 매우 강하고 극중에서도 정통건달보다 더 거칠고 사나운 모습을 보인다. 이권 다툼 도중에 납치한 공장 직원의 팔을 직접 절단했었다. 잘 보면 이때 박선창에게 팔이 잘린 인물이 농아 남매 중 오빠이다.][* 이 때문인지 결국 최후반에서 진짜 이 선생과 농아 남매에게 팔을 잘려 살해당한다. 어떻게 보면 [[인과응보]].] 조직 내에서 입지를 다졌다고 한다. 하는 행동과 일로 봐서는 간부라고는 하지만, 고위급은 아니고 중간간부 즈음으로 판매팀장으로 보이며 극중에서 원호와 락의 계획으로 일이 꼬이면서 이를 수습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다 이곳 저곳에서 까이기만 한다. 조직 내 물갈이에서 살아남은 독한 인물인 만큼 어딘가 광기 어리고 야비한 모습이 있고 극중에서 하급자에겐 무자비하지만 상급자에겐 굽신거리는 악질 상사, 전형적인 강약약강의 모습을 보여준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브라이언.jpg|width=100%]]}}}|| || '''브라이언 리''' ([[차승원|{{{#800000 차승원}}}]]/[[브렌트 무카이|{{{#800000 브렌트 무카이}}}]](영어 더빙) 扮) || >'''"우리 다 함께, 기도합시다.[* 직후 박선창을 신나게 두들겨 팬다(...)]"''' 이우해운 회장 이학승의 둘째 아들로, 본명은 이인무. 조직에서 매우 큰 위치를 차지하는 재벌 2세로 직급은 대표이사([[사장]]). 또한 '''공식적으로'''는 이 선생으로 지목되었으며, 결국 체포됨으로써 '''이 선생'''의 조직은 공식적으로 궤멸 처리된다. [[존댓말 캐릭터]]로 대사마다 예의를 갖추면서 존댓말로 말하는 스타일[* 극중에서 전부 다 존댓말은 안했으며 유일하게 서영락과 대화했을 때만 반말을 썼다. 사실 상황상 말단 직원에 가까운 서영락에게 반말을 쓰는건 이상하진 않다. 하지만 역시 서영락에게도 일부 대사에서는 존댓말을 사용한다.]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브라이언 리(독전 시리즈))] * '''차수정''' ([[금새록]] 扮) (영어 더빙: 핼리 킴) 소년원까지 갔다온 불량 청소년으로, 원호와 인연이 있는 사이인 듯 보인다. 과거 이 선생의 마약 조직에 연루된 적이 있다. 영화 초반에 원호의 부탁으로 잠입에 나서나 용산역 터미널에서 이 선생의 마약 조직 관계자로 추정되는 인물(브라이언)에게 피습당하여 이가 완전히 다 부러질 정도에 온몸에 큰 상처가 나도록 부상을 입는다. 겨우 원호에게 발견되어 급히 병원으로 이송되지만 응급실 침대에서 원호에게 다잉 메세지(∞ 모양)를 남기고 사망한다. 원호가 환각 상태에서도 그녀를 보았고, 브라이언의 ∞가 그려진 반지를 보고 이 선생이라 생각해 흥분하는 것을 보면 진짜로 수정을 조카처럼 각별히 아꼈던 듯 보인다. * '''이 선생''' '''아시아 최대의 마약 조직 보스'''로 그 누구에게도 정체가 드러나지 않은 비밀스러운 인물이다.[* 중국 마약계의 1인자이자 뒷세계의 거물인 진하림마저 이 선생의 정체를 전혀 몰라 찾고 있었다.] 독전의 줄거리 자체가 이 선생의 정체를 밝히는 것이기에 작중 내내 미스터리에 싸여 있으나 결국 최후반에 정체가 드러나게 된다. 자신의 조직을 여러번 청소한 전적이 있다. === 길림성 파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진하림.jpg|width=100%]]}}}|| || '''진하림''' ([[김주혁|{{{#800000 김주혁}}}]]/[[데이비드 첸|{{{#800000 데이비드 첸}}}]](영어 더빙) 扮) || >'''"난 니들 모가지만 따고 가도 밑질 거 없다."''' >'''"내 비결이 뭔지 아니? 사업을 할 땐 말이야, 제일 중요한 게 사람 가리는 거야. 돈줄 명줄 거기 다 달렸거든."''' >'''"내가 서울에 왔다는게 무슨 뜻인지 아냐? 난 내 집에서만 산다. 여행이라는거 몰라. 밖에 나가면 쓸데없이 거슬리는 게 많거든. 그중에 제일 거슬리는 게 LED 전구야. 너무 시끄러워. 머리 아파."''' >'''"내가 서울에 왔다. 이 선생 어딨냐??"''' >'''''저선생은 이선생도 아니고....히히히 짭새고...!''''' 