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사라진 은행)] ||<-2> {{{#ffffff '''{{{+2 동남은행}}}[br]東南銀行 | Dongnam Bank'''}}} || ||<-2> [[파일:동남은행 CI.svg|width=300]] || || '''정식 명칭''' ||동남은행 || || '''한문 명칭''' ||東南銀行 || || '''영문 명칭''' ||Dongnam Bank || || '''설립일''' ||[[1989년]] [[5월 1일]] || || '''본점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구(부산)|동구]] [[자성로]] 134([[범일동]] 825-3) || ||<|2> '''역대 법인명''' ||동남금융주식회사 (1989년 5월 1일) || ||동남은행 (1989년 9월 1일) || ||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 || '''종목 코드''' ||021610[* 1998년 퇴출 전까지 상장 회사였다.] || || [[금융공동망|{{{#ffffff '''은행 코드'''}}}]] ||029 || || [[SWIFT 코드|{{{#ffffff '''SWIFT 코드'''}}}]] ||DNBKKRSE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external/magazine.hankyung.com/4ee6a466dee5fc78f3d155dc43a93b01.jpg|width=400]] || || 구 광화문지점 || 1989년 5월~1998년 6월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은행]]. [[지방은행]]이 아닌 전국은행으로는 국내 최초로 지방에 본점을 둔 금융 기관이었는데 비슷한 사례로는 [[대구광역시]]의 [[대동은행]]이 있었다. == 역사 == 1989년 5월 동남금융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1989년 9월 금융통화운영위원회로부터 은행업 인가를 받고 동남은행이 되었다.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방 [[중소기업]] 금융 지원을 목적으로 세워진 은행이었으며 전체 자본금 중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상공인과 주민이 70%를 출자했고 [[중소기업은행]]과 [[KB국민은행|국민은행]]이 각각 8%씩, 부산 지역 단자보험회사 등이 14%를 출자했다. 1991년 2월 비자카드 업무 개시 후 6월 자회사 동남리스를 세우고 1996년 증권거래소에 상장했으며 1997년에는 부산지역 최초로 널리 쓰인 [[교통카드]]인 [[하나로카드]]를 발매하는 등 사세 확장을 했다. 1994년에는 [[새마을금고]]와 가상계좌 연계협약을 맺었다. 동남은행 가상계좌번호를 부여하여 새마을금고 업무를 처리할 수 있게 한 대단히 선진적인 시스템이었는데 1998년 6월말 퇴출사건 이후로 새마을금고에까지 파급이 갔었다. 이후 주택은행이 이 기능을 승계하였다가 지금은 새마을금고 자체전산망(은행코드 045)이 개발되어 주택은행 연계는 자연스럽게 폐지.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급격한 변화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1998년 [[대한민국 제1차 금융 구조조정]]을 통해 퇴출되었고 자산은 [[한국주택은행]]에 P&A 방식으로 인수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는데 퇴출 직전 동남은행은 국내 은행 중에 자산 건전성 2위였다.[* 1위는 [[하나은행/합병 이전|하나은행]].] 외환 위기 전에는 신문 기사로 동남은행에 지점들을 연결하는 보안 시스템이 국내 최고 수준이라는 소개가 있었다. 지점간 연결 네트워크를 [[PPP]] 기반으로 연결한다는 설명이었는데 지금의 [[가상 사설망|VPN]] 기술의 활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남은행에 전용 통신망의 내부로 또 전용망이 가상으로 2중화까지 되며 튼튼하게 구축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여담으로 이 은행의 파산 관재인이 바로 훗날 제 19대 대통령 [[문재인]] 변호사다. == 역대 은행장 == * 김정규 (1989~1995) * 허한도 (1995~1998) == 자회사 == * 동남리스: 1998년 신규 업체 한국리스여신에 자산매각된 후 1999년 폐업됨. [[분류:KB국민은행]][[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은행]][[분류:1989년 기업]][[분류:1998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