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동해시/역사)]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1940년대]]([[대한민국]])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어 [[대한민국]]의 영토가 되었다. [[1949년]] 4월, 삼척지방운수국이 설치되었다. [[https://m.cafe.naver.com/korailslr/80205|참고자료]] [* 동해시에 지어졌다.] [[1949년]] [[6월 1일]], 조선해양경비대 묵호기지가 묵호경비부로 승격했다. [[https://mnews.joins.com/article/6028188|참고]] == [[1950년대]] == === [[1950년]] === 1월, 삼척지방운송국이 삼척철도국으로 승격 [[https://m.cafe.naver.com/korailslr/80205|출처]] [[6월 25일]],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포탄이 떨어지고 [[조선인민군]]이 강릉까지 침공했다. 개전 '''하루 만에''' 북한군이 상륙해 [[북한]] 치하에 들어가며 [[인천상륙작전]] 성공 후 [[대한민국 국군]]이 수복한다. [[12월 19일]], [[흥남 철수작전]]때 철수한 물자들이 [[묵호항]]에 내려졌다.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0178132#cb|출처]] === [[1951년]] === [[묵호중학교]] 개교 === [[1952년]] === 삼육중학교 개교 === [[1953년]] === [[12월 25일]], 북평교회 설치 === [[1954년]] === 묵호고등학교 개교 === [[1955년]] === [[9월 1일]],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 일대에 [[강릉시]]가 설치되면서 강릉군에서 분리되고, 강릉군의 잔여 지역은 [[명주군]]으로 개칭되었다. 명주군에는 현 [[동해시]] 북부 일부가 포함되었다.[* 망상동, 묵호동 등] === [[1956년]] === [[1월 7일]], 동호초등학교 개교 === [[1957년]] === [[1월 25일]], 부산세관 묵호출장소가 서울세관 묵호출장소로 개편되었다.[* 출처: [[관세청]] 누리집] === [[1958년]] === 금란정이 무릉계곡으로 이전했다. [[https://m.blog.naver.com/daichung/221039212112|참고]] === [[1959년]] === 감추사 석실과 불상이 파도에 덮쳐 [[https://www.google.com/amp/m.sports.khan.co.kr/amp/view.html%3fart_id=201501071934326&sec_id=561050|유실되었다.]] 북평성당이 지어졌다. == [[1960년대]] == * 논골마을이 형성되었다. * 북평극장에 화재가 발생했다. [* 1명 부상][* 출처 '이야기가 있는 북평' 책자 / 글: 홍구보 (동해문화원 르포집)] * 호현구교가 설치되었다.[* 추암 입구의 작은 교량이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2&aid=0002037263|출처]] 1961년, [[묵호역]]이 지어졌다. [* 출처[[https://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16315]]] 1961년 3월 8일, [[북평여자고등학교]] 개교 1961년 10월, 삼척철도국과 안동철도국이 영주철도국으로 통합되었다. [[https://m.cafe.naver.com/korailslr/80205|출처]] 1963년 6월 11일, 묵호역에서 심연수 경관이 생명을 구하고 순직했다.[* 이는 묵호역이 지어진지 2년만에 일어난 사고였다.] [[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191203129800062|참고]] 1963년 11월 11일, 창호초등학교 개교 1964년, 묵호등대가 지어졌다. [* 출처[[https://m.