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사라진 은행)] [[파일:동화은행 CI.svg|width=200]][* 창립 초기부터 신한은행이 인수하기 전까지 사용한 행표.] || [[금융공동망|은행 코드]] || 28 || || [[SWIFT 코드|SWIFT 코드]] || DHWAKRSE || || 상장 시장 || [[유가증권시장]] || || 종목 코드 || 021310 || 同和銀行 [목차] [clearfix] == 개요 == 1989년부터 1998년까지 영업한 [[대한민국]]의 은행. 본점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적선동 [[현대상선]] 사옥에 있었다. == 역사 == 1988년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대통령 특별선언|7.7 선언]]이 발표되고 남북 평화 분위기가 조성되자 통일 시대를 대비한다면서 [[실향민/대한민국|실향민]]들이 자본금을 모아 설립한 은행이었다. 실제로 이북에서 태어나 [[6.25 전쟁]] 때 월남한 실향민 1세대와 그 친인척 및 남한에서 태어난 자녀와 손자들에게까지 출자 자격을 주었는데 집안 전체가 출자에 참여하는 사례가 많았다. 1987년 12월 이북5도 은행설립위원회 구성 후 준비 작업을 거쳐 1989년 9월 영업을 개시했는데 설립 당시 대대적인 열풍 속에 100만 명이 넘는 실향민들과 수많은 단체들이 참여했다. 초대 은행장인 안영모 역시 [[황해도]] [[벽성군]] 출신이었다. 1991년 2월 신용카드 업무를 개시하고 1991년 7월 동화리스를 세웠으며 1992년 2월 주식 장외시장 등록 후 1992년 10월 [[도쿄]]사무소를 설립했다. 1995년 4월 동화파이낸스를 세우고 1995년 11월 [[뉴욕]]사무소를 지점으로 격상시켰다. 한편 1993년에는 안영모 은행장 비자금 사건으로 홍역을 치렀다.[* 안영모 은행장이 정치권에 비자금을 살포한 사건. 참고로 이 당시 안영모에게 뇌물을 수수한 사람이 다름아닌 [[김종인]]이였는데 서울지검에 파견근무를 나와있던 [[홍준표]]가 주임검사인 [[함승희]]의 요청으로 김종인의 자백을 받아내었다고 한다.]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부실은행으로 전락했으며, 이듬해인 1998년 6월 29일 [[대한민국 제1차 금융 구조조정]]에 따라 [[신한은행]]에 P&A로 인수되었다. 참고로 법인 자체는 2010년 소멸했다. == 역대 은행장 == * 안영모 (1989~1993) * 송한청 직무대행 (1993) * 선우윤 (1993~1994) * 이동균 직무대행 (1994) * 이재진 (1994~1998) == 자회사 == * 동화리스: 2000년 영남종합금융에 넘어갔으나, 모기업의 [[영업정지]]로 2001년 썬캐피탈에 P&A로 넘어간 후 2004년 폐업됨. * 동화파이낸스: 2003년 폐업됨. == 기타 == * 전직 동화은행 임직원들은 아직도 [[http://www.dhb.or.kr/board/bbs/board.php?bo_table=free|동화은행 동우회]]와 동화은행 [[밴드]]를 통해 모임을 가지고 있다. * 국산 커피 브랜드 [[이디야]]의 창업주 문창기 회장을 비롯한 창업 당시 이사 5명이 전부 동화은행 출신이었다. 이 때문인지 재무 구조가 건실하고 동화은행을 인수한 신한은행의 [[신한카드]]에 대해 우대 혜택이 많다. [[분류:신한은행]][[분류:대한민국의 없어진 은행]][[분류:1989년 기업]][[분류:2010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