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width=25]] {{{#006b7f,#f15a63 '''두원공과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include(틀:경기도의 전문대학)] [include(틀:안성시의 대학)] [include(틀:파주시의 대학)] [include(틀:두원학원)] }}} || ---- ||<-3> {{{+1 {{{#ffffff '''두원공과대학교'''}}} [br] {{{#ffffff 斗源工科大學校 }}}}}} [br] {{{#ffffff '''Doowon University of Technology'''}}} || ||<-3>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width=260]] || ||<-2> {{{#ffffff '''표어'''}}} ||{{{#006b7f '''Dreams Come true with Doowon!'''}}} [br] {{{#006b7f '''두원, 꿈은 이루어진다!'''}}} || ||<-2>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2> {{{#ffffff '''주소'''}}} || {{{#ffffff '''안성캠퍼스'''}}}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안성)|죽산면]] 관음당길 51 || || {{{#ffffff '''파주캠퍼스'''}}}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주라위길 159 || ||<-2> {{{#ffffff '''분류'''}}} ||2/3/4년제 사립전문대학 || ||<-2> {{{#ffffff '''개교'''}}} ||1994년 3월 || ||<-2> {{{#ffffff '''총장'''}}} ||[[임해규]] || ||<-2> {{{#ffffff '''재단'''}}} ||학교법인 '''두원학원''' || ||<-2> {{{#ffffff '''재학생 수'''}}} ||학부생 7,381명 ^^(2020)^^ || ||<-2> {{{#ffffff '''공식 웹사이트'''}}} ||[[http://www.doowon.ac.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https://blog.naver.com/doowontechuniv|[[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5]]]] [[https://www.facebook.com/Doowontechuniv|[[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instagram.com/doowon_univ?igshid=166br016erq2z|[[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pf.kakao.com/_mftKT|[[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channel/UCClt02MPIUidHyWZjd2hEy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3> '''{{{#white 안성캠퍼스}}}''' || ||<-3> [include(틀:지도, 장소=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너비=100%, 높이=150px)] || ||<-3> '''{{{#white 파주캠퍼스}}}''' || ||<-3> [include(틀:지도, 장소=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너비=100%, 높이=15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MccfplNFteI,width=800,height=480)]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공식 홍보영상'''}}}||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안성)|죽산면]] 관음당길 51(안성캠퍼스), 경기도 [[파주시]] [[파주읍]] 주라위길 159(파주캠퍼스)소재의 2/3/4년제 사립 전문대학. 