길림성파의 두목이자 중국 마약시장의 거물로 작중 중국 최대 마약시장으로 급부상한 길림성의 마약 자금 중 대부분이 진하림의 돈[* 현금으로만 수천억원에 달하는 마약을 유통한다고 언급되는지라 중국 마약 시장의 대부분이 이 양반거라고 봐도 된다.]이라고 할 정도로 암흑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이다. 극중에서는 중간보스급의 입지이며 이 선생 측의 제의로 이 선생과 거래하기 위해 한국으로 온 바이어로 박선창으로 위장한 원호와 서영락과의 첫 대면에서 흉악한 행동과 분위기로 둘을 완전히 압도한다. 성격이 매우 포악하고[* 자신의 부하를 그저 총알받이로 취급하거나 마음에 들지않으면 총으로 쏴 죽여버린다. 와이프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의 생명을 그저 벌레 정도로 취급하는듯.] 예민하며 본인이 나서는 것을 극도로 꺼리는 성격이지만 전투 능력이 뛰어나 초반엔 원호에게 초크에 걸리는 등 완전히 밀렸으나 원호의 눈을 손가락으로 찌른 후에 액자로 원호를 가격하고 마지막에는 원호를 완전히 때려 눕히기까지 했다. 중국인 부하들을 부리지만 본인은 한국 출신으로 한국어만을 사용하고 욕이나 속어 표현도 자연스럽게 구사한다.[* 경찰서에서 원호와 영락이 작전을 짤때 진하림의 신원조회서에 본적이 전라남도 목포로 나온다. 이에 원호는 "바이어 진하림. 중국 사람인데 고향이 전남 목포, 뭐이래?"라며 혼란스러워 하는 표정을 보인다.] 중국 암흑계의 제왕급 보스이지만 자신의 와이프만큼은 애정이 깊다.[* 작중에서 '방울'이라는 별명으로 언급하는 장면이 있다. 보령의 령이 '방울 령(鈴)'자인 듯.] LED 전구처럼 거슬리는 게 많아 자신은 집에만 있고, 여행같은 건 모른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보령.jpg|width=100%]]}}}|| || '''보령''' ([[진서연|{{{#800000 진서연}}}]]/[[스테파니 코무레|{{{#800000 스테파니 코무레}}}]](영어 더빙) 扮) || >'''"자기 이거, 짝퉁이지?"''' >'''"모델들 가슴 작잖아. 내가 작니?"''' 진하림의 부인으로, [[이민호(1987)|이민호]]의 열성 팬이다.[* 덕분에 이민호는 사진으로나마 이 영화에 출연한다. 실제 함께 찍은 것이 아닌 합성한 사진이라고.] 진하림과 죽이 매우 잘 맞고 진하림이 박선창으로 위장한 원호, 영락과 거래 중에 끼어들어 마약을 먼저 흡입하고 극 후반에 마약을 따로 운반하려는 원호와 영락을 GPS로 추적해 납치해 오는 능력을 발휘하는 등 진하림의 조직에서 부분적으로나마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길림성파의 부보스급. === 마약반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마약반.jpg|width=100%]]}}}|| || '''마약반''' || * '''김소연''' ([[강승현(모델)|강승현]] 扮) (영어 더빙: [[잰시 후인]]) 서울동부경찰서 마약수사대 1팀 형사로 마약반의 홍일점. 전투력이 매우 출중하다. 막판의 브라이언과 그 경호원들과 겨룰 때 원호와 함께 1대 1로 여성 경호원[* 혼자만 살아남은 것이나 브라이언이 불렀을 때 센터에 위치한 것 등을 볼 때 아무래도 경호실장 정도 되는 위치인 듯하다. 배우는 이예은.[[http://www.topsta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436327#_enliple|#]]]과 싸우는데 매우 잘 싸운다. 유리창에 머리가 대놓고 쳐박혀도 아랑곳 않고 역으로 쳐박아 그녀를 제압한다. * '''이정일''' ([[서현우(배우)|서현우]] 扮) (영어 더빙: [[앨런 리]]) 서울동부경찰서 마약수사대 1팀 형사. * '''동우''' ([[정가람]] 扮) (영어 더빙: 스티븐 림) 서울동부경찰서 마약수사대 1팀. 길림성 파와 접촉할 때 순발력이 부족해 큰일날 뻔 했지만 원호가 유리잔으로 머리를 내려쳐 밖으로 끌려나가 위기를 넘긴다. 