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개통)] [[분류:철도]] [[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파일:동대구창원철도.jpg]] [목차] == 개요 ==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동대구역]]과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중앙역]]을 잇는 고속철도계획. 前 창원시장인 [[안상수(창원)|안상수]]가 최초로 제안했으며 2019년 창원시의 [[남부내륙선]] [[남부내륙선/창원시의 노선 변경 건의|노선 변경 논란]]으로 한번 더 주목받았던 노선이다. 2021년 경상남도는 동대구-창원 고속철도를 경상남도 철도망 구축 계획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 상세 == 2010년, [[경전선]]이 [[마산역]]까지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창원시민들도 [[KTX]]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창원시의 고속철도 접근성은 인구에 비하면 그렇게 좋다고 볼 수 없는데, 주된 이유는 서울에서 창원을 가는 기차는 [[KTX]]도 [[ITX-새마을]]이나 [[무궁화호]]처럼 [[동대구역]]부터 고속선이 아닌 기존 일반선을 타기 때문이다. 이는 속도 저하와 소요시간 증가를 초래하고 있으며, 실제로 [[서울역]]에서 관내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창원중앙역]]까지는 약 2시간 4~50분, 종착역인 [[마산역]]까지는 약 3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고속버스에 비해 1시간 정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동대구 ~ 창원간의 철도 노선 신설의 필요성이 창원 지역 내에서 제기되었다. 전술했듯이 [[안상수(창원)|안상수]] 前 창원시장이 재직 당시였던 2017년에 이 노선의 건설을 최초로 제안했다. 하지만 이때는 정치인의 흔한 헛공약으로 취급되면서 흐지부지되었다.[[https://mnews.joins.com/article/21317947#home|#]] 그러다가 2020년, 창원시가 [[남부내륙선/창원시의 노선 변경 건의|남부내륙선을 기존 진주가 아닌 함안군 군북면으로 노선을 변경하자는 제안]]을 [[국토교통부]]에 제출하면서 파문을 일으켰고, 경상남도 내 지자체들의 갈등을 불러왔다. 이런 과정에서, 야당인 [[미래통합당]]은 [[21대 총선]] 공약으로 [[남부내륙선]]을 원안대로 하는 대신 동대구-창원 고속철도 건설을 내세웠고, 남부내륙선을 주창한 여당 소속 [[김경수]] [[경상남도지사]]도 창원시는 남부내륙선 대신 동대구-밀양-창원 노선의 고속화나 증차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발언하면서 이 노선이 다시 부상하였다. 결국 동년 10월, 창원시는 남부내륙선을 원안으로 짓는 대신 장기적으로 동대구-창원 고속철도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41880|#]] 창원과 대구를 잇는다는 점 때문에 [[대구산업선]]-[[창원산업선]]과 중복된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대해 경상남도와 창원시는 창원산업선은 고속용 노선이 아닌 화물열차와 광역철도 전용 노선이며, 속도도 150km/h에 맞춘 일반용 노선으로 계획되어 있다고 말하면서 선을 그었다.[[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36495|#]] 일단 2021년 2월 기준으로 남부내륙선을 통해 KTX와 [[SRT]]가 [[마산역]]까진 가는 계획이 있고, 창원시도 [[함안군]], [[창녕군]]과 함께 [[http://naver.me/xrPhDyy5|창원산업선 유치에 힘을 쏟고 있는지라]] 이 노선은 [[페이퍼 플랜]]으로만 남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21년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130494|경상남도 주요 업무계획]]에는 이 노선의 건설도 추진하겠다는 내용이 들어있기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아예 없지는 않다. 만약 이 사업이 진짜로 실행된다면, 고속선 신설 대신 기존 [[경부선]]의 [[동대구역]] 또는 [[경산역]]에서 [[물금역]] 구간을 직선화하는 방법으로 퉁칠 가능성도 높다. 즉, 밀양을 거치는 고속선 전용 구간을 새로 짓는 방안과 기존 [[경부선]]을 선형개량하는 방안이 있다. 2021년, 경상남도는 동대구-창원 고속철도를 경상남도 철도망 구축 계획 중 하나로 제시했다. 노선 연장은 70km, 추정 사업비는 2조 6407억 원이다. 그 이후에도 [[https://m.hani.co.kr/arti/area/yeongnam/999277.html#cb|영호남 광역단체장들이 이 노선의 건설을 정부에 건의한다고 밝히기도 했고]], [[20대 대통령 선거]]나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에서도 양당의 주요 공약으로 언급되었다. 2023년에도 [[https://blog.naver.com/igydjh63/222990909002|경상남도]]와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1679261?sid=102|창원시]]에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허나 현재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서 이 노선 건설은 빠진 상태다. == 기대 효과 == 이 노선이 만약 완공되면 동대구에서 창원까지 거리가 94km에서 70km로 단축이 되며, 서울-창원 간의 소요시간도 30분 정도 단축이 된다. 그만큼 철도의 경쟁력도 지금보다는 더 높아진다. 또한 [[밀양역]]을 들르기 때문에 [[구포 경유 KTX]]도 지금보다는 더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렇게 되면 구포 경유 최속달 KTX 열차는 경부고속선 전역정차(#008) 열차보다 더 빠르게 갈 수 있게 된다.] == 역 목록 == [include(틀:철도 관련 정보/일러두기)] || ㎞ |||| 역명 || 여객 || 화물 || 등급 || 분기선 || 소재지 || || 0.0|| [[동대구역|동대구]] || 東大邱 ||MSKRT || H || || [[경부고속선]], [[경부선]], [[대구선]], ~~ [[대구권 광역철도|광역철도]] ~~ || [[대구광역시]] || || ?|| [[밀양역|밀 양]] || 密 陽 || MSkR || ~~─~~ || || [[경부선]] ||<|4> [[경상남도]] || || ?|| [[창원중앙역|창원중앙]] || 昌原中央 || MSkR || ~~─~~ || || [[경전선]] || == 기타 == 경상남도에서는 이 노선을 [[가덕도신공항]]까지 연결하는 계획을 세웠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station&no=56145&s_type=search_subject_memo&s_keyword=.EA.B2.BD.EC.83.81.EB.82.A8.EB.8F.84&pag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