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목차] == 돌격 라이노스 == [[파일:突撃ライノス.jpg]] || 한글판 명칭 ||<-4>'''돌격 라이노스'''|| || 일어판 명칭 ||<-4>'''突撃ライノス'''|| || 영어판 명칭 ||<-4>'''Rampaging Rhynos'''||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땅]] || [[야수전사족]] || 1500 || 1500 || ||<-5>이 카드는 1턴에 1번만, 사용하고 있지 않는 옆 몬스터 카드 존으로 이동할수 있다. 이 카드의 정면에 존재하는 상대 몬스터를 공격할 경우,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포인트 올린다.|| 필드 위의 옆 칸으로 이동하는 굉장히 특이한 효과를 가졌다. 레벨 3에도 불구하고 정면에 존재하는 카드 공격시 데미지 스텝동안 공격력이 2000이 된다. 또 레벨이 3이라는점을 생각하면 [[그레비티 바인드]]나 [[레벨 제한 B구역]]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 공격력이 1500이라서 아슬아슬하게 서치가 가능하지만 어태커로 사용할 카드의 공격력이 낮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다. 게다가 자신이 상대 몬스터를 공격시에만 효과적용이 되는지라 상대방이 공격하면 얄짤없다. 또 애초에 이 카드를 꺼내면 상대가 이 카드와 두 칸 떨어져서 몬스터를 소환할 테니 기껏해야 몬스터 한마리 잡는 정도가 한계다. 거의 쓰이지 않지만 만약 사용하고 싶다면 [[거대쥐(유희왕)|거대쥐]]로 불러와서 기습하거나, 어떻게든 특수 소환해서 [[지옥의 폭주소환]]으로 나머지를 모두 불러낸다거나 하는 방법이 있다. 또 [[야성해방]]과 합쳐서 3500 공격력을 발휘할 수도 있긴 하다. 모티브는 코뿔소. 같은 모티브인 [[맹진하는 검뿔소]]는 4족보행인데... [[에일리언 베이더]]나 [[폭파 도화선]]같이 필드의 위치에 관계되는 카드들이 나오던 시절 같이 나왔던 카드. 이 카드는 그런 류의 카드들 중 그나마 가장 쓸만한 축에 속하기 때문인지 일단 DUELIST EDITION Vol.1에서 다른 카드들처럼 잘리지 않고 살아남긴 했다. 사실상 1회용이라고 생각하면 이거보다 6년이나 뒤에 나온 레온타우로스보다도 낫다. 하지만 세월이 지나고 유희왕 ZEXAL 코믹스에서 이같은 카드의 위치로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군인 "라인 몬스터"가 나왔는데, OCG화 하면서 특성이 사라졌다. [[No.72 라인 몬스터 채리엇 비차]] 및 [[비차각]] 문서 참조.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사이버 다크의 격돌]] || CDIP-KR03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프레셔스 팩|프레셔스 팩 Volume 1]] || PC01-KR059 || [[노멀]] || 한국 || || || [[사이버 다크의 격돌|CYBERDARK IMPACT]] || CDIP-JP03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절판 || || DUELIST EDITION Vol.1 || DE01-JP057 || [[노멀]] || 일본 || || || [[사이버 다크의 격돌|Cyberdark Impact]] || CDIP-EN031 || [[레어]][br][[얼티밋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레온타우로스 == * 관련 문서: [[일반 몬스터]]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55549_1.jpg]] || 한글판 명칭 ||<-4>'''레온타우로스'''|| || 일어판 명칭 ||<-4>'''レオンタウロス'''|| || 영어판 명칭 ||<-4>'''Leotau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땅]] || [[야수전사족]] || 1500 || 1600 || ||<-5>①: 이 카드가 일반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하는 데미지 스텝 동안, 이 카드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종족과 속성 모두 동일한 [[제네틱 워울프]]가 있는데 이 카드를 채용할 바보는 없다. 우선 직접 공격시 줄 수 있는 데미지량도 1500 그대로이고 필드 위에서 다시 소환하지 않으면 '''일반 몬스터 취급하는''' [[듀얼(유희왕)|듀얼]] 몬스터 중 공격력 1900짜리인 [[엘리멘틀 히어로 어나더 네오스]]가 하락세라고는 하지만 만나면 전투로 확실히 털릴것이다. 거기다 제네틱 워울프는 일반 몬스터라는 특성상 [[말뼈의 대가]], [[레스큐 래빗]] 같은 몇가지 카드의 백업도 받는다. 결론은 그냥 제네틱 워울프를 3장 꽉꽉 덱에 눌러담았는데 더 넣고 싶다면 4장째로서 채용하는 것 정도나 생각해 볼 법한 카드일 뿐. 일단 덱에 넣었다면 거대쥐로 나락을 피하면서 [[리크루트]]할 수 있는 2000 어태커라는, 그나마 있는 정체성을 최대한 살려보자. 서치의 경우 역시 [[염무-「천기」]]로 제네틱 워울프도 서치가 가능해진지라 이쪽으로 차별화하기도 힘들다. 참고로 '효과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가 아닌 딱 [[일반 몬스터]]를 지정하고 있기 때문에 [[젬나이트 펄]]이나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 같은 거랑 싸울 때도 공격력이 올라가나, 어차피 맞아죽는다는 건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듀얼 링크스]]에서는 충분히 활약할만한 카드로 위치가 격상되었다. 2017년 5월 기준으로도 일반 팩, 트레이드를 해도 필드 마법이나 장착 카드 없이도 쉽게 타점이 2000까지 오르는 하급 몬스터는 사실상 이 카드가 유일하기 때문.[* 5월 기준으로 존재하는 하급 몬스터는 [[혼을 먹는 바즈]], 카오스 라이더 구스타프, 디스크 라이더 등의 [[라이더(유희왕)|라이더]] 2장, 뇌제신 등이 있으나 바즈나 라이더들은 특정 카드가 묘지에 있어야 제외하고 공격력이 오르고 턴이 지나면 다시 원래대로 내려가며, 뇌제신은 데미지 절반에 스피릿이라 패로 되돌아간다. [[듀나미스 발키리어]]가 그나마 일반 몬스터에 5월 기준 하급 최강의 공격력을 가졌지만 [[울트라 레어]]라 얻기가 힘들고 3장으로 채우고 싶다면 팩 초기화도 2번이나 해야된다. 반면 레온타우로스는 일반 몬스터만 아니라면 오직 공격하기만 해도 2000의 타점으로 상대 몬스터를 돌파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위 호환인 제네틱 워울프가 없어서 상대가 일반 몬스터 위주의 덱이 아니라면 채용해도 밥값은 한다. 그 덕분인지 게임 내에서는 [[슈퍼 레어]]이며, 장착카드만 잘 달아주면 융합, 의식 상대로도 공격력이 올라서 돌파할 수 있다. 카운터는 역시 공격력을 1500넘기는 [[두 머리의 킹렉스]] 등의 일반 몬스터들. 특히 [[다이나소 용만]]의 능력으로 쥬라기 월드를 발동시킨채 킹렉스와 [[시체를 먹는 용]]을 1900의 어태커로 쓰는 공룡덱은 주의. 참고로 이름의 유래는 당연히 그리스어로 '사자'를 의미하는 [[레온]](λέων)과 [[켄타우로스]](Κένταυροι)의 합성어.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우주의 섬광]] || CBLZ-KR042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JP04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우주의 섬광|Cosmo Blazer]] || CBLZ-EN042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 BP03-EN102 || [[레어]][br][[패러렐 레어]] || 미국 || || [[분류:유희왕/OCG/야수전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