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amu_부산광역시_문현동_동천_풍경.png|width=100%%&align=center]]}}} || || '''[[2023년]] [[문현동]] 부근 동천 풍경[* 앞으로 지나가는 도로인 [[동서고가로]]와 뒤에 [[성동중학교]]와 [[이마트 문현점]], [[부산국제금융센터]], [[부산은행]] 본점 등이 보인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1 Dongcheon River · 東川}}}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부산)|부암동]] [[백양산]]에서 발원하여 부산항 자성대부두 인근에서 바다와 합류하는 [[하천]]이다. 이름은 간단하게 [[부산진]]성의 동쪽으로 흘러서 동천이라고 붙여졌다고 한다. 조선시대 후기 하천정비가 부실한 상태에서 인구밀집도가 높아져 [[템즈강|강에서 분뇨물이 넘쳐]] 똥강이라고 부르던 것이 유래가 되었다는 설이 있다. 자매품으로 썩은 다리(현 무지개 다리)가 있다. == 상세 == 작은 하천이지만 부산의 최대 도심인 [[서면]] 인근을 흐르는 도심하천이라 인지도가 높은 편이다. 서울로 치면 [[청계천]] 비슷한 포지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산 시민들에게 이 하천은 악명이 자자한데, 왜냐하면 '''수질이 [[영 좋지 않기]]''' 때문이다. 동천의 물빛은 일반적인 강의 푸른 [[청색]]이 아니라 [[초록색]]이 가미된 [[에메랄드 그린|{{{#50c878 에메랄드 그린}}}]] 빛깔인데 [[급수]]는 3-4급수 수준이다.[* 이 정도면 [[숭어]]등 탁한 곳에서도 강한 물고기들이 사는 수준이다.] 본래 5급수 이하 수준이었으나 해수 통수로 다소 나아졌다. 하지만 비가 내릴 때마다 상류의 서면에서 쓰레기 등이 떠내려 오기 때문에 여러 차례 준설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슬러지가 바닥에 계속 쌓인다. 동천 근처를 지나가는 행인들은 종종 동천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맡기도 하는데, 이 [[똥|냄새 때문에]] 일명 '''똥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른 이름으로 '똥강'또는 '똥천강'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 이 악취 문제도 해수 통수 이후로는 상당히 나아졌고 해수 때문에 바닷물 냄새가 난다. 그냥 동네 주민들이 알아서 부르는 별명 정도가 아니라 언론에 기사화도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10/0200000000AKR20151110066000051.HTML?input=1195m|여러 번 됐을 정도로]] 나름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128000055|메이저한 별명]]이다. 당연히 부산시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기에 수질을 개선시키려고 바닷물을 하루에 5톤씩 쏟아붓고 강 밑에 깔린 오염물질을 매일 1톤씩 걷어내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한때는 3급수 정도까지 회복되나 싶더니 다시 나빠지는 등 생각보다 잘 안 되는 듯 하다. 한때 오염되었다가 지금은 상당히 깨끗해진 부산의 또다른 도심하천 [[온천천]]과는 대조되는 부분. 때문에 아예 [[보수천]]처럼 위쪽을 막아버리자는 의견도 간간히 나오고 있는 수준이다. 요즘은 수질이 많이 나아져서 악취는 크게 줄어들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HcCKB4I0Jg)]}}} || 놀랍게 여기서도 [[낚시]]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 가을 쯤 되면 밀물로 수위가 조금 높아졌을 때 [[숭어]]떼들이 거슬러 올라오는 경우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DBDUQ6DQvM)]}}} || 2021년에는 60 cm 가량의 지느러미 오징어가 헤엄치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밀물을 따라 유입된것으로 추정. 