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동의대학교/학부)] [include(틀:대한민국의 한의과대학)] [include(틀:부산광역시의 대학별 학부)] [include(틀:동의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 개요 == [[동의대학교]]의 [[한의과대학]]. == 상세 == [youtube(mM_CKR0aSpI)] [youtube(-SPCWTetpsQ)] [youtube(asprWU5Jrw4)] [[https://omc.deu.ac.kr/omc/index.do|동의대학교 한의예과, 한의학과 공식 홈페이지]]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은 1987년 [[부울경]] 지역 최초의 한의과대학으로 출발하여 이 지역의 한의사 대부분이 동의대 출신일 정도로 설립 이래 오랜 기간 동안 많은 한의학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상당수의 교수들이 병원에서 치료와 연구를 진행하는 한의사라는 점과 학생들 또한 임상 실습에 참여해야 하는 [[한의대]]의 특성상, 다른 학과와는 달리 양•한방 복합병원인 [[동의의료원]]이 있는 [[동의대학교 양정캠퍼스|양정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다. == 교육과정 == === [[한의예과]] === 인체공부인 해부학, 근육학, 신경학, 생리학, 생화학 등을 통한 기초공부를 목표로 한다. 한의대는 선택할 수 있는 교양이 없고, 대신에 기초과학 과목 등의 몇몇 예과 필수교양은 가야캠퍼스에서 수업을 듣는다.[* 22학번까지는 가야캠에서 듣는 영어회화 수업이 존재했으나 23학번 부터 영어회화는 듣지 않는다. 이유는 난이도가 너무 쉬워서 굳이 들어야하냐는 의견이 폭발했다고…] ==== 예과 1학년[* 교육과정 개편이 진행된 23학번 기준이다.] ==== * 한의학과 논리 * 기초물리학 * 기초생물학 * 기초한자 * 명상과 기공 * 한방식품학 * 의학영어 * 기초화학 * 의료와 윤리 * 의료와 사회 * 논리적 사유와 글쓰기 * 인체발생학 * 생화학 I * 고급한자 * 중국어강독 * 한의인간경영 * 심리학의 원리 (한의인간경영 , 심리학의 원리 둘 중 한 과목을 선택해서 듣는다) 유급을 조심해야 하는 과목 : 한의학과 논리 / 의학영어 / 생화학 ==== 예과 2학년[* 교육과정 개편 이전 학번들 기준이다.] ==== * 본초총론 * 본초학 * 본초학 실습 * 의료와 사회 * 생화학 * 원전 * 의학한문 * 인체발생학 * 한의학원리론 * 해부학 * 해부학실습 * 의역학 === [[한의학과]] === 본과에서 침, 뜸, 추나 등 임상적인 치료술을 하기 위해서 본격적인 실습을 하게 되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습 비중이 굉장히 높아지게 된다. ==== 본과 1학년 ==== * 본초학 * 본초실습 * 생리학실습 * 면역학 * 생리학 * 양방생리학 * 양방병리학 * 원전 * 의사학 * 조직학및실습 * 경락경혈학 * 경락경혈학실습 * 예방의학및양생학 ==== 본과 2학년 ==== * 방제학 * 방제학실습 * 병리학 * 병리학실습 * 상한론 * 양방병리학 * 예방의학및실습 * 진단학 * 진단학실습 * 경락경혈학 * 경락경혈학실습 * 침구과학 * 진단학실습 ==== 본과 3학년 ==== * 한방종양학 * 추나학및실습 * 간계내과학 * 부인과학 * 비계내과학 * 사상체질의학 * 소아과학 * 신경정신과학 * 신계내과학 * 심계내과학 * 안이비인후과학 * 의학통계 * 임상실습 * 침구과학 * 폐계내과학 * 피부외과학 * 재활의학과학 * 산과학 * 방사선과학및실습 ==== 본과 4학년 ==== * 방사선과학및실습 * 임상병리학및실습 * 의료와법 * 약침학 * 간계내과학및실습 * 부인과학및실습 * 비계내과학및실습 * 사상체질의학및실습 * 소아과학및실습 * 신경정신과학및실습 * 신계내과학및실습 * 심계내과학및실습 * 안이비인후과학및실습 * 재활의학과학및실습 * 침구과학및실습 * 폐계내과학및실습 * 피부외과학및실습 * 응급의학및실습 == 동아리 == [youtube(JtgV5b7axcA)] 한의과대학 내에 동아리들이 따로 존재하며, 가야캠퍼스 내 중앙동아리에 참가하는 한의대생은 거의 없다.[* 가야캠퍼스와 멀리 떨어져 있고, 수업과 공부량이 많아 중앙동아리 병행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중앙동아리에서 활동하기보다는 양정캠퍼스에서 한의대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동아리들을 조직해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댓바람 (학술) * 침맥 (학술) * 황지도연숙 (학술) * ARC (공연 - 댄스) * DOMO (공연 - 오케스트라) * SOOM (공연 - 밴드) * 다스름 (공연 - 풍물) * 한아솜 (공연 - 연극) * 농락 (농구) * 야수 (야구) * 오장육부 (축구) * 봄곰 (독서토론) * 빛모아 (사진예술) * CMF (전국 연합 개신교 동아리) == 여담 == * 예과 1학년과 예과 2학년 1학기에는 가야캠퍼스와 양정캠퍼스를 번갈아서 다닌다. 예과 2학년 2학기부터는 양정캠퍼스에서만 수업을 듣는다. * 사족으로 유급을 매우 많이 시킨다. 유급으로 번 등록금으로 학교를 운영하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고 있다. --본과 4학년이 되고나면 남아있는 동기가 절반이 채 안된다..-- 특히 특정 과목의 교수가 타노스 급으로 유급을 시켰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급을 주는 교수들이 많이 유해졌고 곧 은퇴할 예정이라 앞으로 예과 유급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양정캠퍼스에는 기숙사가 없는 관계로 기숙사 입주를 원한다면 가야캠퍼스 기숙사에서 거주하면서 양정캠퍼스까지 통학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했다 해도 [[서면교차로]]를 거쳐가야 하는 특성상 출퇴근 시간대에는 30분 이상 소요된다.] 그래서 기숙사 입주를 하지 않고 양정캠퍼스 인근에서 자취를 하는 경우가 많다. 신입생 때 기숙사에 살던 몇몇조차 학기가 지나면서 자취를 시작하여 본과에 올라갈 때 쯤에는 기숙사에 사는 인원이 거의 남지 않게 된다. 자취 장소는 양정역, 시청역, 부전역, 연산역 등이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므로 선배들의 조언을 듣길 바란다. * 가야캠퍼스와 마찬가지로 매우 경사진 곳에 존재하며, 버스도 [[동의의료원]]까지밖에 올라가지 않기에 자차가 없는 재학생들은 양정역, 시청역, 기숙사 등의 출발지에서 4명끼리 모여 택시를 타고 학교까지 올라가는 ‘택시팸’을 구성하여 등교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많은 학생들이 1교시를 들으러 등교하는 8시 50분 쯤에는 개미처럼 줄지어 올라가는 택시의 행렬을 볼 수 있다.~~ [[분류:동의대학교/학부]][[분류:한의과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