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속공 마법 카드. [목차] == 돌격지령 == [[파일:突撃指令.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돌격지령, 일어판 명칭=突撃指令(とつげきしれい), 영어판 명칭=Order to Charge, 효과1=①: 토큰 이외의 자신 필드의 일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일반 몬스터를 릴리스하고\,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골라 파괴한다.)] [[천공의 성역(부스터 팩)|천공의 성역]]에서 발매된 속공 마법. 주로 사용하는 덱은 일반 몬스터 비트 덱. [[듀얼(유희왕)|듀얼 몬스터]]에게는 [[듀얼 스파크]]라는 상위 호환 카드가 있다. 사용하려면 속공 마법인 점을 이용해 상대의 제거에 체인해서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하여 2대2 교환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 거기다가 이 카드는 파괴할 상대 몬스터를 '''대상 비지정'''으로 고르고 파괴할 수 있다.[* 하지만 릴리즈할 자신의 일반 몬스터는 대상으로 지정해야하기에 '''필드의 카드를 대상으로 하는 카드의 발동을 무효'''로 하는 카드에 막히며, 상대가 [[금지된 성창]] 등을 사용 시 릴리즈가 불가능해 고르고 파괴도 불가능하다.] [[고통 분담]]과 효과는 비슷하지만 고통 분담은 그 상대방이 '''릴리스할''' 몬스터를 고르는 반면[* 본인 카드의 효과로 파괴하여 묘지로 보내는 것이 아니기에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나 '''카드의 효과를 받지 않는다'''마저도 보내버릴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카드 문서 참고.] 돌격지령은 상대의 몬스터를 '''자신이 파괴한다'''는 것이 차이점. 그리고 고통 분담과는 다르게 '''일반 몬스터'''를 릴리스해야 한다는 것도 차이. 효과 상으로는 딱히 어느 게 상위호환이라 할 게 없다. 다만 이 카드는 '''속공 마법'''이기 때문에 세트해 놓으면 '''상대 턴에도 발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살릴 수 있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프리드(유희왕)|무적장군 프리드]]. == 옥쇄지령 == || [[파일:external/www.suruga-ya.jp/g8805828.jpg]] || [[파일:external/yugioh-wiki.de/Befehl_zum_Zerschmettern.jpg]] || || 내수판 || 해외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옥쇄지령, 일어판 명칭=玉砕指令, 영어판 명칭=Order to Smash, 효과1=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레벨 2 이하의 일반 몬스터(토큰 이외)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발동 후\, 선택한 일반 몬스터를 제물로 바쳐\, 상대 필드 위의 마법 / 함정 카드를 2장 까지 파괴할 수 있다.)] 몬스터에서 마법 / 함정으로 종류가 바뀌고, 돌격지령에 비해 2대2 교환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대신에 레벨 2 이하라는 제한이 생겨서 [[로우 레벨]] 덱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되었다. [[트윈트위스터]]의 발매로 인해 범용성과 속공성이 떨어지는 이 카드는 로우 레벨 덱에서조차 채용할 가치가 매우 떨어지게 되었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자신의 부하에게 [[닥돌]]명령을 내리고 있는 [[명계의 마왕 하데스]]. 일러스트의 구도가 [[아마조네스(유희왕)|여왕의 선택]]이랑 닮았는데, 해당 카드가 옥쇄지령를 모티브삼아 그린 걸지도. [[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