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216315]]] 1967년 3월 30일, 남호초등학교 개교 1968년, 영화 [[미워도 다시 한번]]이 묵호에서 촬영되었다. [[https://m.blog.naver.com/wlove05/221748261184|출처]] 1969년 11월 22일, 묵호여자상업고등학교 설치[* 출처:동해상업고등학교 홈페이지] == [[1970년대]] == === [[1971년]] === 어달산봉수대가 강원도기념물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5907|지정되었다.]] === [[1972년]] === 묵호중학교가 묵호고등학교와 분리되었다. === [[1974년]] === 북평항 공사로 송정해수욕장이 사라졌다. === [[1977년]] === [[무릉계곡]]이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으며 삼화사가 현위치로 옮겨졌다. === [[1979년]] === [[동해 남호 FC]] 창단 2월 8일, 북평항 개항 5월 30일, [[북평동]]에 위치한 해암정이 강원도유형문화재 제63호로 지정되었다. 12월 28일, 법률 제3188호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해당 법률의 제목 자체가 띄어쓰기가 없다.]이 제정되었다. == [[1980년대]] '동해시 설치' == === [[1980년]] === >'''동해시등시설치와시·군관할구역및명칭변경에관한법률''' >[시행 1980. 4. 1.] [법률 제3188호, 1979. 12. 28., 제정] > >제1조 ('''동해시'''의 설치) >①강원도에 동해시를 다음과 같이 설치한다. >|| 시의 명칭 || 관할구역 || >|| 동해시 || 강원도 명주군 묵호읍 일원,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 일원 || >②강원도 명주군의 관할구역중에서 묵호읍을 제외한다. >③강원도 삼척군의 관할구역중에서 북평읍을 제외한다. [[4월 1일]], [[명주군]] [[묵호동|묵호읍]]과 [[삼척군]] [[북평동|북평읍]]이 중화학공업과 어업기지, [[무역항]]으로 번성하며 도시화가 진행되어 합쳐져 '''[[동해시]]로 승격'''되었다. 지명 유래는 주변의 [[동해]]에서 따왔다. 또한 북삼동주민센터가 삼척군 북평읍 용정리, 효가리, 지흥 1, 2리, 나안리, 동회리, 쇄운 1, 2리등 6개 법정동을 시작으로 행정업무를 시작하였다. 동호동주민센터, 송정동주민센터도 행정업무를 시작했다. 4월 3일, 북삼교회가 지어졌다. [* http://gangwondong.kr/church/donghae/buksam.htm|출처] 5월 6일, 현 동해지방해양수산청이 동해지방해운항만청으로 개칭되었다. [* 출처: 동해지방해양수산청 홈페이지] 8월 1일, [[동해소방서]] 설치 [* 출처: 동해소방서] 10월 18일, 동해시보건소 개소 [* 출처: 동해시보건소 홈페이지] === [[1981년]] === 3월 5일, 북평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개교 4월 13일, [[일본]] [[후쿠이현]] 츠루가 시(돈하시, 敦賀市)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7월 8일, [[내동]]과 [[호현동]]이 [[북평동]]에 편입되었으며 향로동 일부가 [[동호동]]에 편입되었다. === [[1983년]] === 5월, 근로복지공단 동해병원 개원 9월 1일, 동해동인병원 개원 === [[1984년]] === 해안교가 지어졌다. 1월 1일부터 [[동해역|북평역]]에 [[무궁화호]]가 운행되기 시작했고 6월 1일 북평역이 [[동해역]]으로 개칭됐다. === [[1985년]] === 2월 18일, 송정동 주민센터 이전 [* 출처: 동해시청 송정동주민센터 홈페이지] === [[1986년]] === * [[달방동|달방댐]] 착공 * 북평항을 [[동해항]]으로 개칭 2월 1일, 해군 제1함대사령부 설치 [[https://mnews.joins.com/article/6028188|출처]] 11월 19일, 삼화교회가 지어졌다. 12월 15일, 동호동주민센터 이전 === [[1987년]] === * 원천교가 지어졌다. 7월 23일, 북삼동주민센터가 [[동회동]] 마을회관에서 [[효가동]]으로 청사를 이전했다. === [[1988년]] === * 향로교가 지어졌다. === [[1989년]] === 4월, 동해시 재선거 후보 매수 사건 [[http://thesaurus.history.go.kr/TermInfo.jsp?term_id=10489971|참고]] 11월, 천곡동 주공4차아파트 완공 == [[1990년대]] == 1990년대 후반 북삼동의 협성아파트와 명보 1차 아파트가 지어졌다. === [[1990년]] === 망상동에 옥계지구전적비가 세워졌다. 부곡동 일부가 향로동에 이관되었다. 4월 1일, [[동해시청]] 개청 10주년 5월, [[달방동|달방댐]]과 한양1단지 아파트가 지어졌다. === [[1991년]] === 2월, 동해시를 비롯한 영동지방에 폭설이 내렸다. 2월 1일, 흰돌교회가 창립되었다. 