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동구(대구광역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동구 갑}}} (대구)}}}'''[br]{{{-1 {{{#fff 지저동, 동촌동, 신암동, 신천1·2동 등[br]東區 甲[br]Dong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동구 갑(대구)(2).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38,944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대구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동구(대구광역시)|{{{#000,#fff 동구}}}]] {{{#000,#fff 일부}}}''' 지저동, 동촌동,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 || ||<-2> '''신설년도''' ||<-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 ||<-2> '''이전 선거구''' ||<-2> 동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류성걸]] || [목차] [clearfix] == 개요 == 16대 총선 때 동구 단일 선거구였던 적을 제외하면 14대 총선 이후 쭉 갑/을 선거구로 나뉘어 운영해오고 있다. 이 지역을 지역구로 두었던 인사들 가운데 [[목요상]], [[박준규(1925)|박준규]], [[김복동]], [[강신성일]] 등 나름 무게감 있는 인물들이 많다. 현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류성걸]] 의원이다. 이 선거구는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등이 속한 신암, 신천권과 [[대구국제공항]]과 같은 동촌권 일부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래는 [[동구 을]]이었지만 20대 총선부터 동구 갑으로 이관되었다.], 금호강 서부 지역과 일부 금호강 동부 지역[* 지저동, 동촌동]이 이 선거구에 속한다. 참고로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대구국제공항]]이 있어 '''[[대구광역시|대구]]의 관문'''이라는 별칭을 갖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의 모교인 청구고도 이 지역구 관할이다. [[북구 갑(대구)|북구 갑]] 선거구처럼 본시가지 지역이 대부분이고, [[동구 을]]에 비해 비교적 연령대가 높은 주민들이 많고, [[효목동|효목2동]], [[신천동(대구)|신천동]], [[신암동]]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3040이 많이 사는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적기 때문에 [[동구 을]]에 비해 더 보수세가 강한 면모를 보인다. 다만 현재 대대적인 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장기적으로는 표심의 변화가 생길지도 모른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13대 || [[박준규(1925)|박준규]]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동구 || || 제14대 ||<|2> [[김복동]]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2> 동구 갑 || || 제15대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4월 19일 || || 제16대 || [[신성일|강신성일]] ||<|3> [include(틀: 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동구 || || 제17대 ||<|2> [[주성영]]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5> 동구 갑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류성걸]] ||<|2>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정종섭]]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류성걸]]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 === 동구 (13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br]{{{#ffffff 대구 동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준규(1925)|박준규]](朴浚圭)''' || '''85,854'''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54.92%'''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목요상]](睦堯相) || 46,725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9.89% || 낙선 || ||<|2> {{{#000000 {{{+5 '''3'''}}}}}} || 안병달(安柄達) || 2,163 || 5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38% || 낙선 || ||<|2> {{{#ffffff {{{+5 '''4'''}}}}}} || [[최규태]](崔圭泰) || 16,230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0.38% || 낙선 || ||<|2> {{{#ffffff {{{+5 '''5'''}}}}}} || 권영식(權寧植) || 5,350 || 