이후 농아 남매의 소금 공장에 돌입하나 그들이 설치해놓은 시한폭탄에 목숨을 잃는다. * '''강덕천''' ([[정준원(1988)|정준원]] 扮) (영어 더빙: 제이슨 진) 서울동부경찰서 마약수사대 1팀 형사. * '''최정태''' ([[남문철]] 扮)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부장([[경무관]]). === 그 외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농아 남매.jpg|width=100%]]}}}|| || '''농아남매 동영 / 주영''' ([[김동영(배우)|{{{#800000 김동영}}}]] / [[이주영(1987)|{{{#800000 이주영}}}]] 扮) || 청각 장애가 있어 유일하게 수화를 할 줄 아는 서영락과 소통[* 극중 이에 대한 코믹장면에서 오류가 있다. 수사팀이 서영락과의 대화를 기록하기 위해 수화 전문가를 데려오고 서영락의 넥타이핀에 카메라를 설치해서 전송된 실시간 영상을 보면서 수화 전문가에게 통역을 하게 하는데, 그들이 하는 수화 욕설(씨발, 존나, 조까 등)을 그대로 다 말해서 코믹함을 연출했다. 문제는 나중에는 서영락의 뒤에 서서 넥타이핀 카메라에 찍힐 수 없는 상황에서 남매가 대화하는 것도 다 통역을 하는 음성이 나왔다는 것. 설정상 서영락 외의 인물은 절대기피하므로 기밀 유지가 필수라 추가 카메라는 불가능하다.]한다. 태안의 소금 공장에서 마약을 제조하며, 가장 품질이 뛰어난 마약을 만들 정도로 대단한 실력자들이다. 더불어 이 선생이 전투가 필요없을 정도의 엄청난 전투 능력을 가졌다. 참고로 동영은 박선창에게 오른팔이 잘린 설정인데 스틸컷에는 옷 밑단에 손이 보이는 오류가 있다. == [[독전/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독전/줄거리)] == 사운드트랙 == [include(틀:독전/OST)] == 명대사 == >''' 이 거래를 주도하는 거야, 우리 각본대로.''' >''' 이정도면 저는 서영락입니까, 아닙니까? ''' > ''' 괜찮아요, 저는 형사님 믿으니까.''' > ''' 저 없이는 아무것도 못하시잖아요.''' > ''' 이선생 잡고 싶지? 잡아, 내가 잡게 해줄께.''' > ''' 이 거래에 걸린 모가지가 수십이다, 잘하자.''' > ''' 니들 모가지만 따고 가도 나야 밑질거 없다?''' > '''우리 다함께, 기도합시다.''' > ''' 누구 맘대로 박선창이 자극하래? 이렇게 다니니까, 진짜 한 팀이라도 된거 같냐?!''' > '''어딜 가던 길인가?''' > ''' 내가 서울에 왔다는게 무슨 뜻인지 아냐? 나는 내 집에서만 산다, 여행 같은거 몰라~ 밖에 나가면 거슬리는게 너무 많거든. 내가 서울에 왔다, 이선생 어딨냐?''' >'''저 선생은 이선생도 아니고오~ 이 쪽은 짭새고오~''' >'''박선창이라고 합니다. 잘 부탁 드립니다.''' >''' 진돗개요..''' > '''라이카!''' > ''' 너는 살면서 행복했던 적이 있냐?''' > '''모델들 가슴 작잖아, 내가 작니?'''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believer, critic=58, user=6.0)]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believer_2018_2, tomato=83, popcorn=69)] [include(틀:평가/IMDb, code=tt7095654, user=6.5)]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believer-2018-1, user=3.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8078, user=6.3)]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934399, user=6.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LjDm6, user=3.8)]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58178, expert=5.3, audience=8.5, user=7.9)]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08633, user=6.6)] [include(틀:평가/CGV, code=80700, egg=93)] >★★☆ >'''익숙한 남성들의 유대. 