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olding 둘러보기 틀 보기 [include(틀:영통구의 로)] [include(틀:권선구의 로)] [include(틀:화성시의 로)]}}} || ||<-3><#0063FF><:> {{{#white {{{+2 '''동탄원천로'''}}} [br] 東灘遠川路 / Dongtanwoncheon-ro}}} || ||<#81F7D8>'''기점''' ||<-2>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수원)|원천동]] 원천교사거리 || ||<#81F7D8>'''종점''' ||<-2> [[경기도]] [[화성시]] [[영천동(화성)|영천동]] 영천교차로 || ||<#81F7D8>'''연장''' ||<-2> 11.3km || ||<#81F7D8>'''개통일''' ||<-2> (미확인) || ||<#81F7D8>'''관리''' ||<-2> [[수원시]], [[화성시]] || ||<|3><#81F7D8>'''왕복 차로수''' || || 6~8차로 || 원천교사거리 - 한반천교 || || 8~14차로 || 한반천교 - 영천교차로 || ||<#81F7D8>'''주요 경유지''' ||<-2> 원천교사거리 ↔ [[영통구|영통구청]]사거리 ↔ [[매탄권선역]]사거리 ↔ 잎새지하차도사거리 ↔ 영천교차로 || [목차] == 개요 == [[경기도]] [[수원시]] [[원천동(수원)|원천동]] 원천교삼거리부터 [[경기도]] [[화성시]] 영천동 영천교차로까지를 잇는 길이 11.3km의 [[도로]]. 기산동 능리교차로부터 종점인 영천교차로까지 [[84번 지방도]]에 포함된다. == 구간 == ## 기본적으로 중앙선이 절선되어 있는 교차로만 작성합니다. ## (즉, 우회전으로만 진출입할 수 있는 골목길 수준의 교차로는 작성하지 않는 것입니다.) ## 단, 입체교차 시설이 갖추어진 교차로는 중앙선이 절선되어 있지 않더라도 작성합니다. ## 직진을 신호 없이 이동하게 하는 고가차도, 지하차도는 교차로명 아래에 괄호로 표기합니다. ## 이 내용은 토론을 통해 규정된 것이 아니므로 강제력이 없습니다. 참고사항일 뿐입니다. ||<:>배경색이 {{{+1 {{{#00ccff ■}}}}}}인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C8C8C8> '''[[광교호수로]]''' 직결 || || '''[[중부대로]]'''[br] 중동사거리방면|| ← || '''원천교사거리''' || → ||||'''[[중부대로]]'''[br][[수원신갈IC]], 여주 방면 || || 동탄원천로1109번길[br][[동수원중학교]] 방면|| ← || 먼내삼거리 |||||| || || '''[[매영로]]'''[br]매탄삼거리 방면|| ← || '''산드래미사거리''' || → ||||'''[[매영로]]'''[br][[영통역]] 방면 || |||||||||||| '''원천1교 (원천리천)''' || |||| || 매원고 삼거리 || → ||||삼성로213번길[br][[매원고등학교]] 방면 || |||||||||||| '''원천2교 (원천리천)''' || || '''[[인계로]]'''[br]팽나무고개삼거리 방면|| ← || '''삼성교사거리''' || → ||||'''[[인계로]]'''[br][[삼성교]] 방면 || || '''[[효원로]]'''[br][[경기도|경기도청]] 방면|| ← || '''[[영통구|영통구청]]사거리''' || → ||||'''[[효원로]]'''[br][[삼성전자]] 중앙문 방면 || || 동탄원천로915번길[br][[매현초등학교]] 방면|| ← || 매현삼거리 |||||| || || '''[[권선로]]'''[br][[수원역]]고가, [[호매실동]] 방면|| ← || '''[[매탄권선역]]사거리''' || → ||||'''[[권선로]]'''[br][[망포역]]삼거리 방면 || || 동탄원천로813번길[br]온수골사거리 방면|| ← || 지혜샘삼거리 |||||| || || '''[[덕영대로]]'''[br][[수원역]], [[성균관대역]], [[부곡동(의왕)|부곡동]] 방면|| ← || '''권선지하차도사거리''' || → ||||'''[[덕영대로]]'''[br][[망포동]],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경희대학교]], [[용인시|용인]] [[영덕동|하갈동]] 방면 || |||||||||||| '''원천리천교 (원천리천)''' || || '''[[동탄지성로]]'''[br]동탄센트럴파크, KT삼거리 방면|| ← || '''반정교차로''' || → ||||'''[[동탄지성로]]'''[br]신동사거리, [[삼성로(수원)|삼성로]] 방면 || |||||||||||| '''한반천교 (반정천)''' || || '''[[효행로]]'''[br]병점중심상가 방면|| ← || '''능리교차로''' || → ||'''[[효행로]]'''[br]신영통 방면 ||<|10> [[84번 지방도|84[br]번[br][br]지[br]방[br]도]] || || '''[[여울로]]'''[br][[서동탄역]] 사거리 방면|| ← || '''하나지하차도사거리''' || → ||동탄능동마을휴먼시아7-1단지 방면 || || [[동탄공원로]][br][[동탄고등학교]] 방면|| ← || 반송마을사거리 || → ||동탄하나3길[br]화성삼성전자 방면 || || '''[[동탄중앙로]]'''[br][[동탄국제고등학교]] 방면|| ← || '''잎새지하차도사거리''' || → ||'''[[동탄중앙로]]'''[br][[기흥동탄IC]] 방면 || || [[동탄반석로]][br]다은마을, 나루마을 방면|| ← || 예당마을사거리 || → ||[[동탄반석로]][br]큰재봉사거리 방면 || || '''[[노작로]]'''[br]토지주택공사, [[동탄청계로]] 방면|| ← || '''노작공원사거리''' || → ||'''[[노작로]]'''[br][[동탄순환대로]], 동탄2신도시 방면 || |||||||||| '''열림교 (오산천)''' || || [[동탄광역환승로]][br]동탄여울공원, 반도8차 방면|| ← || || → ||삼성1로[br]변전소사거리, 삼성반도체 방면 || |||||||||| '''청계교 (오산천)''' || || '''[[동부대로(경기도)|동부대로]]'''[br][[오산시|오산]], [[오산IC]] 방면|| ← || '''영천교차로''' || → ||'''[[동부대로(경기도)|동부대로]]'''[br][[청명IC]], [[용인서울고속도로]] [[헌릉IC|헌릉]] 방면 || ||||||||||||<#C8C8C8> '''[[동탄치동천로]]''' 직결 || == 특징 == 권선지하차도 사거리에서 능리교차로까지 구간은 고속화도로처럼 입체화되어 있어서 수원시내와 동탄 지역을 빠르게 잇는다. 지하차도가 상당히 많이 있어 전체적으로 입체화 및 고속화가 잘 되어 있다. 기점에서부터 원천지하차도가 합류하고 있고 이외에도 매여울지하차도, 권선지하차도, 하나지하차도, 잎새지하차도가 조성되어 있다. 원천교사거리에서 원천리천교까지 구간은 [[원천리천]]을 따라가는 모양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산드래미사거리에서 삼성교사거리까지의 구간은 하천을 두번 넘는 다소 기형적인 모습으로 직선화되어 있다. 원천교사거리~권선지하차도사거리 구간은 수원시 항공 사진 서비스 2003년 11월 촬영분에서는 제한속도 60km/h 도로노면표시가 포착되지만 2004년 12월 촬영분부터 제한속도 70km/h 도로노면표시가 포착된다. 그러나 [[https://blog.naver.com/ldy7615/10144596303|2012년 9월 1일부터 60km/h]], 2020년부터 안전속도 5030 시행으로 50km/h로 하향되었다.[* 곡반초등학교 어린이보호구역 구간은 2021년부터 추가로 50→30km/h로 하향되었다.] 권선지하차도사거리~화성 시계 구간은 2000년대 후반 개통 당시부터 제한속도 80km/h로 지정되었느다 2017년 6월 28일부터 당시 연구 중이었던 안전속도 5030 시범 운영(1차 시행)으로 70km/h로 2020년부터 강화된 안전속도 5030 2차 시행으로 지금의 60km/h로 하향되었다. 직선으로 난 대로여서 그런지 밤에는 폭주족들의 성지 그 자체다. 때문에 주변 아파트에서는 매일 밤마다 소음에 시달리지만 뾰족한 대책이 없다. == 교통량 == 수원시 구간의 경우 출퇴근시간에는 삼성전자 본사와 삼성전기의 출퇴근 교통량으로 교통정체가 심하다. 그러나 그 외의 시간에는 수원시내 다른 도로에 비해선 비교적 한산한 편이다. 화성시 구간의 경우 화성동부 지역의 중심축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어 교통량이 많은 편. 병점, 기산동 지역에서 동탄을 지나 2동탄까지 이어지는 도로가 사실상 이 도로 하나뿐이고 앞서 서술했다시피 지하차도가 많고 고속화가 잘 되어 있어 이용차량도 많은 편이다. 광역급행버스 [[M5422]], [[M5121]] 노선이 이 도로를 많이 이용한다. 운행경로일뿐만 아니라 먼내삼거리에서 원천지하차도를 이용하면 광교차고지로 바로 이어지기 때문에 평상시에도 회송이 잦다. 2020년 7월부터 [[화성 버스 7200]]이 이 도로를 거의 전 구간에 걸쳐 이용한다(원천교사거리~노작공원사거리). 화성과 수원을 고속으로 잇는다는 이 도로의 특장점이 노선에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 대중교통 == === 연계 철도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매탄권선역]]이 매탄권선역 사거리에 인접해 있다. === 주요 버스 노선 === * 광역버스 * [[광역급행버스 M5422]] * [[광역급행버스 M5121]] * [[화성 버스 7200]] * 시내버스 * [[수원 버스 13-1]] * [[수원 버스 62-1]] * [[수원 버스 7-1]] * [[수원 버스 7-1A]] * [[수원 버스 98]] * [[화성 버스 712]] * [[화성 버스 H102]] * 마을버스 * [[화성 버스 100]] * [[화성 버스 H12]] * [[화성 버스 H16]] * [[화성 버스 H24]] * 시외/공항버스 * [[공항버스 8835]] [[분류:수원시의 도로]][[분류:화성시의 도로]][[분류:84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