4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3.4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4,483 ||<|3> '''투표율'''[br]77.08% || || '''투표 수''' || 157,607 || || '''무효표 수''' || 1,285 || === 동구 갑 (14~15대)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br]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복동]](金復東)''' || '''54,557'''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9.28%''' || '''당선''' || ||<|2> {{{#ffffff {{{+5 '''2'''}}}}}} || [[임대윤]](林大潤) || 11,763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2.78% || 낙선 || ||<|2> {{{#ffffff {{{+5 '''3'''}}}}}} || [[최규태]](崔圭泰) || 20,613 || 2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2.39% || 낙선 || ||<|2> {{{#ffffff {{{+5 '''4'''}}}}}} || 윤창한(尹昌漢) || 5,095 || 4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5.5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8,727 ||<|3> '''투표율'''[br]67.18% || || '''투표 수''' || 93,192 || || '''무효표 수''' || 1,164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br]신천1동, 신천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성일|강신성일]](姜申星一) || 15,572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20.80% || 낙선 || ||<|2> {{{#ffffff {{{+5 ~~'''2'''~~}}}}}} || ~~조동옥(趙東玉)~~ || - || -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 || 등록무효 || ||<|2> {{{#ffffff {{{+5 '''3'''}}}}}} || [[임대윤]](林大潤) || 5,977 || 5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7.98% || 낙선 || ||<|2> {{{#ffffff {{{+5 '''4'''}}}}}} || '''[[김복동]](金復東)''' || '''28,134'''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37.59%''' || '''당선''' || ||<|2> {{{#ffffff {{{+5 '''5'''}}}}}} || 위현복(魏玹復) || 1,848 || 7위 || || [include(틀:무당파국민연합)] || 2.46% || 낙선 || ||<|2> {{{#ffffff {{{+5 '''6'''}}}}}} || 권영식(權寧植) || 8,961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1.97% || 낙선 || ||<|2> {{{#ffffff {{{+5 '''7'''}}}}}} || 박춘근(朴春根) || 1,444 || 8위 || || [include(틀:무소속)] || 1.92% || 낙선 || ||<|2> {{{#ffffff {{{+5 '''8'''}}}}}} || [[이종구(군인)|이종구]](李鍾九) || 8,96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98% || 낙선 || ||<|2> {{{#ffffff {{{+5 '''9'''}}}}}} || 채명길(蔡明吉) || 400 || 9위 || || [include(틀:무소속)] || 0.53% || 낙선 || ||<|2> {{{#ffffff {{{+5 '''10'''}}}}}} || [[최규태]](崔圭泰) || 3,533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4.7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4,092 ||<|3> '''투표율'''[br]62.00% || || '''투표 수''' || 76,942 || || '''무효표 수''' || 2,105 || === 동구 (16대)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br]{{{#ffffff 대구 동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신성일|강신성일]](姜申星一)''' || '''88,25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67.18%''' || '''{{{#373a3c 당선}}}''' || ||<|2> {{{#ffffff {{{+5 '''2'''}}}}}} || [[안원욱]](安垣旭) || 10,365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1.67% || 낙선 || ||<|2> {{{#ffffff {{{+5 '''3'''}}}}}} || 배석기(裵錫起) || 5,268 || 5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4.01% || 낙선 || ||<|2> {{{#ffffff {{{+5 '''4'''}}}}}} || [[서훈(1942)|서훈]](徐勳) || 10,267 || 3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7.81% || 낙선 || ||<|2> {{{#ffffff {{{+5 '''5'''}}}}}} || 서재열(徐在烈) || 