김주혁의 연기는 빛난다''' >---- >임수연 >★★ >'''스타일이 좋은 것과 그것만 있는 것의 차이'''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 >'''악어와 악어새가 [[사생결단#s-2]]내고 [[끝까지 간다]]'''[* 마약상과 형사의 공조물이라는 내용은 "사생결단"에서 이미 겪었음을, 조진웅이 [[끝까지 간다]]에도 출연했음을 꼬집은 것으로 보인다.] >---- >송형국 >★★ >'''상투성과 허세의 자매결연''' >---- >[[박평식]] >★★★☆ >''''한국형'이 되기 싫은 '형'(兄) 누아르''' >---- >김현수 >★★☆ >'''허탈함을 남기고 흩어진 스타일의 원심력''' >---- >[[이동진]] 평론가 평은 꽤나 박한 편이며, 관객 평 또한 절대 좋다고 보기는 힘들다. 일단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은 '''배우들의 연기력'''은 주연, 조연을 불문하고 수준급이었다는 평가. 꽤나 평범한 스토리, 어설픈 억지 전개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몰입감과 긴장감을 갖게 하는 것이 이 배우들의 열연 덕분이라고 평가된다. '''특히 [[김주혁]][* 이 영화로 사후에 청룡영화상, 대종상, 백상예술대상 남우조연상을 휩쓸었다.]과 그의 파트너 역으로 나온 [[진서연]][* 대종상 여우조연상을 수상]의 케미는 그중에서도 독보적이었다는 평이 지배적'''. 사실 스토리 자체도 중반까지는 나쁘지 않게 전개하긴 하다. 그러나 후반에 가서 뒷심이 확 빠지면서 긴장감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관객들이 많다. 또한 어설프고 무의미한 결말 역시 이 영화의 호불호를 심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했다. 상영 등급 판정에 대한 논란도 약간 있는데, 15세로는 적절치 않은 수위라는 것이 주류 의견이다. [[영상물등급위원회|영등위]]에 따르면 '마약조직과 수사관의 대결을 그린 영화로 총격전, 총기 살해, 고문 등 폭력묘사와 마약의 불법 제조 및 불법거래 등 약물에 대한 내용들도 빈번하지만 제한적으로 묘사되어 영화 전반의 수위를 고려할 때 15세이상 청소년이 관람할 수 있는 영화'라는 등급 결정을 내렸다. 여배우의 가슴 노출과 마약 복용씬[* 배우의 열연 때문에 지나치게 리얼하다.], 그리고 절단된 팔까지 여과 없이 나오는 등 청불 영화에 준할 정도로 수위가 높은 영화인데도 불구하고 15세 등급을 받았다.[* 당장 바로 전 주에 개봉한 [[버닝(한국 영화)|버닝]]과 비교하면, 베드신의 유무 차이일 뿐 영화의 주제든 묘사의 수위든 독전 쪽이 압도적으로 높다.] 상업성을 위해 15세를 받았다는 말까지 나왔으나, 대한민국의 영화 상영 등급 자체가 과거부터 국산 영화, 해외 영화 상관없이 들쭉 날쭉한 편이라 상업성 때문이란 말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납득하기 힘든 등급 배정 논란은 이후에 개봉하는 [[마녀(2018)|마녀]]가 잇게 되었다. 이후에도 [[조커(2019)|조커]], [[에이리언 커버넌트]]같이 해외에서 R등급을 받은 영화도 15세를 부여하고, 또다른 R등급 영화인 [[놉(영화)|놉]]도 12세를 부여하는 등 기준이 매우 널널해졌다. 독전을 기점으로 영등위의 심의 기준이 널널해진 듯하다. 해외에서의 평가는 국내보다는 좀 높은 편. 대개 4~6점 정도 선에서 머무르는 국내의 평론가들에 비해 해외 평론가들은 6~10점까지 다양하다. 메타크리틱은 58, 로튼 토마토는 83%를 기록하여 범작~수작 정도로 꽤나 괜찮게 나온 편이다. == 흥행 == ||<-5>
{{{#ffffff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20주차 ||<|2> → || '''2018년 21주차''' ||<|2> → || 2018년 22주차 || || [[데드풀 2]] || {{{#ffffff '''독전'''}}} || 독전 || || 2018년 21주차 ||<|2> → || '''2018년 22주차''' ||<|2> → || 2018년 23주차 || || 독전 || {{{#ffffff '''독전'''}}} ||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ly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7,504명 || -명 || 미집계 || 67,667,500원 || -원 || ||<|7> {{{#ffffff 1주차}}} ||2018-05-22. 