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927 0%, #FFF72A 20%, #FFF72A 80%, #FFE927)" {{{#00753a '''두두의 수상 이력'''}}}}}} || || {{{#!folding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K리그1|[[파일:K리그1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ee3224; font-size: 0.9em" [[K리그 대상#s-3.1|{{{#ffffff '''2008 K리그1 득점왕'''}}}]]}}} || ||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DDDDD 0%, #FFFFFF)" {{{+1 {{{#000000 '''브라질의 축구선수, 전 농구선수'''}}}}}}}}}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Eduardo_Francisco_de_Silva_Neto.jpg|width=100%]]}}} || ||<-2> {{{#000000 '''이름'''}}} || '''{{{+1 에두아르두 프란시스쿠 지 시우바 네투}}}[br]Eduardo Francisco de Silva Neto''' || ||<-2> {{{#000000 '''K리그 등록명'''}}} ||'''두두''' || ||<-2> {{{#000000 '''출생'''}}} ||[[1980년]] [[2월 2일]] ([age(1980-02-02)]세) [br]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2> {{{#000000 '''국적'''}}}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8]] [[브라질]] || ||<-2> {{{#000000 '''신체'''}}} ||178cm || ||<-2> {{{#000000 '''포지션'''}}} ||[[윙어]] || || {{{#000000 '''소속''' }}} || {{{#000000 '''선수''' }}} ||[[EC 비토리아]](1999~2001) [br] [[과라니 FC]](2002) [br] [[보타포구 FR]](2002) [br] [[칼마르 FF]](2003) [br] 아메리카 FC(2004) [br] [[크루제이루 EC]](2004) [br] [[성남 일화 천마]](2004~2006) [br] [[FC 서울]](2006~2007) [br] → {{{-1 [[성남 일화 천마]](2008 / 임대)}}} [br] 톰벤세 FC(2009) [br] [[오미야 아르디자]](2009~2010) [br] [[피게이렌시 FC]](2011) [br] 두케 데 카시아스 FC(2011) [br] 보아비스타-RJ(2012) [br] [[CA 브라간치누]](2012) [br] 과라니-SP(2013) [br] 본수세소(2014~) || [목차] [clearfix] == 개요 == [[브라질]] 출신의 축구인으로, 일명 '''두두(Dudu)'''라고 한다. [[브라질]] 리그의 보아비스타 SC에서 공격수로 뛰고 있다. 힘과 스피드가 뛰어나며, 수준 높은 개인기와 침착하게 상황을 판단하는 능력을 보유했다. 여기에 왼발을 잘 사용하며, 위력적인 개인 돌파가 장점이다. 게다가 폭발적인 득점력을 선보이며, 친화력이 높아 소속팀에 매우 빠르게 적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선수 경력 == 2002년 [[브라질]] 리그의 EC 비토리아에서 데뷔했으며, 토니뉴 세레주 감독의 권유로 유스 시절 미드필더였던 포지션을 공격수로 변경했다. 이후 과라니 FC와 보타포구 FR을 거쳐 2003년 팀 동료인 [[다니에우 멘지스]]와 함께 [[나네 베르그스트란드]] 감독의 권유로 [[스웨덴]] 리그의 칼마르 FF로 이적해 자신의 첫 해외 이적을 이뤄냈으며, 입단 이후 좋은 활약을 보였다. 그 뒤 2004년 아메리카 FC에 입단해 브라질 무대에 복귀했으며, 얼마 뒤 크루제이루 EC로 팀을 옮겼다.[* 당시 [[에우렐류 고메스]]와 한솥밥을 먹었는데, 이후 [[피스컵]]에서 당시 [[PSV 에인트호번]] 소속으로 있던 고메스와 다시 만나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파일:attachment/Dudu_Seongnam_Ilhwa_Chunma.jpg]] 2004년 7월 29일, 이적료 120만 [[미국 달러|달러]], 계약금 10만 달러, 월봉 2만 5천 달러에 3년 계약으로 [[성남 일화 천마]]에 입단했다. 성남은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과 K리그 상위권 도약에 꼭 필요한 공격력 강화를 위해 여름이적 시장에서 [[이리네]]를 [[부천 SK]]로 이적시키고 두두를 영입했던 것이다. 두두는 [[김도훈]]과 호흡을 맞추며 리그 중반 5경기 연속골 행진을 이어가며 [[K리그 리그컵|K리그 컵대회]] 우승 및 [[AFC 챔피언스 리그]] 준우승에 공헌하는 등 좋은 활약을 보였다. 