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돈 매클레인}}}[br]Don McLe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on_McLean.jpg|width=100%]]}}} || || '''본명''' ||도널드 매클레인 3세[br]Donald McLean III|| || '''별명''' ||"American Troubadour"[br]"King of the Trail"[br]"The Don"[* Don은 스페인어로 귀족을 의미한다.]|| ||<|2> '''출생''' ||1945년 10월 2일 ([age(1945-10-05)]세)|| ||[[미국]] [[뉴욕 주]] 뉴로셸||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싱어송라이터, 음악가|| || '''장르''' ||[[포크송|포크]], [[록 음악|록]], [[포크 록]]|| || '''악기''' ||[[보컬리스트|보컬]], [[기타]], [[밴조]], [[피아노]]|| || '''활동''' ||1970년 ~ 현재|| || '''학력''' ||이오나대학교 {{{-2 (경영학 / 학사)}}}|| || '''링크''' ||[[https://donmclea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DonMcLea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instagram.com/thedonmclean|[[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onmclean, 크기=22)] [[https://www.youtube.com/channe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lashback_ Don McLean Plays a Stirring 'American Pie' in 1972.jfif.jpg|width=100%]]}}} || || '''젊었던 때의 모습''' || 미국 뉴욕 주 뉴로셸 출신의 [[싱어송라이터]]이다. 한국에서는 [[Vincent(노래)|Vincent]], [[American Pie(노래)|American Pie]]란 노래로 아주 유명하다. == 상세 == 감성적인 [[포크송|포크 음악]]을 구사하여 1970년대에 전성기를 구가한 솔로 싱어송라이터이다. [[소울 음악]]의 전설적인 트랙인 [[로버타 플랙]]의 '[[Killing Me Softly with His Song]]'이 매클레인의 아름다운 음악을 듣고 감명을 받아 만들어진 곡이라는 사실은 유명하다.[* 로버타 플랙이 지은 곡은 아니고 작사가 노먼 짐벌(Norman Gimbel)이 작사하였다. 이 후 이 곡이 엄청나게 유명해지자 짐벌은 매클레인에게 이 곡의 영감을 제공했다고 홈페이지에 써 놓지 말라며 소송 위협을 하는 추태를 부리기도 했는데, 매클레인은 짐벌 본인이 매클레인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얘기한 인터뷰 자료를 제시해 짐벌의 입을 틀어막아 버렸다.] [youtube(dipFMJckZOM)] 특히 'Vincent'는 [[1971년]] [[빈센트 반 고흐]]의 일대기를 읽고 그를 추모하기 위해 쓴 곡이다. 책을 읽은 그날 밤, 너무나 가슴이 설레어서 잠을 이룰 수 없었고, 하룻밤 만에 이 노래를 완성했다고 한다. 이 곡은 그 해 UK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인이 좋아하는 팝송 100위 안에 반드시 들어가는 곡 중 하나다.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곡이지만 (영어라)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을 가사는 멜로디만큼이나 서정적이다[* 빈센트의 그림을 보면서 "이제 당신이 내게 뭘 말하려 했는지 알겠어"라면서 [[빈센트 반 고흐]]를 위로해주는 가사이다.]. 'Starry starry night'으로 시작하는 노래의 첫 대목만큼은 아주 유명하다. 아주 깨끗한 미성의 소유자였고 실제로도 이 사람의 노래를 들어보면 절대로 부르기 쉽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빈센트는 음은 높지 않지만 돈 매클레인 특유의 감성을 살리기가 어렵고, 아메리칸 파이는 음 자체를 올리기가 어렵다. == 기타 == * 한국에선 돈 매클린, 돈 맥클린, 돈 맥린 식으로 표기가 중구난방으로 난립하고 있으나, 실제 발음에 근거한 외래어 표기법 표기는 '''돈 매클레인''' 이 맞는다. Lean은 어느 동음이의어든 '린'으로 읽고, McLean 성씨를 쓰는 다른 유명인들도 ‘매클린’이라고 읽는지라, 왜 McLean을 매클린도 아니고 매클레인으로 읽느냐고 불만을 표하는 영어권 화자들이 제법 있다. [[분류:미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미국 남가수]][[분류:뉴로셀 출신 인물]][[분류:1945년 출생]][[분류:1970년 데뷔]][[분류:작곡가 명예의 전당 헌액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