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두산건설 CI.svg|width=100]]||{{{#000F9F,#005EB8 '''{{{+1 두산건설}}}[br]斗山建設 [br] DOOSAN ENGINEERING & CONSTRUCTION'''}}} ||}}} || || '''{{{#fff 정식명칭}}}''' ||두산건설 주식회사 || || '''{{{#fff 영문명칭}}}''' ||Doosan Engineering & Construction Co.,Ltd. || || '''{{{#fff 한문명칭}}}''' ||斗山建設 株式會社 || || '''{{{#fff 설립일}}}''' ||[[1976년]] [[4월 7일]] || || '''{{{#fff 업종명}}}''' ||종합 [[건설업]] || || '''{{{#fff 아파트[br]브랜드}}}''' ||[[두산위브|[[파일:두산위브 BI.svg|width=50]]]]  [[두산위브 더제니스|[[파일:두산위브 더제니스 로고.svg|width=80]]]] || || '''{{{#fff 상장여부}}}''' ||'''[[상장폐지]]''' || || '''{{{#fff 기업규모}}}''' ||[[중견기업]][* 원래는 [[두산]] 계열사라 [[대기업]]으로 분류됐지만, [[사모펀드]]에 지분권을 매각하면서 [[중견기업]]으로 격하되었다.] || || '''{{{#fff 상장시장}}}''' ||[[유가증권시장]] ([[1996년]] ~ [[2020년]]) || || '''{{{#fff 종목코드}}}''' ||011160 || || '''{{{#fff 대표이사}}}''' ||권경훈,이강홍|| || '''{{{#ffffff 도급순위}}}''' ||35위^^(2023)^^ || ||||<#fff,#292a2d> [[http://www.doosanenc.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건설업]]체.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726 ([[논현동(강남구)|논현동]])에 위치해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3년]] 건설사 [[시공능력평가제도|시공능력평가]]'에서 시평액 1조 3,168억 원으로, 35위를 기록했다. [[두산]] 계열사였지만 [[2021년]] 더제니스홀딩스 유한회사가 54%의 지분을 취득하면서 일단 형식적으로 두산에서 계열분리되었다. 왜 형식적이라고 하는지는 후술. == 역사 == 역사는 두 갈래로 나뉘는데, 전자는 [[1960년]] 세워진 동산토건이 모태이다. [[1974년]] [[인도네시아]] 케다웅산업 초자로 축로공사를 시초로 처음 해외 건설을 수주했으며, 같은 해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했다. [[1993년]] 두산건설로 이름을 바꾸고 [[1999년]]에 아파트 브랜드 '힐스빌'을 런칭했으며, [[2000년]] 국내 최초로 [[갑천도시고속도로]]에 외자유치 민간투자를 시도하며 [[한국중공업]]을 인수했다. 후자는 [[1976년]] '고려항만개발'을 모태로 한 고려산업개발로, [[1983년]] 서산간척농지 개발에 나서며 1985년 한국포장개발을 합병했다. [[1988년]] 주택건설사업자 등록 후 '[[현대아파트]]' 브랜드를 공유하며 아파트 사업에 진출하고 [[1996년]] 한국증권거래소에 상장했다. [[1998년]] 현대알루미늄, 신대한, 현대리바트를 합병했다가 1999년 가구사업부문을 (주)리바트로 재분사시켰고, 아파트 브랜드 '현대 모닝사이드'[* 단 2년간만 존속된 브랜드지만 전국에 아직 여러 곳 남아있으며, 부도 이후 완공된 단지들 중 일부는 단지명에 모닝사이드가 들어가지는 않지만(xx현대아파트로 표기) 단지내 여러 곳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황토색 계열 외관과 적갈색 우드그레인 위주 인테리어가 특징이며, 창호 색상은 분양시 적갈색과 흰색 중 선택이 가능해서 신축 때부터 세대마다 창호 색깔이 제각각이었던 게 특징.]를 런칭했다. [[2000년]] [[현대그룹]]에서 벌어진 [[왕자의 난]]으로 인해 [[2001년]] [[부도]]난 뒤 회사정리절차에 들어가 [[2002년]] 알루미늄사업부문을 현대알루미늄으로 재분사하고 2004년 두산그룹에 인수되었다. 