1일차(화) || 376,543명 ||<|7> 1,808,282명 || '''1위''' || 3,378,854,600원 ||<|7> 16,071,086,261원 || ||2018-05-23. 2일차(수) || 161,146명 || '''1위''' || 1,318,718,300원 || ||2018-05-24. 3일차(목) || 158,569명 || '''1위''' || 1,293,788,500원 || ||2018-05-25. 4일차(금) || 219,561명 || '''1위''' || 1,967,323,200원 || ||2018-05-26. 5일차(토) || 459,800명 || '''1위''' || 4,173,344,461원 || ||2018-05-27. 6일차(일) || 413,363명 || '''1위''' || 3,756,580,300원 || ||2018-05-28. 7일차(월) || 155,664명 || '''1위''' || 1,282,915,900원 || ||<|7> {{{#ffffff 2주차}}} ||2018-05-29. 8일차(화) || 137,455명 ||<|7> 1,677,723명 || '''1위''' || 1,112,573,400원 ||<|7> 13,816,625,461원 || ||2018-05-30. 9일차(수) || 298,770명 || '''1위''' || 1,777,141,300원 || ||2018-05-31. 10일차(목) || 142,296명 || '''1위''' || 1,153,101,700원 || ||2018-06-01. 11일차(금) || 193,681명 || '''1위''' || 1,717,485,940원 || ||2018-06-02. 12일차(토) || 421,704명 || '''1위''' || 3,800,352,921원 || ||2018-06-03. 13일차(일) || 366,130명 || '''1위''' || 3,300,669,500원 || ||2018-06-04. 14일차(월) || 117,687명 || '''1위''' || 955,300,700원 || ||<|7> {{{#ffffff 3주차}}} ||2018-06-05. 15일차(화) || 155,541명 ||<|7> 908,951명 || '''1위''' || 1,265,688,300원 ||<|7> 7,882,218,750원 || ||2018-06-06. 16일차(수) || 230,605명 || 2위 || 2,022,513,500원 || ||2018-06-07. 17일차(목) || 68,602명 || 2위 || 554,602,100원 || ||2018-06-08. 18일차(금) || 84,347명 || 2위 || 755,877,622원 || ||2018-06-09. 19일차(토) || 168,854명 || 2위 || 1,515,228,928원 || ||2018-06-10. 20일차(일) || 148,113명 || 2위 || 1,336,315,100원 || ||2018-06-11. 21일차(월) || 52,889명 || 2위 || 431,993,200원 || ||<|7> {{{#ffffff 4주차}}} ||2018-06-12. 22일차(화) || 61,751명 ||<|7> 284,389명 || 2위 || 505,439,400원 ||<|7> 2,473,479,541원 || ||2018-06-13. 23일차(수) || 58,713명 || 4위 || 513,883,000원 || ||2018-06-14. 24일차(목) || 21,751명 || 4위 || 177,359,300원 || ||2018-06-15. 25일차(금) || 26,264명 || 4위 || 235,463,664원 || ||2018-06-16. 26일차(토) || 53,829명 || 4위 || 490,655,377원 || ||2018-06-17. 27일차(일) || 46,567명 || 4위 || 425,285,100원 || ||2018-06-18. 28일차(월) || 15,514명 || 4위 || 125,393,7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 관객수 5,024,634명, 누적 매출액 43,141,409,613원'''[* ~ 2018/06/26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제작비는 110억 원이며 손익분기점은 280만이다. 2018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중 첫 500만 관객 돌파와 상반기 한국 영화 흥행 1위를 차지했다.