일본 오사카에 있는 [[도톤보리 강]]이 [[로컬라이징]]될 시 대부분은 동천으로 묘사된다.[* 도톤보리 강도 수질이 좋지 않다.] 2020년 7월 10일, 부산 지역에 쏟아진 폭우로 인해 범람해서 도로가 막히기도 했다. 부산 [[남구(부산)|남구]]에 [[동천고등학교]]가 있지만, 이 학교 한자는 東天으로 [[동학]] [[천도교]]에서 따온 이름이다. 학교가 천도교 재단이라서 지어진 이름이다. 실제로 동천고등학교가 이 하천과 다소 가까운 편이어서 그렇게 알고 있는 사람도 있으나 사실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인근에 부산시민회관과 이곳을 이어주는 동천오작교[* 2개의 다리로 이루어진 보행교. 얼마 없는 '순수' 보행교이기도 하고 [[하천]]을 경계로 단절된 생활권을 회복시켜줘서 시민들이 자주 이용한다.]가 있다. 이 다리는 최근에 건설되었는데 이 보행교가 만들어지기 전까지는 [[범일동]]에서 [[문현역]]으로 가려면 위쪽에 있는 범5호교를 건너가거나 아래쪽에 있는 범일교를 통해 동천을 건너야만 했다. 다만 범5호교나 범일교나 문현역과는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는 편이라서 250m를 빙 둘러가는 셈이었다. 사실상 [[문현역]]을 이용하기 매우 어려웠는데 이 다리가 만들어진 덕분에 범일동(삼익아파트, 한양아파트 [[범일동 동일타워|동일타워]], 부산시민화관 일대)에서 문현역으로 가기 매우 편리해졌다. 또한 이쪽 일대에서 [[성동중학교]]로의 통학이 한결 편리해졌다. == 교량 == ||||||||||
<:> ''' [[서면로(부산)|서면로]], [[신천대로(부산)|신천대로]] 교차점 ''' || ||<)> || ||<:>'''[[서면로(부산)|서면로]] 남쪽'''[br](하천지류) ||→||'''부전천''' 롯데백화점 서면점[br]방면 || ||<)>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범내골역]][br]방면||←||<:>'''광무교'''[br]([[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 [[서면교차로]][br]방면|| ||<)> || ||<:>'''더샵센트럴스타 동쪽([[동천로(부산진구)|동천로]])'''[br](하천지류) ||→||'''전포천''' [[부산시민공원]][br]방면|| ||<)> [[황령대로]] [[범내골역]][br]방면||←||<:>'''범4호교'''[br]([[황령대로]]) ||→||[[황령대로]] [[황령터널]][br]방면|| ||<)> [[중앙대로(부산)|중앙대로]][br]방면||←||<:>'''골든브릿지'''[br](보도교) ||→||[[중앙번영로]][[부산국제금융센터]][br]방면|| ||<)> '''견우천'''[br]범천철도차량정비단[br]방면||←||<:>'''골든브릿지 서쪽'''[br](하천지류) || || || ||<)> [[중앙번영로]] [[범내골역]][br]방면||←||<:>'''성서교'''[br]([[중앙번영로]]) ||→||[[부산국제금융센터]][br]방면|| ||<)> [[범일로(부산)|범일로]]142번길 중앙시장[br]방면||←||<:>'''무지개다리'''[br]([[범일로(부산)|범일로]]142번길) ||→||[[범일로(부산)|범일로]]142번길 [[전포대로]][br]방면|| ||<)> [[자유평화로]] 현대백화점[br]방면||←||<:>'''범5호교'''[br]([[자유평화로]]) ||→||[[자유평화로]] [[성동중학교]][br]방면|| ||<)> '''호계천'''[br][[안창로]][br]방면||←||<:>'''범5호교 서쪽'''[br](하천지류) || || || ||<)> 시민회관[br]방면||←||<:>'''동천오작교'''[br](보도교) ||→||[[성동중학교]][br]방면|| ||<)> [[자성로]] 