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바이러스(유희왕))] [목차] == 설명 == [[파일:同族感染ウィルス.jpg]] || 한글판 명칭 ||<-4>'''동족 감염 바이러스'''|| || 일어판 명칭 ||<-4>'''[ruby(同族感染, ruby=どうぞくかんせん)]ウィルス'''|| || 영어판 명칭 ||<-4>'''Tribe-Infecting Virus'''||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물]] || [[물족]] || 1600 || 1000 || ||<-5>①: 패를 1장 버리고, 종족을 1개 선언하여 발동할 수 있다. 필드의 선언한 종족의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ffffff> [[파일:external/images.wikia.com/TribeInfectingVirus-WC10-EN-VG-NC.png]] || ||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에 등장한 이미지 || [[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3기 시절 등장했던 고성능의 제거 효과를 지닌 몬스터. 종족 통일 덱이라면 이 카드가 효과를 한번만 발동해도 몬스터가 전멸해버리며, 설령 서로 다른 종족들이 모여있다 해도 패만 충분하다면 '''1턴에 몇 번이고''' 쓸 수 있기에 상대 몬스터를 전멸시킬 수 있다. 약점이라면 효과가 자신 필드에까지 미친다는 것. 특히 물족을 선언하면 자기 자신까지 파괴된다. 패를 버린다는 코스트는 기본적으로 손해지만, 당시에도 묘지로 버려서 이득이 되는 카드가 있었다. 패에서 썩는 최상급 몬스터를 버리고 소생시키거나, 묘지로 가야 효과를 발휘하는 [[킬러 스네이크]]나 [[황천 개구리]]를 버리는 활용법도 가능했다. 이게 나올 당시엔 [[라이트닝 보텍스]]도 없었기에 어느 덱에서나 전체 제거 카드로 넣기 아주 좋은 몬스터였고, [[굿 스터프]] 형식의 덱이 강세였던 당시였던 만큼 채용률이 꽤 높았다. 이로 인해 2003년 1월에 제한, 2006년 3월에 금지 카드가 됐다. 이후 이 카드의 약화판으로 [[스나이프 스토커]]나 [[사이버 짐내스틱스]] 같은 몬스터들이 나왔으며, 이들의 효과를 보면 알 수 있듯 이후 이런 식으로 가볍게 내서 몬스터를 파괴하는 하급 몬스터에겐 1번에 1장씩이거나 1턴에 1번 등의 제약이 걸렸다. 스나이프 스토커는 횟수 제한이 없는 대신 파괴를 주사위를 굴려 결정한다는 페널티가 있으나, 마함 카드도 파괴할 수 있단 점 때문에 한때 제한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세월이 지나면서 파괴 내성이나 파괴 효과에 대응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가 많아지면서, 이 카드도 금지 먹을 당시에 비해 힘이 빠졌다. 이 때문에 OCG에서 2017년 10월에 제한, 2018년 1월에 준제한, 2018년 4월에 무제한 카드가 됐다. 또한 [[파워코드 링크]]에 재록됐다. TCG에선 2020년 1월 20일에 단번에 무제한으로 풀렸다. 일러스트의 괴상한 생물 3마리는 동족 감염 바이러스가 아니라, 동족 감염 바이러스에 감염돼 죽어나가는 놈들이다. 때문에 [[유희왕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나온 동족 감염 바이러스의 모습은 위에서 나온 주황색 소용돌이 구체로, 카드 일러스트의 배경을 묘사한 듯하다. 동족만을 파괴한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3마리 괴생명체들 옆에 토끼를 닮은 다른 생명체 하나는 멀쩡한 모습으로 놀라고 있는 모습이 나와 있다. [[마계발 현세행 데스가이드#마계발 명계행 버스|마계발 명계행 버스]] 일러스트에선 바이러스의 희생자였을 몬스터들이 바이러스 자체인 것처럼 나왔다. 아무래도 바이러스 보유 생물이라 격리당한 듯.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매지션의 힘]] || MFC-KR076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해룡신의 분노]]- || SD4-KR007 || [[노멀]] || 한국 || || || [[하이 그레이드 팩]] Vol.1 || HGP1-KR131 ||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파워코드 링크]]- || SD33-KR015 || [[노멀]] || 한국 || || || 黒魔導の覇者 || 303-022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카이바 편- Volume 2 || SK2-018 || [[노멀]] || 일본 || 절판 ||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 EE1-JP131 ||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해룡신의 분노|海竜神の怒り]]- || SD4-JP007 || [[노멀]] || 일본 || 절판 || || 2005년 12월 공인대회 참가 상품 || PC7-JP003 || [[노멀]] || 일본 || 절판 || || 2005년 12월 공인대회 연승 상품 || PC7-JP003 || [[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파워코드 링크|パワーコード・リンク]]- || SD33-JP015 || [[노멀]] || 일본 || || || [[매지션의 힘|Magician's Force]] || MFC-076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 DR1-EN131 ||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해룡신의 분노|Fury from the Deep]] || SD4-EN007 || [[노멀]] || 미국 || || == 관련 카드 == === [[동족감전 바이러스]] === [[분류:유희왕/OCG/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