4월 15일, 동해시의회 설치 [* 출처: 동해시의회] 5월 27일, 북평119안전센터 신설 [* 출처: 동해소방서] 6월, [[천곡동굴]] 발견 9월 11일, 동해지방해운항만청이 동해-울릉 고속여객선 하루 1회 왕복운항을 허가했다. 12월 30일, 부곡동주민센터 이전. [* 출처: 부곡동주민센터 누리집] === [[1992년]] === [[구호동]]에서 중기구석기시대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4월 10일, 폭풍주의보가 내려져 어선 3천여척이 대피했다. 11월, 천곡동의 한양아파트 2, 3단지가 완공되었다. === [[1993년]] === 12월 24일, 동호동 주민센터가 확장되었다. === [[1994년]] === 묵호항에 회판매센터가 만들어졌다. 9월 14일, 달방댐의 수질이 악화되고 냄새가 나기 시작했다. [* 출처: 중앙일보] 11월 1일, 천곡동 주민센터 이전 === [[1995년]] === * 대동아파트, 부영아파트, 현대아파트가 지어졌다. * [[발한동]]에서도 구석기 유적이 발견되었다. 4월 28일, [[중국]] 도문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6월 29일, 동해향교 설치 7월 1일, 민선1기 시장 취임 11월 20일, [[쇄운동]] 일부가 [[동회동]]에 편입되었으며, [[대구동]], [[구미동(동해)|구미동]], [[추암동]] 일부가 [[구호동]]에 편입되었다. === [[1996년]] === 천곡동굴에서 [[황금박쥐]]가 처음 관측되었다. 8월, 삼본아파트가 지어졌다. 10월 2일, 제3회 환동해권확대거점 도시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는 4개국 10대도시가 참여했다. === [[1997년]] === 1997년, 정부지정 제1호 환경시범도시가 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8/0002228782|출처]] === [[1998년]] === *삼화교가 설치되었다. *무장간첩 시신이 발견되었다. [[https://m.cafe.naver.com/ilsandda35/900|참고자료]] 10월 28일, 발한도서관 개관 11월 2일, 시조례 제1091호로 동해시 과소동이 통폐합되며 15개동에서 10개동으로 줄어들었다. 11월 18일, [[금강산]]행 [[유람선]]이 [[동해항]]에서 첫 출항했다. 11월 25일, [[동해화력발전소]] 1호기가 준공되었다. === [[1999년]] === * [[구미동(동해)|구미동]]에서 다양한 유적이 발견되었다. * 효가교가 지어졌다. 4월 27일, [[전라북도]] [[김제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10월 7일,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12월 21일, [[동해화력발전소]] 2호기가 준공되었다. == [[2000년대]] == 대동아파트, 현대아파트가 지어졌다. === [[2000년]] === 4월 1일, [[미국]] [[워싱턴 주]] 페드럴웨이시와 자매결연을 체결했다. 9월, 쇄운부영아파트 완공[*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op_hty&fbm=1&ie=utf8&query=%EC%87%84%EC%9A%B4%EB%B6%80%EC%98%81%EC%95%84%ED%8C%8C%ED%8A%B8] 12월 30일, 개청 20주년 기념 타임캡슐을 매설했다. === [[2001년]] === 3월 1일, 동해시시설관리공단이 창립되었고 [[삼화초등학교]] 삼흥분교가 폐교되었다. === [[2002년]] === * [[청운초등학교(강원)|청운초등학교]]가 개교했다. * 무릉계곡이 산림청 100대 명산이 되었다. [[http://m.blog.daum.net/_blog/_m/articleView.do?blogid=0DuLn&articleno=12881507|출처]] * 망상오토캠핑리조트가 지어졌다.[* 출처:동해시청 홈페이지] 2월 1일, [[동해시립북삼도서관|북삼도서관]] 개관 === [[2003년]] === * 소비천교가 지어졌다. 9월, 이로동 도요지가 발견되었다. [* 출처: 동해시청 홈페이지] === [[2004년]] === * 항곡교와 초구교가 지어졌다. 1월 27일, [[이마트 동해점]] 개점 4월 25일, 삼화사에서 신라시대 유물이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7874#_enliple|발견되었다.]] 