자성대[br]방면||←||<:>'''범일교'''[br]([[자성로]]) ||→||[[자성로]] 문현교차로[br]방면|| ||<)> 한국마사회 부산동구지사[br]방면||←||<:>'''하구교'''[br](보도교) ||→||문현동[br]방면|| ||<)> || ||<:>'''하구교 서쪽'''[br](하천지류) ||→||'''문현천(가칭)''' 문현곱창골목[br]방면 || ||<)> '''이름없음'''[br]자성대[br]방면||←||<:>'''자성대아파트 동측'''[br](하천지류) || || || ||<)> [[충장대로]] 항만삼거리[br]방면||←||<:>'''부두교'''[br]([[충장대로]]) ||→||[[충장대로]] 동천삼거리[br]방면|| ||||||||||<:> '''[[부산항]]''' || == 지천 == 규모가 큰 하천이다 보니 지천이 많았지만 도시화가 되면서 전부 복개되어 사라졌다. 특히 당감동 일대가 가장 많았지만 사라졌으며 대부분 이름이 없는 상태로 하천의 흔적만 남아있다.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정렬. *'''백양가족공원''': 백양가족공원 인근에서 발원한 하천이며 당감동에서 동천과 합류한다. *'''[[백양터널]]''': 백양터널 인근에서 발원한 하천이며 당감동에서 동천과 합류한다.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 한국과학영재학교 인근에서 발원한 하천이며 당감동에서 동천과 합류한다. *'''천안사''': 천안사 인근에서 발원한 하천이며 당감동에서 동천과 합류한다. *'''가야천''' *'''[[부전천]]''' : [[성지곡수원지]]에서 발원하여 [[부산어린이대공원|어린이대공원]], [[부산시민공원]]과 [[서면로(부산)|서면로]]를 통과하여 동천과 합류하는 하천. *'''[[전포천]]''' : [[초읍동]], [[부산시민공원]]과 [[동천로(부산진구)|동천로]]를 통과하여 동천과 합류하는 하천. *'''견우천''' : [[부산진구]] [[범천동]] 팔금산에서 발원해 [[범천동]] 대원아파트에서 동천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일부 구간으로 복개가 이루어져 오랫동안 살던 주민들이 아니고서는 알지못하는 하천이다. 복개구간은 [[엄광로]]384번길~[[신암로(부산)|신암로]]145번길, 경부선, 신천대로65번길~범일로192번길이다. 부산철도차량정비창 서측에 미복개구간이 있으나 하수도처럼 보인다. *'''호계천''' *'''문현천''': [[남구(부산)|남구]] [[대연동]] 갈미봉에서 발원해 [[문현동]] 문현교차로에서 동천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전 구간으로 복개가 이루어져 오랫동안 살던 주민들이 아니고서는 알지못하는 하천이다. 복개구간은 [[진남로(부산)|진남로]]198번가길~진남로188번길~[[문현로(부산)|문현로]]~[[고동골로]]~[[지게골로]] 구간이며 문현4치안센터와 부산골프클럽 주차장 옆으로 미복개구간이 있었으나, 2020년 하반기에 미복개구간 옆에 건물을 세우면서 복개시켜 주차장으로 만들어 버렸으며, 이로써 전구간 복개되게 되었다. *'''좌천''': [[동구(부산)|동구]] [[좌천동]] 증산에서 발원해 보급창 인근에서 동천과 합류했던 하천이다. == 주변시설 == * 선암사 * 동원초등학교 * [[개성고등학교]] * 동평초등학교 * 당감초등학교 * 부산철도차량사업소 * 부산기관차승무사업소 * [[가야역(가야선)|가야선 가야역]] * [[동서고가도로|진양램프]] * [[롯데마트|롯데마트 부산점]] * [[부암역]] * 부산도시공사 * 부산철도차량정비창 * 부산진초등학교 * [[부산교통공사]] * [[동서고가도로|범내골램프]] * 지오플레이스 * [[홈플러스|홈플러스 서면점]] * 상공회의소 * IFC부산 * 부산국제금융센터 * 한국은행 부산본부 * 부산은행 본점 * 기술보증기금 * 문현금융단지 * 성서초등학교 * [[이마트 문현점]] * [[성동중학교]] * 부산시민회관 * [[문현역]] * 한국마사회 동구지사 * 보급창 * 자성대부두 [[분류:부산광역시의 하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