학훈은 ''' '미래로 세계로·진리·창의·봉사' ''' 1993년 기계과, 자동차과, 열냉동관리과, 전기과, 전자과 등 총 5개 학과로 구성된 두원공업전문대학의 설립 인가를 받아 1994년 3월 개교한 두원공업전문대학을 모체로 초대 학장은 장병규 박사로 개교한 지 6개월 후에 컴퓨터그래픽스과, 전파통신과가 신설되었으며, 전기과·전자과의 인원을 증원하였다. 같은 해 8월 [[중국]]의 랴오닝 대학(遼宁大学)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1998년 두원공과대학으로 학교 이름을 바꾸었으며, 2005년 2월 삼성전자와 산학협약을 체결하였다. 2007년 9월 관광경영통역과, 항공서비스과가 신설되었으며, 이듬해인 2008년 2월 파주 캠퍼스가 개교하였다. 2012년 현재의 두원공과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재단인 두원학원은 [[현대자동차]] 등지에 자동차 부품(연료펌프, 버스 에어컨 등)을 납품하는 [[두원그룹]]으로서, 공과대학 외에도 같은 도시에 '''안성두원공업고등학교'''(구 안성공업고등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사실 같은 재단 치고 두 학교끼리의 관계가 상당한 편이다. 2012년 LINC 사업을 시작으로 WCC, 세계로 프로젝트 같은 굵직한 사업을 많이 따내고, 당시 이준식 교육부장관 겸 사회부총리가 취임 후 첫 번째로 방문한 전문대학교라는 위용을 뽐내며 당시 정권과의 탄탄한 연계를 자랑했다. 2021년 학교의 영문 명칭이 Doowon University of Technology으로 변경되었다. 2022년 정부재정지원대학 지정평가 결과, 정부재정지원대학으로 선정됐다. == CI 및 마스코트 == === CI === CI 가이드라인은 [[https://www.doowon.ac.kr/kr/616/subview.do|학교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UI.svg|width=50%]]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로고.svg|width=100%]]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엠블럼 (2020~)'''}}}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워드마크 (2020~)'''}}}|| === 캐릭터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두이 소개.pn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두이 (2020~)'''}}}|| ==== 안성캠퍼스 ==== || 간호학과 || 작업치료과 || 재활운동과학과 || 보건의료행정과 || || [[파일:간호학과 두이.png|width=50%]] || [[파일:작업치료과 두이.png|width=60%]] || [[파일:보건건강관리과.png|width=50%]] || [[파일:보건의료행정과 두이.png|width=65%]] || || 보건복지행정과 || 유아교육과 || 항공서비스과 || 군사경호학과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보건복지행정과.png|width=50%]] || [[파일:유아교육과 두이.png|width=50%]]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항공서비스과.png|width=50%]] || [[파일:군사학과 두이.png|width=50%]] || || 기계공학부 || 기계설계과 || IT융합학부 || 건축디자인학과 || || [[파일:기계공학과 두이.png|width=50%]] || [[파일:기계설계과 두이.png|width=80%]]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IT융합학부.png|width=80%]] || [[파일:건축디자인학과 두이.png|width=50%]] || || 자동차손해보상과 || 전기공학과 || 전기시스템과 || 시각디자인과 || || [[파일:자동차손해보상과 두이.png|width=50%]] || [[파일:전기공학과 두이.png|width=70%]]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전기시스템과.png|width=60%]] || [[파일:시각디자인 두이.png|width=70%]] || || 자동차과 || 스마트반도체학과 || || [[파일:자동차과 