11월, 천곡동굴에서 두 번째로 황금박쥐가 발견되었다. 11월 6일, 동해소방서 삼화119지역대 신설 === [[2005년]] === 7월 20일, 동해해안초소 총기탈취 사건이 일어났다. === [[2006년]] === 동해시가 환동해권 거점도시 회의를 주관했다. [[http://m.newsmak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84687|출처]] 3월 14일, [[동해 학습지 여교사 살인사건]] 6월 7일, 동해 푸르지오 아파트가 지어졌다. === [[2007년]] === * 북평과선교, 쌍동교, 소비교가 지어졌다. [[https://krbridge.com/%EB%B6%81%ED%8F%89%EA%B3%BC%EC%84%A0%EA%B5%90-%EA%B0%95%EC%9B%90%EB%8F%84-%EB%8F%99%ED%95%B4%EC%8B%9C-%EC%9D%BC%EB%B0%98%EA%B5%AD%EB%8F%8442%ED%98%B8%EC%84%A0/|출처]] [[https://krbridge.com/%EC%8C%8D%EB%8F%99%EA%B5%90-%EA%B0%95%EC%9B%90%EB%8F%84-%EB%8F%99%ED%95%B4%EC%8B%9C-%EC%9D%BC%EB%B0%98%EA%B5%AD%EB%8F%8442%ED%98%B8%EC%84%A0/|출처2]] [[https://krbridge.com/%EC%86%8C%EB%B9%84%EA%B5%90-%EA%B0%95%EC%9B%90%EB%8F%84-%EB%8F%99%ED%95%B4%EC%8B%9C-%EC%9D%BC%EB%B0%98%EA%B5%AD%EB%8F%8442%ED%98%B8%EC%84%A0/|출처3]] 2월 15일, 송정동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0142572]]] 3월 1일, 북삼동 코아루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었다. 3월 21일, 금은방 주인 피살사건이 발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0146455|출처]] 3월 25일, 금은방 주인 피살사건 용의자가 체포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0146455|출처]] 7월 25일, [[바다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8월, 천곡동굴에서 박쥐가 발견되었다. 12월, 금호어울림아파트 완공 === [[2008년]] === * 북삼동의 청운교가 지어졌다. * [[동해 청솔 FC]]가 창단되었다. 7월 13일, [[쇄운동]] 42번 국도에서 교통사고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2172103|났다.]] 10월 22일, 제1회 강원도 장애인생활체육대회가 개최되었다. 11월 17일, 북삼동주민센터가 효자남길 33-4호에 동청사를 신축 이전하였다. === [[2009년]] === 9월 3일, 북삼119안전센터 설치 9월 24일, 동해농협하나로마트 천곡점 개점 12월 19일, 동해경찰서 이전 == [[2010년대]] == === [[2010년]] === * 묵호항회센터 신축 * [[2010년 한국 중부 폭설|한국 중부 폭설]] 4월 1일, 동해시 개청 30주년. 4월 29일, 북평파출소 설치 [* 출처: 동해경찰서] 6월, 황금박쥐가 발견되었다. 11월 15일, 천곡동주민센터 리모델링. [* 출처: 동해시청홈페이지 천곡동주민센터] === [[2011년]] === [[2011년 동해안 폭설 사태|동해안 폭설 사태]] 1월 1일, 시내버스 환승제 시행 3월, [[북평고등학교]]가 실업계를 인문계로 전환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04809300|출처]] === [[2012년]] === 2012년, 전천 일대가 가꾸어졌으며 푹신푹신한 운동로가 깔렸다. 또한, 북삼동주민센터 옆에 북삼파출소와 북삼소방서가 개소하였다. 6월, 삼척시와 통합대상으로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idxno=689190|선정되었다.]] === [[2013년]] === 북삼동 동아더프라임 아파트가 준공했다. 7월 9일,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청이 개청했다. [* 출처: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청 홈페이지] 9월 5일, 동해교육도서관이 이전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0452210|출처]] 10월 21일, [[동쪽바다중앙시장]]이 산업통상부장관상을 수상했다. 12월 13일, 동해소방서 묵호119안전센터가 준공되었다. [* 출처: 세이프코리아 뉴스] === [[2014년]] === * 전천에 다리가 하나 더 지어졌다. 2월 20일, [[심규언]] 동해시장 권한대행이 명예퇴임했다. 