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두산)] [목차] == 개요 == [[사전(책)|사전]]의 한 종류이다. 1984년, [[동아출판사]]에서 총30권으로 제작한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이 그 시초이다. 1985년 동아출판사가 [[두산그룹]]에 인수되고, 1996년에 사명을 변경한 두산동아에서 국적있는 백과사전을 목표로 하여 발간한 재개정판의 제목이 '두산세계백과사전'이다. 이 재개정판은 1990년대, 그러니까 20세기에 한국문화의 집대성에 이바지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인터넷이 없던 시절 동아백과 32권 전질은 엄청난 정보의 보고이긴 했다. 특히 [[브리태니커]]에서 커버할 수 없었던 한국의 근현대 자료들이 엄선되어 수록되어 있었다.] 2000년 1월 [[CD]]와 [[인터넷]]과 통합을 위해 새로운 개념의《[[http://www.doopedia.co.kr/|두산세계대백과사전 엔싸이버]]》가 발간되어 최신 자료로 업데이트 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양은 늘어난다. 두산동아가 [[두산]]으로 통합되었다가 다시 분사될 때, 잡지 부문(두산매거진)과 백과사전에 대한 권리는 분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고 그대로 두산에 남았다. 그 덕분에 2014년 두산동아가 [[YES24]]에 매각되어 더이상 두산 계열사가 아닌 요즘에도 백과사전은 여전히 doopedia라는 이름으로 두산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참고로 현재는 더이상 책자나 CD제작은 하지 않고 있으며, 웹 상에서만 자료를 제공 중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은 [[네이버 지식백과]]에도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는 두산백과 외의 다른 사전 콘텐츠도 제공하고 있다.] 다만 종이책 시절 자료에 비해 축약된 자료를 제공하는 감은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애니메이션 관련한 작품들도 사전에 많이 기재되었다는 점인데, 예를 들어서 [[에반게리온]] 같은 작품들도 올라올 정도. 순수학문 이외의 분야에서도 많은 글들을 기재해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일개 초등학교나 [[행정동]]/[[법정동]] 정보가 가장 풍부하다. 현재도 계속해서 각종 사전 컨텐츠와 테마를 추가하고 있지만, 갈수록 신뢰도는 떨어지고 있다. 가장 잘 알려졌지만 사실과 다른 내용이나 글을 출처로 틀린 내용을 기재한 부분들이 여럿 있다. 그러나 여전히 자료의 신뢰도는 [[위키백과]]나 [[나무위키]] 등 공신력을 항상 보장할 수 없는 누구나 편집가능한 위키(Wiki) 보다는 '''당연히''' 우위에 있는데, '''정식 백과사전은 각 분야의 전문가인 '저자'가 본인의 이름을 걸고 저술, 편집하기 때문이다.'''[* 애초에 위키백과나, 나무위키를 포함한 위키 사이트들은 (해당 위키 사이트를 안다는 전제 하에) 초등학생도 수정 가능하며, 심지어 나무위키는 출처를 달아야만 하는 의무조차 없기 때문에 공신력이 떨어진다.] 적지않은 자료영상이 실제 사진이 아니라 디지털 아트인데, '''외부 출처 자료를 [[트레이싱]]해놓은 것이다.''' 허락이라도 받은 건지 불명이지만 굳이 좌우반전시켜놓고 저작권 딱지([[ⓒ]])를 붙여놓은 것으로 보아 무단으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비교 1([[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91209|두산]] [[https://www.google.com/imgres?imgrefurl=https://www.pinterest.com/pin/382594930842135390/&tbnid=GMrXv13Zolsx9M&docid=-IYNC260YXj7QM|원본]]), 비교 2([[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3449|두산]] [[https://www.takuyamorihisa.com/gallery/animalia/arthropoda/malacostraca/decapoda/atelecyclidae/erimacrus/isenbeckii/e_isenbeckii.html|원본]]). 비교 1에 나온 종인 [[왕부채게]]처럼 좌우비대칭인 생물은 좌우반전시켜 놓은 탓에 뜬금없이 좌우 집게 크기가 바뀌는 등 부정확해져서 자료 신뢰도까지 추가로 깎아먹는다. [[표준국어대사전]]을 편찬할 때 바탕이 되는 백과사전이다. [[저작권법]]을 준수하는 자료이므로 사용할 때에는 요주의. 보통 [[위키백과]]와 같은 공영게시물에 일부 단문을 인용한 정도로 시비를 걸지는 않겠지만, 어떤 이유로 걸리면 위험할 수 있다. 만약에 두산백과사전이 한국어 위키백과에 자료를 제공해 줬다면 한국어 위키백과가 타 언어판 위키백과에 비해 부실할 일은 없었을 것이다. 사진정보는 최근 자료가 잘 반영되어 있지 않다. 특히 지리 부분에서 잘 드러나는데,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극초반 자료가 아직도 올라가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 때문인지 [[철도 동호인]], [[버스 동호인]], [[지리덕후]]들은 웬만한 고전짤들을 여기 두산백과에서 퍼간다.] [[분류:두산]][[분류:백과사전]][[분류:위키]][[분류:대한민국의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