2,098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59% || 낙선 || ||<|2> {{{#ffffff {{{+5 '''6'''}}}}}} || [[오기환(정치인)|오기환]](吳基煥) || 10,133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7.71% || 낙선 || ||<|2> {{{#ffffff {{{+5 '''7'''}}}}}} || 최종탁(崔宗鐸) || 4,974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3.7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46,651 ||<|3> '''투표율'''[br]53.84% || || '''투표 수''' || 132,801 || || '''무효표 수''' || 1,438 || 전국적인 지역구 통폐합으로 동구 을과 합구되어 동구 단일 선거구로 선거를 치뤘다. === 동구 갑 (17대~)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br]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주성영]](朱盛英)''' || '''42,335'''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0.60%'''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이광수(異光洙) || 813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16% || 낙선 || ||<|2> {{{#000000 {{{+5 '''3'''}}}}}} || [[이강철(정치인)|이강철]](李康哲) || 24,529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5.11% || 낙선 || ||<|2> {{{#ffffff {{{+5 '''4'''}}}}}} || 김건찬(金建贊) || 652 || 5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0.93% || 낙선 || ||<|2> {{{#ffffff {{{+5 '''5'''}}}}}} || 안태전(安泰田) || 1,52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7,303 ||<|3> '''투표율'''[br]60.18% || || '''투표 수''' || 70,589 || || '''무효표 수''' || 735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br]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주성영]](朱盛英)''' || '''37,904'''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77.60%''' || '''당선''' || ||<|2> {{{#ffffff {{{+5 '''4'''}}}}}} || [[송영우(1973)|송영우]](宋映雨) || 8,512 || 2위 || || [include(틀: 민주노동당)] || 17.43% || 낙선 || ||<|2> {{{#ffffff {{{+5 '''6'''}}}}}} || 전재용(全載容) || 2,428 || 3위 || || [include(틀: 평화통일가정당)] || 4.9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4,760 ||<|3> '''투표율'''[br]43.54% || || '''투표 수''' || 49,961 || || '''무효표 수''' || 1,117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br]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류성걸]](柳性杰)''' || '''36,342'''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60.83%''' || '''당선''' || ||<|2> {{{#3AB34A {{{+5 '''2'''}}}}}} || [[임대윤]](林大潤) || 14,142 || 2위 ||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23.67% || 낙선 || ||<|2> {{{#ffffff {{{+5 '''6'''}}}}}} || [[오세호(1958)|오세호]](吳世昊) || 2,727 || 4위 || || [include(틀:국가재건친박연합)] || 4.56% || 낙선 || ||<|2> {{{#ffffff {{{+5 '''7'''}}}}}} || 전창국(全昌國) || 217 || 5위 || || [include(틀:국민행복당)] || 0.36% || 낙선 || ||<|2> {{{#ffffff {{{+5 '''8'''}}}}}} || [[오태동(정치인)|오태동]](吳泰東) || 6,31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0.5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4,934 ||<|3> '''투표율'''[br]52.40% || || '''투표 수''' || 60,225 || || '''무효표 수''' || 484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신천1·2동, [br]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 동촌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정종섭]](鄭宗燮)''' || '''36,017'''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9.06%''' || '''당선''' || ||<|2> {{{#ffffff {{{+5 '''5'''}}}}}} || 황순규(黃淳奎) || 4,623 || 3위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6.29% || 