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아웃도어 비긴즈]], [[더 타이탄]](이상 [[2018년]] [[5월 21일]]), [[트루스 오어 데어]]([[2018년]] [[5월 22일]]),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 [[다이빙벨 그후]], [[서산개척단]], [[영혼의 순례길]], [[위 베어 베어스: 베이비 베어스]], [[오목소녀]], [[서유기 2017: 손오공 대 요괴 백골정]], [[바라나시]], [[블리트]], [[케이크메이커]](이상 [[2018년]] [[5월 24일]])까지 14편이다. 개봉일, 초반에는 예매율 23%로 2위로 시작하였다. 그러나 [[김주혁]]의 출연 소식이 뉴스로 알려진 뒤 예매율이 11% 가량 올라 34.2%를 기록하며 [[데드풀 2]]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였다. 첫 날 관객은 376,543명. 2일, 3일차에도 꾸준히 15만명대의 관객을 유지하며 1위를 차지하여 3일차 기준으로 7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4일차인 금요일에는 21만 관객을 동원하여 4일 연속 1위를 유지해 9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이 추세라면 주말 동안 150만 관객 돌파가 거의 확실해 보이며, 2주차까진 이렇다 할 경쟁작이 없기 때문에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이 개봉하기 전까지 얼마나 관객을 모으느냐가 관건일 듯. 주말인 5월 26일 토요일에는 45만 관객을 동원하며 개봉 5일 만에 13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일요일에도 40만 관객을 동원하여, 개봉 6일차만에 누적 관객 178만 명을 돌파하며 6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를 사수했다. 개봉 후 2주차인 28일 월요일에도 15만 관객을 동원하며 195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8일차 기준으로 13만 관객을 동원하며 개봉 8일 만에 21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2018년 한국 영화 중 최단 기록. 주말인 6월 2일 하루동안 42만 관객을 동원하여 316만 관객을 돌파함으로써 손익분기점을 넘겼다. 동시에 2018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중 최단 기간 300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가 되었다. 개봉 13일차인 6월 3일 350만 관객을 톨파하면서 [[그것만이 내 세상(영화)|그것만이 내 세상]]을 제치고 '''2018년 한국 영화 최고 흥행작'''으로 등극했다. 개봉 16일차인 6월 6일 400만 관객을 돌파하였으나 같은 날 개봉한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이 역대급 오프닝을 기록하면서 일일 관객수는 2위로 밀려났다. 개봉 6주차인 6월 25일까지도 15,000명을 동원하며 누적 499만 5천 명을 기록하였다. 6월 26일 기점으로 '''5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흥행에 힘입어 8분이 추가된 확장판 독전: 익스텐디드 컷이 7월 18일에 개봉했다. == 후속작 == * 2022년 4월 4일 [[독전 2]]가 [[넷플릭스]] 영화로 4년 만에 제작된다고 보도되었다. 스토리는 전작의 결말 직전인 원호가 사라진 영락을 찾아 나서는 여정을 그린다고 한다. 