이후 2005년에는 팀에 새로 입단한 [[모따]]와 호흡을 맞추며 10골을 득점하며 한 때 득점 1위에 오르기도 했지만 막판에 다소 밀리며 [[산드루 히로시|산드로]]와 함께 득점 공동 3위로 시즌을 마쳤으며,[* 다만 그 당시 13골로 득점왕에 오른 [[마차도]]는 챔피언 결정전에서 득점한 3골이 포함되었으며, 챔피언 결정전에서 나온 득점을 제외한다면 두두는 12골을 기록한 [[박주영]]에 이은 득점 공동 2위가 된다.] 2006년 K리그 컵대회에서는 9경기 5[[어시스트]]로 도움왕에 올랐다. 2006년 계약 만료 시점이 다가오자 시즌 도중 1년 6개월 계약으로 [[FC 서울]]로 이적했으며, 입단하자마자 [[FC 도쿄]]와의 친선경기에서 두 골을 넣으며 팀의 3:0 승리를 견인해 팬들로 하여금 기대감을 갖게 했다. 하지만 2007년 시즌 초 심각한 [[사타구니]] 부상으로 모국인 [[브라질]]로 귀국해 부상 치료에 전념한 뒤 시즌 후반기에 맞춰 복귀했으며, 복귀 2경기 만에 골을 터뜨리며 자신의 건재함을 알리는 듯 했다. 하지만 당시 팀에 공격 자원이 넘쳐 팀의 감독인 [[셰놀 귀네슈]]가 두두를 본 포지션이 아닌 미드필더로 배치했으나, 리그 14경기에서 3골에 그치는 부진한 활약을 보였다. 결국 시즌 종료 이후 1년 임대 형식으로 자신의 친정팀인 성남 일화 천마로 복귀해 영혼의 커플이었던 [[모따]]와 재결합했으며, 시즌 초반 다섯 경기 연속골을 넣는 등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이후 한동안 침묵에 빠졌다가 다시 여섯 경기 연속골 및 여덟 경기 연속 공격포인트(7골 4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에두]]와 득점왕 경쟁을 벌였으며,[* 참고로 여섯 경기 연속골은 역대 4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며, [[조영증]], [[윤상철]], [[정정수(축구인)|정정수]]가 보유하고 있었다. 역대 연속골 최다 기록은 [[황선홍]]과 [[김도훈]]의 8경기 연속골과 [[안정환]]의 7경기 연속골이다.] 정규리그 우승 경쟁을 벌이던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의 경기에서 결승골을 터뜨려 팀의 1:0 승리를 이끄는 등 영양가 또한 높았다. 하지만 시즌 후반기에 들어서는 11경기에서 고작 1골을 넣는 등 함께 공격진을 구성하던 모따, [[이동국]]과 함께 부진의 늪에 빠졌으며, 결국 어쨌든 26경기에서 15골을 넣어 리그 득점왕에는 올랐으나, 성적 부진으로 팀을 떠난 [[김학범]] 감독의 후임으로 들어온 [[신태용]] 감독에 의해 재계약에 실패해 모따와 함께 팀을 떠났다.[* 당시 신태용 감독은 두두와 모따를 내보낸 이유로 경기에서 적극성을 보이지 않는다며 정신력 문제를 들었는데, 두두와 모따의 맹활약에 빠져 있던 [[축빠]]들에게 엄청 까였다.(...) 하지만 신태용은 이후 [[호셉 과르디올라|테르디올라]]로 등극하며 팀 재건에 성공해 그러한 비난을 일축했다.] [[파일:attachment/Dudu_Omiya_Ardija.jpg]] 이후 2009년 톰벤세 FC에 입단해 브라질 무대에 복귀했으며, 시즌 도중 [[제주 유나이티드]]가 영입을 시도했으나 본인은 [[장외룡]] 감독이 지휘봉을 잡고 있던 [[일본]] [[J리그]]의 [[오미야 아르디자]]를 택했다. 하지만 두 시즌 동안 12경기에 출전해 무득점에 그치며 2011년 임대 형식으로 피게이렌세 FC로 이적해 브라질에 귀국했으며, 그 해 6월 무면허 [[음주운전]]으로 동승했던 친구 두 명이 숨지고 한 명은 크게 다치는 교통사고를 내 [[경찰]]에 [[체포]]되었다.[* 사고 당시 두두는 [[나이트 클럽]]에서 동승했던 친구들과 '''[[맥주]] 10병'''을 마신 뒤 무면허 음주음전을 시도했으며, 경찰의 음주 단속에 불응하고 도주하다가 운전 미숙으로 [[신호등]]을 들이받는 사고를 냈다.] --태르디올라의 혜안이 적중했다!-- 이후 [[보석]]으로 풀려났으나, 사고 소식을 접한 원소속팀 오미야 아르디자의 계약이 해지되었다. 이후 두케 데 카시아스 FC에 입단했으며, 2012년 보아비스타 SC로 이적하였다. == 기타 == [[파일:attachment/Dudu_Hair_Style.jpg]] 독특한 모양의 [[레게머리]]를 하고 다니는데, '''[[매듭]]이 무려 28개다'''. 본인 말로는 어머니가 직접 해주는 거라고 한다. 취미는 [[수면]]을 푹 취하는 것이라고 하며,[* 당연한 말이지만, 운동선수에게 있어서 잘 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잠이 보약이다"라는 말처럼 충분한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는 비결 중 하나라고 한다. 수면을 중시하는 축구 선수는 대표적으로 [[마이클 에시엔]]이나 현재 은퇴한 [[김기동(축구)|김기동]]이 있다.] 은퇴 이후의 목표는 모국 [[브라질]]에 축구 교실을 세워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이라고 한다. 아들이 둘 있는데, 이름은 각각 '아르투르'와 '다비드'이다. 평소에는 두 아들의 이름이 새겨진 [[팔찌]]를 차고 다닌다. [각주] [[분류:1980년 출생]][[분류:브라질의 축구선수]][[분류:외국인 선수(축구)]][[분류:성남 FC/은퇴, 이적]][[분류:FC 서울/은퇴, 이적]][[분류:1999년 데뷔]] [include(틀:포크됨2, title=두두(1980), d=2022-07-17 11:0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