6월, 동해항의 러시아 항로가 휴항에 들어갔다. [* 출처: 동해시청 홈페이지] 8월, 평릉동의 코아루디오션아파트가 준공되었다. 2014년 11월 29일, 천곡동에서 교통사고가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06224853|발생했다.]] === [[2015년]] === * 전천의 돌다리 위에 일반 다리를 놓아 자전거도 편히 도하할 수 있는 시대가 왔다. 1월 1일, 동해-강릉 시내버스간 무료환승제 시행 10월 8일, 동해무릉건강숲이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 [[2016년]] === * 북삼동 하우스디 아파트를 짓기 시작했다. * 지흥2교가 지어졌다. 1월 26일, 동해식자재마트 개업 7월, 천곡동굴에서 황금박쥐가 발견되었다. 12월, [[촛불시위]]가 천곡동 일대에서 열렸다. === [[2017년]] === 3월 27일, 북삼동에 월마트가 개점했다. 2017년 여름, 천곡동굴에서 황금박쥐가 2년 연속으로 발견되었다. 8월, [[천곡동(동해)|천곡동]]에 이디야 커피가 생겼다. 10월 13일, 제 32회 [[무릉제(동해)|동해무릉제]]가 열렸다. 12월, 북삼하우스디아파트 완공 12월 8일, 동해러시아대게마을 매장 오픈 === [[2018년]] === 2월, [[평창동계올림픽]] 성화가 지나갔다. 2월 9일, 묵호항 연안여객선터미널에서 [[평창올림픽]] 북한 예술단이 탄 만경봉 92호가 도착했다. 북한 예술단은 여객선에서 하룻밤을 잤다. 2월 14일, 동해시의회가 북평전통시장과 동쪽바다 중앙시장에서 전통시장 이용 캠페인을 진행했다. 2월 28일, [[한중대학교]] 폐교 [* 출처: 대학저널] 3월, 묵호항 보안구역이 해제되었다. [* 출처[[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401619]]] 3월 8일, 북삼119안전센터에서 고층 아파트 관리 소장 소방협의회를 열었다. 3월 10일, 동해시 배드민턴회가 주관하는 동해 [[무릉계곡|무릉배]] 오픈배드민턴 대회가 동해체육관, 국민체육센터, [[북평여고]] 배롱관 등에서 열렸다. 3월 12일, ‘도시재생 시민대학’의 운영이 시작되었다. 4월 23일, 천곡119안전센터가 신설되었다. 7월 5일, 동해시 신고센터가 개설되었다. 7월 21~22일, 그린플러그드 동해 개최. 8월 3~4일: 2018년 대한민국 직장인밴드 동해콘서트가 개최된다. 8월 5~6일: [[2018년 강원 영동권 폭우 사태]] 12월 3일, 시내 모 중학교에서 문제유출 사건이 [[https://mnews.joins.com/article/23176741#home|발생했다.]] 12월 27일, 동해시외버스터미널과 종합버스터미널이 통합되었다. 12월 30일, 북평공단 물류창고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08986183|출처]] === [[2019년]] === 3월 1일, 북평여자중학교가 예람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4월 5일, [[2019년 강릉-동해 산불|강릉-동해 산불]] 4월 19일, [[2019년 동해 지진]], 동해소방서가 신축을 위해 용정동으로 이전했다. 5월 9일, [[https://www.google.com/amp/m.newspim.com/newsamp/view/20190509000766|동해터널에 사고가 나서 해경이 구조했다.]] 5월 29일, 추암에서 노동자가 사망했다. [[https://www.google.com/amp/m.newspim.com/newsamp/view/20190529000782|출처]] 6월 17일, 동해안자전거길 망상~옥계구간이 개통되며 동해안자전거길이 완성되었다. 7월 3일, [[망상해수욕장]]에서 [[물개]]가 [[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190703165700062|발견되었다.]] 