감독은 영화 《[[뷰티 인사이드]]》를 연출한 백종열이 메가폰을 잡고, 전작에 이어 [[조진웅]]과 [[차승원]], [[김동영(배우)|김동영]], [[이주영(1987)|이주영]]은 출연을 확정지었다. [[류준열]]은 출연하지 않기로 했으며, [[진서연]]도 논의 끝에 출연하지 않는다고 한다. 류준열이 연기한 락 역은 오디션을 통해 [[오승훈(배우)|오승훈]]이 캐스팅되었다. 또한 전 작품에는 없었던 새로운 캐릭터 큰칼 역에는 [[한효주]]가 캐스팅되었다. 프리 프로덕션을 마무리하고 7월부터 촬영에 돌입하는 걸 목표로, 동남아와 북유럽에서 촬영할 예정이며, [[넷플릭스]]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ttp://naver.me/GVM7Ovpr|#]] [[http://naver.me/Gp0icwfD|#]] * 독전의 또 다른 이야기를 시리즈물로 기획 중이라고 한다. * 2022년 12월 8일 독전의 프리퀄이 드라마로 만들어진다고 보도되었다. 《[[독전 0]]》은 독전의 초반 원호가 햄버거 가게에서 만나는 소녀 수정에 집중하는 시리즈다. 수정이 원호와 영락을 만나기 전까지의 이야기가 주요 줄거리이며, [[용필름]]은 《[[독전 0]]》으로 독전 세계관에 마침표를 찍을 예정이라고 한다. == 기타 == * 원작 영화 [[마약전쟁]]과는 소재만 같고 내용은 거의 딴판이라 봐도 좋을 정도다. 마약전쟁은 마약 단속반장과 마약상의 공조를 통해 모든 인물들이 망가져가는 상황을 보이는데 비해, 독전은 공조하는 부분까진 똑같지만 마약의 위험성보다는 두 주인공의 교류에만 초점이 맞춰졌다. * 홍보 방식이 다소 특이하다. 이전까지는 한국 포스터는 한국 관객들에게 먹히는 스타일로 제작, 국외판은 외국인 관객들에게 맞춰 따로 제작을 해왔고 예고편은 한국 예고편에 자막만 다는 경우가 많지만 외국판을 따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독전은 포스터나 예고편 모두 처음부터 글로벌 버전으로 제작해 공개했다. 포스터는 [[킹스맨: 골든 서클]], [[007 스펙터]], [[분노의 질주 5]] 등의 포스터를 디자인한 영국 엠파이어 디자인사와의 협업으로 완성되었다. 다소 이국적인 포스터와 예고편의 분위기가 색다른 영화의 분위기와 잘 어우러져 더 특색 있게 보인다는 평가가 많으며 예고편은 음악과 영상의 적절한 조화로 멋있게 잘 뽑혔다는 평가가 많다. * [[카카오TV]]를 이용하는 유저들에겐 매우매우 잘 알려진 작품이기도 한데, 개봉을 앞두고 독전의 예고편을 미친듯이 틀어주던 플랫폼이 바로 카카오tv였기 때문이다. 얼마나 많이 틀어줬으면 현기증이 생길 정도라는 유저들이 대부분이었고 예고편에 삽입된 [[Imagine Dragons]]의 [[Believer]]만 들어도 채팅창이 '''ㄷㅈ'''으로 뒤덮였을 정도였다. * [[김주혁]]의 유작이다. 사고 당시 영화는 촬영 중이었으나, 그가 등장하는 분량은 촬영을 모두 마친 상태였다. 다만 일부 액션 장면에 들어갈 숨소리와 같은 효과음의 후시녹음이 완료되진 못했다. 이는 김주혁과 음색이 비슷한 [[서현우(배우)|서현우]]가 대신 녹음해 처리했다. * [[이민호(1987)|이민호]]가 진서연과 찍은 셀카에 잠깐 등장한다. 실제로 같이 찍은 것은 아니고, 스탭과 찍은 사진에 이민호 얼굴을 합성한 것이라고 한다. * 영화상의 소금 공장은 태안에 있지만, 실제로 촬영한 곳은 전라남도 영광이다. * 초반과 후반에 등장하는 설원은 노르웨이라고 한다. * 조진웅은 실제로 마약 연기를 위해 준비해둔 가짜 마약 가루가 아닌 소금과 분필 가루를 흡입하면서 연기했다고 한다. ~~어쩐지 너무 아파 보이더라~~ 그래서 그런지 더 실감나는 연기를 했다고 한다. * 영화에서 류준열이 흡연을 하는 장면이 많은데, 감독은 류준열이 비흡연자인 것을 알고 일부러 금연초를 썼다고 한다. * 원래 시나리오상에는 엔딩 장면이 노르웨이가 아니라 동남아의 한 해변가였다고 한다. 그러나 감독의 반대로 노르웨이로 수정하였다. * 독전이란 제목은 원래 임시 명칭이었다. 하지만 제목을 변경하지 않은 이유는 김주혁에게 이야기했던 제목이었고, 김주혁과 약속을 지키고 싶었기에 변경을 안했다고 한다. * 독특하게도 미래물이다. 먼 미래는 아니고, 공장 폭발일이 2018년 9월 2일로 나온다. * 진서연이 연기한 캐릭터 보령은 마약을 흡입한 뒤, 스트레칭을 하는 등 이상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실제로 코카인을 흡입하면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다. 