낙선 || ||<|2> {{{#ffffff {{{+5 '''6'''}}}}}} || 성용모(成容模) || 1,074 || 4위 || || [include(틀:한국국민당)] || 1.46% || 낙선 || ||<|2> {{{#ffffff {{{+5 '''7'''}}}}}} || [[류성걸]](柳性杰) || 31,698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43.1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2,976 ||<|3> '''투표율'''[br]56.20% || || '''투표 수''' || 74,688 || || '''무효표 수''' || 1,27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부터는 [[동구 을]] 선거구는 [[이시아폴리스]], [[대구신서혁신도시|신서혁신도시]] 등 신도시가 많이 들어선 반면 동구 갑 선거구는 [[중구·남구]], [[북구 갑(대구)|북구 갑]]과 같이 [[원도심]] 지역이라 [[도심 공동화]]로 인구가 선거구 미달지점까지 감소하여 기존의 [[신암동]], [[신천동(대구)|신천동]], [[효목동]] 외에도 [[지저동]]과 동촌동이 이 지역구로 편입되었다. 그렇게 되자 생활권과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 일단 [[신암동]], [[신천동(대구)|신천동]], [[효목동]]은 [[동대구역]] 생활권으로 금호강 서쪽 지역에 있다. 그리고 이들 지역은 '''939, 940, 950''' 국번을 이용한다. 반면 [[지저동]]과 동촌동은 [[동구 을]] 지역인 방촌동, [[불로동(대구)|불로동]], [[봉무동]]과 같은 생활권으로 '''980''' 국번을 이용한다. 또한 [[동구 을]]의 경우 선거구 경계 조정 이후 [[안심지구]]와 [[불로동(대구)|불로동]], [[봉무동]], [[공산동]] 간의 교통이 사실상 단절된 [[월경지]] 현상이 발생했다. 도시 구조상 [[지저동]]과 동촌동이 [[안심(대구)|안심]]괴 [[불로동(대구)|불로동]], [[봉무동]], [[공산동]]을 잇는 길목이기 때문이다.] 이 지역구 또한 [[유승민]]의 지역구인 옆 [[동구 을]]과 같이 [[박근혜]]와 [[유승민]]의 갈등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당시 현역 의원이었던 [[류성걸]] 의원은 [[친이]], [[친유]] 정치인으로 분류됐다. [[친박]]의 핵심인 [[최경환(1955)|최경환]]과 [[이한구]], [[조원진]]은 [[박근혜]]와 각을 세우는 [[유승민]]을 견제하기 위해 [[류성걸]] 의원을 컷오프했다. 이 지역구엔 당초 [[경주시(선거구)|경주시]]에서 출마를 준비하고 있었던 [[친박]] 후보인 [[정종섭]] 전 행정안전부장관이 단수공천을 받았다.[[https://mnews.joins.com/article/19029467|#]] [[최경환(1955)|최경환]]과 [[이한구]], [[조원진]]은 [[유승민]]을 [[박근혜]]와 대립했다는 이유로 배신자로 몰아갔으며, [[정종섭]]도 의리를 강조하면서 무소속 후보들을 비난하였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01/2016040101993.html|#]] 그런데 이 공천 파동 사태에서 [[류성걸]]과 [[정종섭]]이 [[유승민]]과 같은 [[경북고등학교]] 동창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언론에서는 [[경북고등학교]] 동창 간 전투로 묘사할 정도였다.[* 심지어 직접 맞대결을 하게 된 두 후보는 2학년 때 같은 반이기까지 했다.] [[유승민]] 후보는 동구 갑에서 [[류성걸]]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정종섭]]을 [[진박 감별사|진박 마케팅]]을 하고, [[류성걸|친구]]의 지역구를 날로 가져간다고 거칠게 비판했다.[[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196325|#]] [[류성걸]]도 [[정종섭]]이야말로 배신자라고 받아쳤다.[[https://mnews.joins.com/article/19867968#home|#]] 공천 갈등으로 인해 [[정종섭]]과 [[류성걸]]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고 지역 정가에서는 언급했다.[[https://m.mk.co.kr/news/politics/view/2016/03/178319/|#]][* 즉 [[유승민]]은 [[정종섭]]과의 관계가 깨질 것을 각오하고 [[류성걸]]을 지원했다.] 또한 선거 과정에서 정종섭을 지지한 새누리당 소속 동구의원이 정종섭의 파티마병원 ~ 유통단지 간 도로 건설 공약을 지지한다는 문자메시지를 '''[[류성걸]]의 명의'''로 보내 [[류성걸]]이 선거관리위원회에 이를 신고하고 정종섭 측도 황당해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https://m.hani.co.kr/arti/politics/polibar/738966.html#cb|#]] 당시 불출마를 선언한 [[김희국]], [[윤두현]]과의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고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한 [[김상훈(1963)|김상훈]]을 제외한 [[권은희(1959)|권은희]], [[류성걸]], [[유승민]]은 [[경상남도]]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의 [[조해진]]과 같이 무소속 연대를 꾸려서 선거에 출마하게 되었다. 결국 [[새누리당]] [[정종섭]] 후보가 49.06%로 당선되고, [[류성걸]] 후보는 43.18%로 낙선했다. 이웃 지역구인 [[북구 갑(대구)|북구 갑]]의 [[권은희(1959)|권은희]]와 달리 [[류성걸]]은 어느 정도 선전한 셈이다. 