7월 20~21일 그린플러그드 동해 개최 7월 27일, 북삼동의 [[동부]]메탈 공장에서 [[https://www.google.com/amp/s/m.yna.co.kr/amp/view/AKR20190727040100062|폭발사고가 일어났다.]] 8월, 동해특수학교 착공 9월 12일, [[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society/amp/2019091275567|망상동에서 기차와 자동차가 부딫혔다.]] 9월 24일, 대진항 방파제가 [[http://m.newsro.kr/%EB%8F%99%ED%95%B4%EC%8B%9C-%EB%8C%80%EC%A7%84%ED%95%AD-%EB%82%A8%EC%B8%A1-%EB%B0%A9%ED%8C%8C%EC%A0%9C-%EB%B3%B4%EA%B0%95%EC%82%AC%EC%97%85-%EC%99%84%EB%A3%8C/|보강되었다.]] 10월 8일, [[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society/amp/201910081794Y|태풍 미탁 사망자가 발견되었다.]] 10월 13일, 전천에서 해파랑길 걷기 대회를 개최했다. 10월 15일, [[충청북도]] [[제천시]]와 자매결연을 [[http://m.newsprime.co.kr/section_view.html?no=479096|맺었다.]] 11월 16일, [[서울역]]에서 동해시관광홍보켐페인을 진행하였다. 11월 18일, [[동호동]]에 연필박물관을 짓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1월 22일, 동해시가 2020년 예산 4416억을 받았다. 12월 2일, 동해시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복지부장관상을 받았다. 12월 4일, 동해시가 응급의료관리 우수기관에 선정되었다. 12월 6일, [[https://www.google.com/amp/s/www.hankyung.com/society/amp/201912066358Y|망상동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12월 9일, 동해시정소식지가 커뮤니케이션 대상을 수상했다. 12월 10일, 동해시 문화예술회관 앞에 동해시 내 처음으로 [[평화의 소녀상]]이 세워졌다. 12월 12일,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32810#_enliple|묵호에 문어 산란장이 조성되었다.]] 12월 말, 동해역에 KTX가 개통될 예정이였으나 감추사 부근의 문제로 연기되었다. == [[2020년대]] == === [[2020년]] === 1월 25일, [[동해 펜션 폭발 사고]] 2월, 동해코아루더스카이아파트 완공[* [[이도동(동해)|이도동]] 소재] 2월 1일, 동해시장이 펜션 폭발 사고 분향소를 [[https://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5203|찾았다.]] 4월 1일, '''동해시 개청 40주년''' 4월 2일, LS전선 해저케이블 2공장이 완공되었다. [[http://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1244|출처]] 12월, [[동해중앙초등학교]]에서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했다. ==== [[코로나19]] ==== * 묵호등대, [[북삼도서관]]이 [[코로나19]]로 휴관하였다. === [[2021년]] === 12월 1일, [[제1산악여단]] 창설 === [[2022년]] === 2월 14일, 동해시가 코로나생활지원금을 1인당 20만원씩 지원하고 있다. 3월 5일, [[2022년 강릉 산불]] 7월 2일, [[동해시립북삼도서관]]이 리모델링을 마치고 재개관했다. == 참고 자료 == [[http://www.dh.go.kr/pages/index.htm|동해시청홈페이지]] [[https://m.search.naver.com/search.naver?sm=mtb_hty.top&where=m&oquery=%EB%8F%99%ED%95%B4%EC%8B%9C+%EC%95%84%ED%8C%8C%ED%8A%B8+%EC%A0%95%EB%B3%B4&tqi=UlcT6wprv2NssKQ18mGssssss0Z-331201&query=%EB%8F%99%ED%95%B4%EC%8B%9C+%EC%95%84%ED%8C%8C%ED%8A%B8+%EC%A0%95%EB%B3%B4|네이버 아파트 정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동해시/역사, version=518)] [[분류:동해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