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gracilis'' '''}}}[br]{{{#ffffff ''' ''(두덩정강근, 박근)'' '''}}} || || [[파일:바깥폐쇄근앞쪽.jpg|width=100%]][* 그림에서는 오른쪽 두덩정강근만 나타내었다.] || [[파일:넓적다리근육들.png|width=100%]][* 초록색 표시된 게 두덩정강근.] || || 이는 곳[br](origin) || 두덩뼈아래가지[br](inferior ramus of pubis) || || 닿는 곳[br](insertion) || 몸쪽정강뼈의 앞안쪽면[br](anteromedial surface of proximal tibia) || || 동맥[br](artery) ||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br](medial circumflex femoral artery) || || 신경[br](nerve) || 폐쇄신경 앞가지[br](anterior branch of obturator nerve) || || 기능[br](action) || 넓적다리 모음 / 종아리 굽힘, 안쪽돌림[br](adduction of thigh / flexion, medial rotation of leg) || [목차] [clearfix] == 개요 == 두덩정강근(gracilis muscle)은 넓적다리 안쪽칸에서 가장 밑쪽이자 가장 안쪽에, 얕게 분포하는 얇은 띠 모양 근육이다. 또한 넓적다리에서 가장 약하게 작용하는 근육이기도 하다. 개정 이전 용어는 박근([[薄]][[筋]])[* [[얇을 박]], [[힘줄 근]].]으로, 매우 얇은 근육이라 붙여진 이름이다. 원 이름인 gracilis 역시 [[라틴어]]로 '얇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개정 이후에는 이 근육의 이는곳이 두덩뼈고 닿는곳이 정강뼈라는 것을 반영해 두덩정강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 구조 == 두덩정강근은 두덩뼈아래가지에서도 바깥면에서 일어난다. 이는곳이 [[긴모음근]]과 [[짧은모음근]]의 바로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후 두덩정강근은 넓적다리를 가장 안쪽 경로를 통해 다 내려간 뒤 [[정강뼈]]의 안쪽면 윗부분에 닿는다. 닿을 때, 두덩정강근은 [[힘줄]]이 되고 이 힘줄은 [[넙다리빗근]](sartorius muscle), [[반힘줄근]](semitendinosus muscle)의 힘줄들과 함께 셋이 합쳐져 [[거위발]](pes anserinus)를 이룬다. 혈액을 공급받는 동맥은 [[깊은넙다리동맥]](deep femoral artery)에서 갈라져 나와 넓적다리 안쪽을 주행하는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이고, 지배받는 신경은 폐쇄신경의 앞가지이다. 폐쇄신경의 앞가지는 [[긴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 등에 분포한다. == 기능 == 두덩정강근은 다른 넓적다리 안쪽칸의 근육들인 [[큰모음근]], 긴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근]]이 모두 넙다리뼈에 닿기 때문에 무릎관절에는 작용하지 않는 것과 다르게, 닿는곳이 정강뼈 위쪽이기 때문에 무릎과 종아리를 움직일 수 있다. 이 근육은 넓적다리의 모음근(adductor)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종아리의 굽힘근(flexor)과 안쪽돌림근(medial rotator)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단지, 이 근육은 그 작용하는 힘이 매우 약한 편이다. == 유용성 == 두덩정강근은 [[항문]]의 [[괄약근]]이나 [[얼굴]], [[손]]의 근육들에 대해서 재건 수술을 실시할 때, [[이식]] 주개(donor)[* 이식되는 조직을 떼어내는 곳]로 자주 이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