당시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동대구역]] 리모델링, [[신암동]], [[신천동(대구)|신천동]] 재개발 등으로 [[류성걸]]은 어느 정도 지지율을 확보했는 반면, [[정종섭]]은 [[새누리당]] 대구 지역구 후보들 중 누구보다도 [[진박 감별사|진박 마케팅]]에 앞장서서 접전승을 거두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구 갑|{{{#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br]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동촌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서재헌]](徐載憲) || 21,594 || 2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26.62% || 낙선 || ||<|2> {{{#ffffff {{{+5 '''2'''}}}}}} || '''[[류성걸]](柳性杰)''' || '''56,444''' || '''1위''' ||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69.59%''' || '''당선''' || ||<|2> {{{#000000 {{{+5 '''6'''}}}}}} || 양희(梁姬) || 2,162 || 3위 || || [include(틀: 정의당)] || 2.66% || 낙선 || ||<|2> {{{#ffffff {{{+5 '''7'''}}}}}} || 김백민(金百珉) || 903 || 4위 || || [include(틀: 국가혁명배당금당)] || 1.1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4,323 ||<|3> '''투표율'''[br]66.13% || || '''투표 수''' || 82,213 || || '''무효표 수''' || 1,110 || ||<-10> {{{#ffffff '''21대 총선 동구 개표 결과'''}}} || ||<-10> {{{#ffffff '''국회의원 선거 (동구 갑)'''}}}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재헌|{{{#ffffff 서재헌}}}]] || [[류성걸|{{{#ffffff '''류성걸'''}}}]]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21,594 [br] (26.62%)''' || {{{#ffffff '''56,444 [br] (69.59%)'''}}} || '''- 34,850 [br] (▼42.97)''' || '''82,213 [br] (66.12%)''' || || '''신암1동''' || {{{#696969 21.04%}}} || {{{#ef426f '''75.09%'''}}} || {{{#696969 ▼54.05}}} || 65.98 || || '''신암2동''' || '''29.07%''' || {{{#ff7e9d 66.90%}}} || '''▼37.84''' || 68.26 || || '''신암3동''' || 26.43% || {{{#ef426f 69.45%}}} || ▼43.02 || 64.51 || || '''신암4동''' || 24.56% || {{{#ef426f 71.44%}}} || ▼46.88 || {{{#696969 58.60}}} || || '''신암5동''' || 25.00% || {{{#ef426f 70.94%}}} || ▼45.94 || '''69.46''' || || '''신천1·2동''' || 26.98% || {{{#ef426f 69.87%}}} || ▼42.89 || 68.19 || || '''신천3동''' || 27.34% || {{{#ef426f 69.17%}}} || ▼41.83 || 67.43 || || '''신천4동''' || 26.37% || {{{#ef426f 69.76%}}} || ▼43.39 || 59.97 || || '''효목1동''' || 22.41% || {{{#ef426f 73.68%}}} || ▼51.27 || 63.14 || || '''효목2동''' || 25.07% || {{{#ef426f 71.68%}}} || ▼46.61 || 63.73 || || '''지저동''' || 23.78% || {{{#ef426f 73.04%}}} || ▼49.27 || 62.85 || || '''동촌동''' || 25.88% || {{{#ef426f 70.80%}}} || ▼44.92 || 60.38 || || '''후보''' || [[서재헌|{{{#004ea2 서재헌}}}]] || [[류성걸|{{{#ef426f '''류성걸'''}}}]]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8.16% || {{{#ef426f 64.31%}}} ||<-2> ▼36.15 || || '''관외사전투표''' || 39.34% || {{{#ef426f 55.41%}}} ||<-2> ▼16.08 || || '''재외투표''' || {{{#004ea2 61.95%}}} || 30.43% ||<-2> △31.52 || ||<-10>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fffff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ffffff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ffff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ffffff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01,258 [br] (54.27%)'''}}} || '''31,012 [br] (16.62%)''' || '''11,988 [br] (6.42%)''' || '''15,253 [br] (8.17%)''' || '''5,656 [br] (3.03%)''' || '''+ 70,246 [br] (△37.65)''' || '''194,261 [br] (65.49%)''' || || '''신암1동''' || {{{#ef426f '''62.25%'''}}} || {{{#696969 