두이.png|width=55%]]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스마트반도체학과.png|width=55%]] || ==== 파주캠퍼스 ==== || 방송영상학부 || 미디어문예창작학부 || 공연영상예술학부 || 실용음악학부 || || [[파일:방송영상제작 두이.png|width=65%]] || [[파일:방송작가전공 두이.png|width=50%]] || [[파일:방송연예전공 두이.png|width=50%]] || [[파일:실용음악과 두이.png|width=50%]] || || 뷰티스타일리스트학부 || 디지털미디어과 || 사회복지보육학부 || 호텔관광과 || || [[파일:뷰티아트과 두이.png|width=55%]]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캐릭터 디지털미디어과.png]] || [[파일:사회복지보육과 두이.png|width=65%]] || [[파일:호텔관광과 두이.png|width=50%]] || || 조리제과제빵학부 || 병원의료행정과 || 건축인테리어학과 || 브랜드디자인과 || || [[파일:호텔조리과 두이.png|width=50%]] || [[파일:병원의료행정과 두이.png|width=50%]] || [[파일:건축인테리어학과 두이.png|width=60%]] || [[파일:브랜드디자인과 두이.png|width=65%]] || || 디스플레이전자과 || 전기자동차과 || AI융합과 || 스마트IT학과 || || [[파일:디스플레이전자공학과 두이.png|width=65%]] || [[파일:스마트자동차과 두이.png|width=50%]] || [[파일:메카트로닉스공학과 두이.png|width=65%]] || [[파일:스마트IT학과 두이.png|width=65%]] || || 컴퓨터공학과 || || [[파일:컴퓨터공학과 두이.png|width=85%]] || == 학과 == === 안성캠퍼스 === * 간호보건계열 * 간호학과(4년제) * 작업치료과(3년제) * 재활운동과학과(2년제) * 보건의료행정과(2년제) * 보건복지행정과(2년제_야간) * 공학계열 * 소방안전관리과(2년제) * 소방안전관리과(2년제_야간) * 반도체기계설계과(2년제) * 전기공학과(2년제) * 전기공학과(2년제_야간) * 자동차과(2년제) * 반도체과(3년제) * 반도체과(3년제_야간) * 사범계열 * 유아교육과(3년제) === 파주캠퍼스 === *의료보건복지계열 * 응급구조과(3년제) * 병원의료행정과(2년제) * 스포츠재활과(2년제) * 사회복지과(2년제) * 사회복지과(2년제_야간) *공학계열 * 반도체디스플레이과(3년제) * 모빌리티소프트웨어과(3년제) * 전기자동차과(3년제) * 자동차튜닝과(2년제_야간) * 인공지능과(3년제) * 컴퓨터소프트웨어과(3년제) *디자인계열 * 건축인테리어학과(3년제) * 건축인테리어과(2년제_야간) * 브랜드디자인과(3년제) * 문화예술창작과(2년제_야간) *호텔조리계열 * 호텔관광경영과(2년제) * 호텔조리과(3년제) * 제과제빵과(3년제) *예술창작계열 * 연기과 연극연기전공(3년제) * 연기과 방송연예전공(3년제) * 실용음악과(3년제) * 방송영상과(3년제) * 미디어문예창작과(3년제) * 뷰티아트과(2년제) * 게임컨텐츠과(2년제) * 자유전공학과(2년제) == 교통 == === 안성캠퍼스 === 셔틀버스나 자가용을 이용해 다니는 방법이 있고, 시내에서는 [[안성 버스 370|370]], [[안성 버스 380|380]]번이나 [[안성 버스 37|37]]번을 타면 갈 수 있다.[* 단, 교내로는 370, 380번만 들어오고 37번은 관음당길 노상 정류소에서 승차해야 한다.] 배차 간격은 각각 30분이다. 그 외에도 이천으로 가는 [[평택 버스 8203|8203]]과 [[서울남부터미널]], [[동서울터미널]]에서 죽산터미널을 경유하여 학교로 다이렉트로 들어오는 시외버스 노선도 존재한다. 2018부터 등/하교 무료 셔틀버스 운영을 강화하는 등 학생 교통편의 개선에 이전보다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 === 파주캠퍼스 === 경의중앙선 [[파주역]]에서 10분 정도 걷거나, 버스는 [[파주 버스 30|30번]], [[파주 버스 600|600번]]을 타고 주라위.