두산그룹은 (구)두산건설과 고려산업개발을 합병하면서 [[역합병|고려산업개발을 존속법인으로 하고]] 상호를 '두산산업개발'로 변경했다. [[2004년]] 두산기업을 합병했다가 [[2006년]] 레저사업부문을 두산큐벡스로 재분사시켰고, [[2007년]] '두산건설'로 회귀 후 [[2010년]] 두산메카텍, [[2014년]] 렉스콘을 각각 합병했다. [[2016년]] 이후 순손실의 증가를 차입금으로도 감당하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2019년]] 12월 포괄적 주식교환 방식으로 [[두산중공업]]의 완전 [[자회사]]로 편입된 후 [[상장폐지]]되었다. 두산건설이 처해 있는 문제의 원인이자 핵심은 단 한 문장으로 요약된다. [[일산 두산위브 더 제니스]]의 [[미분양]]에 따른 엄청난 누적손실.[* [[아파트]]의 경우 [[2020년]] [[12월 17일]] '''입주 후 7년만에''' 완판되었으나, 상가는 [[코로나19]]가 겹치면서 미분양이 계속 쌓여 있다.] 결국 [[2020년]] 부실자산을 [[물적분할]]하여 밸류그로스에 이전하고, 밸류그로스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4665266|기사]] [[대우산업개발]]이 인수 의향을 밝히고 우선협상 대상자가 되었으나 2,000억원 이하의 가격을 제시하면서[[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20081414544874022|#]] 결국 무산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두산중공업은 두산건설의 경영권을 더제니스홀딩스 유한회사에 양도한다고 공시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두산중공업 주식을 매각한 것이 아니라, 더제니스홀딩스가 두산중공업으로부터 두산건설 주식을 현물출자받고 두산건설의 신주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대주주가 된 것인데다, 더제니스홀딩스의 신주인수 대금 중 1200억원은 결국 두산그룹에서 나온 돈이고[* 여기까지는 시장에서 종종 일어나는 거래다. 두산건설이 워낙에 부실덩어리였기 때문에, 원매자인 두산그룹에게 리스크를 함께 부담하자거나, 함께 돈을 묻자는 등 재무 리스크에 대한 책임을 요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산중공업이 신주발행되는 주식에 대한 우선매수권을 갖기 때문에, 언제든지 두산중공업이 두산건설의 최대주주로 다시 올라설 수 있다. 이 때문에 실질은 투자유치라고 보는 것이 맞다.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1/11/24/0001|두산건설, '매각'도 '경영권 이전'도 애매한 이유]] == 역대 로고 == || [[파일:고려산업개발_로고.png|width=100%]] || [[파일:고려산업개발.jpg|width=100%]] || [[파일:두산건설 옛로고.jpg|width=100%]] || [[파일:두산 로고.svg|width=100%]] || [[파일:두산건설 CI.svg|width=100%]] || || [[1976년]] || [[2004년]][* [[2006년]] 두산건설로 사명이 변경되기 전까지 썼던 네이밍이다.] || 2006년 || [[2022년]] || [[2022년]] [[11월 16일]] ~ || [[2021년]] 그룹에서 계열분리된 이후에도 두산의 로고를 그대로 사용했다가, [[2022년]] [[11월 16일]]부터 두산 로고는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한글로고만 사용하고 있다. == 역대 임원 == === 통합 전 === ==== 구 두산건설 ==== * 회장 * 한상억 (1979/1983~1987) * [[박용곤]] (1981~1991) * 대표이사 회장 * [[박용오]] (1998~2004) * 민경훈 (2002~2003) * 대표이사 부회장 * 민경훈 (1995~2002) * 강문창 (2003~2004) * 대표이사 사장 * 한상억 (1960~1964/1966~1979) * 정의화 (1964~1966) * 오세정 (1979~1985) * 고종진 (1985~1989) * 민경훈 (1989~1993) * 정한균 (1993~1996) * 강문창 (1997~2003) * [[박용만(기업인)|박용만]] (1998~2003) * 김홍구 (2003~2004) * 대표이사 부사장 * [[박용만(기업인)|박용만]] (1998) * 김홍구 (1999~2003) ==== 구 고려산업개발 ==== * 대표이사 회장 * 양봉웅 (1982~1989) * 이진호 (1990~1991/2000) * 곽삼영 (1991~1994) * 대표이사 사장 * [[이명박]] (1976~1979) * [[정몽우]] (1979/1982~1989) * 양봉웅 (1979~1982) * 유인균 (1994~1996) * 김주용 (1996~2000) * 정상진 (2000~2001) * 대표이사 부사장 * 장기남 (1989~1994) * 법정관리인 * 도영회 (2001~2004) === 통합 후 === * 대표이사 회장 * [[박용오]] (2004~2005) * 박용현 (2007~2009) * [[박정원]] (2009~2013) * 부회장 * [[박정원]] (2005~2009) * 대표이사 부회장 * [[정지택]] (2007~2008) * 대표이사 사장 * 김홍구 (2004~2006) * 경창호 (2005~2006) - 前 (주)[[두산 베어스]] 사장. * 정지택 (2006~2007) * 김기동 (2007~2011) * 최종일 (2012~2013) * 양희선 (2013~2015) * 이병화 (2015~2020) * 김진호 (2020~) * 대표이사 부사장 * 김준덕 (2004~2005) * 김병구 (2006~2007) * 채희수 (2007~2009) * 김영식 (2010~2011) * 송정호 (2014~2016) * 곽승환 (2017~2019) * 대표이사 전무 * 송정호 (2011~2014) * 곽승환 (2016~2017) * 김진설 (2019~) == 특징 == [[아파트]] 브랜드로는 [[두산위브]](We've)가 있으며, 프리미엄 아파트나 고층 아파트에는 두산위브 뒤에 '더 제니스'를 붙여서 '[[두산위브]] 더 제니스'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오피스텔]]에는 '센티움'을 붙여서 '두산위브 센티움'이라고 한다. 단, 예외인 경우도 있다. 김해의 센텀 두산위브 더 제니스는 주상복합도 아니고 고층 아파트나 프리미엄급 아파트도 아닌데 더 제니스가 붙었으며, 부산 범천동 두산위브 센티움은 오피스텔이 아닌데 센티움이 붙었다. 두산위브 브랜드의 인지도는 [[대기업]] 건설사 브랜드치고는 그리 높지 못한 편인데, 그렇다고 명색이 대기업 브랜드라 인지도나 선호도가 딱히 낮지도 않은, 애매한 위치의 상태이다. [[신분당선]]의 운영사인 [[신분당선(기업)|신분당선주식회사]]와 [[네오트랜스]]의 최대주주이다. 하지만 [[지주회사]] [[두산]] - [[두산중공업]] - 두산건설 - 네오트랜스의 증손자회사 관계라 [[공정거래법]]에 저촉되어 [[공정거래위원회]]로 부터 [[공정거래법]]에 저촉된다는 경고를 받았다. 그래서 두산 측에서는 [[네오트랜스]]를 매각하려 하였으나 번번히 실패하여 [[2013년]] 과징금을 내야 했다. 두산그룹에서 네오트랜스는 애물단지인 모양새.(...) 다른 대기업 건설사들과 달리 아파트를 지을때 입지 선정에 대해 아쉬운 평가를 남긴 부분이 많다. 건설 경기가 불황이긴 하지만, 지방에서 착실하게 실력을 쌓아온 [[호반건설]], [[중흥건설]], [[반도건설]], [[계룡건설]] 등 지방 중견 건설사들이 수도권 분양에 성공하며 성장하는 동안 대기업이라 브랜드 파워도 있고 인지도도 있는 두산건설은 미분양만 수천세대를 떠안았다. 안 뜰 곳, 인프라가 부족한 곳에만 짓고 분양을 해댔으니 분양실적이 엉망인건 뻔한 상황이었다. 그 대표적 예시가 [[일산 두산위브 더 제니스]]. 물론 모든 두산위브 아파트가 입지가 좋지 않은것도 아니며 오히려 위치가 좋은 두산위브 아파트들도 많지만 입지가 좋지 못한 곳에 건설된 단지가 많은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 특이하게도 이형압출외부컬러창호(ASA)[* 통칭 검은창호]를 전체가 아닌 2~4층까지만 적용하는 현장이 많다.[* [[대야역 두산위브 더 파크]], 대곡역 두산위브, 남양주 두산위브 트레지움 등] 구형 건축물로 구단 이름을 딴 '두산베어스타워'라는 오피스텔+주상복합아파트 결합형도 있다. == 관련 문서 == * [[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 * [[범어동 두산위브 더제니스]] * [[해운대 동백 두산위브 더제니스]] * [[두산위브 더제니스 하버시티]] * [[사직 두산위브 더제니스]] * [[일산 두산위브 더제니스]] * [[청계천 두산위브 더제니스]] [[분류:두산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