코카인을 흡입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근육이 수축하는 느낌이 들어 스트레칭을 한다고. * 마약을 하는 데에도 퀄리티를 꼼꼼히 따지는 것이 의외였다는 반응도 제법 있다. * 마약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한 반면 [[김성령]]이 연기한 오연옥의 사망에 대해서는 정말 어처구니 없는 장면이 나온다. 밥을, 그것도 흰 쌀밥을 말은 해장국을 먹는데 저혈당으로 죽는 장면이 나온다. 일반적으로 먹어서 혈당을 직접적으로 낮추는 약들은 많이 있다. 특히나 sulfonyurea 계열의 약은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킨다. 하지만 이를 과량으로 복용한다고 하더라도 인슐린을 짜내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특히나 이렇게 증상이 빨리 나타나지는 않는다. '''특히 밥을 먹고 있다면 저혈당이 일어날 확률은 제로에 가깝다.''' 저혈당 쇼크는 말 그대로 처치하지 않으면 그 어떤 독극물보다도 흔적을 남기지 않고 빠르게 사망하는 원인이 되는 무서운 상황이 맞지만, 이는 직접적으로 인슐린을 주사로 복용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다. 당뇨약을 평소 복용하고 있는 환자가 제 때 식사를 못 하게 되어도 저혈당 쇼크로 죽을 수 있는 건 맞고 평소 먹는 약보다 강력한 약으로 바꿔치기 되었고 그 약을 식전에 먹었다면 밥을 먹은 것이 채 흡수되어 혈당으로 전환되기 전이라 죽을 수도 있기는 한데, 평소 먹는 약이 바뀐 것을 모를 리가 없으니 속아 넘어갈만큼 같은 무게와 형상이지만 더 강한 약을 만든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다. 상기한 대로 국밥 한 그릇 다 먹으면 저혈당으로는 안 죽는다. (그리고 당뇨약은 대개 식후에 먹는다.) 인슐린을 먹어서 복용한다고 하면 그냥 빠르게 소화가 되고 절대 인슐린으로 작용하지 못한다. 아마도 감독이나 각본가들이 저혈당 쇼크에 대해 공부하고 의학 자문을 구할 때 가볍게 '저혈당 쇼크를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이 있어 없어?'라는 질문만 던졌을 가능성이 높다. 당뇨약은 절대 일반 정상인이 먹는다고 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당뇨약으로 위장한 알 수 없는 독약이라면 모를까. (영화에서 사인은 안 나오므로, 저혈당쇼크사로 오해할 수 있고 검출되기 어려운 어떤 독약일 가능성도 있다.) * 류준열은 영화 [[리틀 포레스트(한국 영화)|리틀 포레스트]]와 병행하면서 독전 촬영에 임했다. 하얀 피부로 나와야 하는 설정 때문에 감독이 수시로 살이 타지 않았나 확인했다고 하며, 김주혁 역시 드라마 [[아르곤(tvN)|아르곤]]과 병행해 찍었으며, [[조진웅]]은 김주혁이 항상 현장에 가져오는 아르곤 대본 속 김주혁의 긴 대사를 보고 연기 열정에 대해 놀랐다고 한다. * 감독판에 등장한 노르웨이에서의 LP판은 김주혁을 기리기 위한 장치다. LP 제목도 김주혁의 이름의 한자 뜻을 영어로 변환한 단어이며, LP에 나온 음성도 김주혁이 등장한 필모그래피를 현지화로 나열한 내용이라고. [[이해영]]은 김주혁이 한국 영화 역사에 중요하며 대체할 수 없는 배우였다는 것을 관객들에게 알리고 싶은 제작진의 메세지라고 밝혔다. * 한국 영화 최초로 국내에[* 해외에서는 독전 발매 이전에 버닝, 올드보이, 기생충이 이미 4K UHD로 발매되었다.] 4K UHD 블루레이가 정식 발매하는 영화다. 블루레이에는 [[김주혁]]의 미공개 장면과 인터뷰가 담겼다. 또한, 배우 김주혁이라는 카테고리를 따로 편성해 김주혁에 대한 예우와 그리움을 나타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2018년)] [[분류:독전 시리즈]][[분류:2018년 영화]][[분류:가치봄]][[분류:해외 영화 원작 영화]][[분류:15세이상관람가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