12.32%}}} || 5.21% || 6.58% || 2.05% || '''△49.93''' || 65.98 || || '''신암2동''' || {{{#ef426f 54.78%}}} || 16.51% || 6.88% || 9.16% || 2.64% || △38.26 || 68.25 || || '''신암3동''' || {{{#ef426f 57.84%}}} || 15.04% || 6.05% || 7.89% || 2.88% || △42.80 || 64.53 || || '''신암4동''' || {{{#ef426f 60.79%}}} || 14.84% || 5.18% || 5.80% || 2.52% || △45.95 || {{{#696969 58.59}}} || || '''신암5동''' || {{{#ef426f 59.63%}}} || 14.44% || 5.67% || 6.63% || 2.62% || △45.19 || '''69.54''' || || '''신천1·2동''' || {{{#ef426f 57.65%}}} || 15.69% || 5.74% || 8.55% || 2.43% || △41.96 || 68.18 || || '''신천3동''' || {{{#ef426f 56.00%}}} || 15.98% || 5.71% || 8.92% || 3.13% || △40.02 || 67.41 || || '''신천4동''' || {{{#ef426f 58.95%}}} || 15.62% || 5.53% || 6.44% || 2.67% || △43.33 || 59.97 || || '''효목1동''' || {{{#ef426f 62.13%}}} || 12.79% || 4.87% || 6.37% || 2.36% || △49.33 || 63.15 || || '''효목2동''' || {{{#ef426f 60.34%}}} || 14.65% || 5.20% || 7.29% || 2.52% || △45.69 || 63.74 || || '''도·평동''' || {{{#ef426f 59.12%}}} || 13.94% || 6.54% || 6.19% || 2.45% || △45.18 || 66.11 || || '''불로·봉무동''' || {{{#ef426f 53.98%}}} || 16.43% || 6.42% || 8.90% || 3.09% || △37.55 || 63.26 || || '''지저동''' || {{{#ef426f 61.93%}}} || 13.53% || 5.21% || 5.84% || 2.05% || △48.40 || 62.86 || || '''동촌동''' || {{{#ef426f 59.17%}}} || 14.15% || 5.11% || 7.46% || 2.28% || △45.02 || 60.38 || || '''방촌동''' || {{{#ef426f 59.95%}}} || 13.04% || 5.43% || 7.85% || 2.16% || △46.91 || 67.40 || || '''해안동''' || {{{#ef426f 59.47%}}} || 13.78% || 5.04% || 6.86% || 2.16% || △45.69 || 61.22 || || '''안심1동''' || {{{#ef426f 50.90%}}} || 17.95% || 6.65% || 8.80% || 3.28% || △32.95 || 60.98 || || '''안심2동''' || {{{#ef426f 58.32%}}} || 14.44% || 5.33% || 7.15% || 2.67% || △43.88 || 62.94 || || '''안심3·4동''' || {{{#ff7e9d 45.64%}}} || '''20.53%''' || 8.14% || 10.24% || 3.75% || {{{#696969 △25.12}}} || 62.27 || || '''공산동''' || {{{#ef426f 60.84%}}} || 13.21% || 5.09% || 6.60% || 2.74% || △47.63 || 64.00 || || '''정당''' || [[미래한국당|{{{#ef426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006cb7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cc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ea5504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003e98 열린민주당}}}]]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44.16%}}} || 12.64% || 7.97% || 10.11% || 2.52% ||<-2> △31.52 || || '''관외사전투표''' || {{{#ef426f 42.73%}}} || 22.55% || 9.05% || 8.87% || 4.77% ||<-2> △20.18 || || '''재외투표''' || 26.36% || {{{#006cb7 33.33%}}} || 12.43% || 5.97% || 10.44% ||<-2> ▼6.97 || 지난 총선에서 [[정종섭]] 의원에게 아쉽게 패한 [[류성걸]] 후보[* 공천 탈락으로 당시 무소속이었으나 이번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당적을 달고 나섰다.]가 손쉽게 [[더불어민주당]] 상근부대변인인 [[서재헌]] 후보를 이겼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동구 갑|{{{#ffffff {{{+1 '''동구 갑'''}}}}}}]][br]{{{#ffffff 신천1·2동, 신천3동, 신천4동, 효목1동, 효목2동, 지저동,[br]신암1동, 신암2동, 신암3동, 신암4동, 신암5동, 동촌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이 확정되었기 때문에 동구·군위군 갑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선거구엔 [[군위군]]이 포함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대구광역시의 정치]][[분류:동구(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