봉암1리마을회관 정류소혹은 두원공대 정류소에서 하차하여 등교를 할 수 있다. 2021년부터는 파주(두원대학)역 앞에서 캠퍼스까지 등교시간에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대학까지 편하게 등교를 할 수가 있다. == 특징 == * 경기 남부, 북부의 중요 거점 전문대학이다. * 안성캠퍼스 내에는 두원공과대학이 운영하며 [[두원그룹]]의 기술, 개발 부문을 담당하는 두원기술연구소가 있어 그쪽에 지원을 나가는 교수도 몇몇 있고, 이 두원기술연구소는 그래도 기업연구소인지라 국내 연구소들 중에서도 나름 규모가 있는 편이다. * 참고로 두 개의 캠퍼스의 성적 반영 방식이 다른데 각 캠퍼스의 성적 반영 방식은 * 3학년 1학기까지의 5개학기 중 가장 우수한 한 학기 성적 반영: 간호과를 제외한 나머지 학과 * 2학년 2학기까지의 전학기 성적 평균 반영: 간호과(1학년 40%, 2학년 60%비율) * 경기도 기능 올림픽이 열리면 항상 장소가 안성두원공고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일부 종목(자동차 정비 등)은 시설이 존재하는 두원공대로 가기도 한다. * 2022학년도부터 졸업학점이 2년제 72학점, 3년제 108학점, 4년제 130학점으로 낮아졌다. == 캠퍼스 == [[https://www.doowon.ac.kr/kr/493/subview.do|안성캠퍼스맵]] [[https://www.doowon.ac.kr/kr/499/subview.do|파주캠퍼스맵]] 현재 2개의 캠퍼스를 운용하고 있으며, 본교는 안성캠퍼스가 그 역할을 맡고 있다. 참고지만 각각의 캠퍼스의 특성을 설명하자면, 안성캠퍼스는 전통적으로 인기가 많았던 학과들이 많이 있는 편이고, 파주캠퍼스는 공학보다는 예체능에 관련된 학과가 많으며, 공학은 스마트IT 및 디스플레이 공학 위주의 학과가 많은 편이다. === 안성 캠퍼스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전경 그래픽.jpg]]||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 안성캠퍼스는 본관에 비해 도서관이 상당히 큰 것이 특징이다. 사실 캠퍼스 크기는 크지만 그에 비해 건물들은 좁은 편이다. 교내 식당은 크게 2개가 있으며, 본관 지하에 [[GS25]]가 입점되어있다.[* 본래 [[훼미리마트]]를 거쳐 [[CU]]가 입점되어 있었으나, 그 이후에 [[GS25]]로 업체가 변경된 것이다.] 사실 본관은 그렇게 작지는 않지만, 대기업 현대차에 부품을 납품하는 두원그룹의 자본력이 상당한지 실습관이 더 크고 여러 가지 값 나가는 실습 기구들이 상당히 많이 배치되어있다. 물론 [[두원공업고등학교|같은 재단에 있는 고등학교]]도 실습실은 크다. * 안성캠퍼스 내 도서관 규모는 상당한 편으로, 인근의 [[한경대학교]] 도서관 둘 다 가본 사람 말로는 안성캠퍼스 내 도서관이 상당히 큰 편이다. 전공 서적도 많고 디자인 관련 서적이 서가대에 빼곡이 채워져있다. 단, 그만큼 서가 한켠에는 [[만화책]]도 상당히 많은 편이다.[* [[진키 시리즈|진키 익스텐드]] 등 일반적으로는 쉽게 보기 힘든 만화까지 있었던 수준으로 만화책도 별의 별게 다 있었을 정도. 심지어는 라이트노벨도 들여뒀는데, 정말 운이 좋을 경우에는 [[델피니아 전기]]나 [[풀 메탈 패닉!]] 등 이제는 중고서점에서조차 쉽게 구할 수 없는 구작 라이트노벨도 찾을 수 있을 정도였다. 과거에는 도서관 바로 옆에 DVD 감상실도 있었고, 그 안에 구작 영화나 드라마는 물론 애니메이션 DVD까지 폭 넓게 구비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없어진 듯. 참고로 이 DVD 감상실의 경우 이 시점에서도 절판이 되어서 구할 수 없었던 [[신기동전기 건담 W]] 더빙판 전편은 물론이고 그 시기에 국내에 발매되었던 애니메이션 DVD를 포함하여 90년대에 잘 나갔던 애니메이션들까지도 보유하고 있었으며, 감상용 스크린의 경우 당시 [[PlayStation 2]]와 함께 주로 쓰였던 모델로 유명한 [[소니]]의 MFM-HT95 모델을 각 테이블마다 사용했었다. 단 도서관과는 달리 대출을 할 수 없었고 학생증을 확인한 뒤 내부에서 감상하고 반납을 해야 했었던 구조.] * 학교 뒤편에는 [[토스트]]집을 겸비한 건물이 있고, 아주 큰 편의점이 2개가 있다. 또한 각종 원룸 건물들이 즐비했다가 2020년 현재 토스트집이 사라지고 원룸이 들어섰다. 또한 식당들과 술집들도 꽤 있는 편. 학교 정문이나 옆에서 보면 도로와 논밭이 전부인데 비해 학교 뒤편은 그래도 대학로 분위기를 띈다. * 학생식당에는 키오스크로 식권을 2000원에 판매하고 있다. ==== 본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본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본관'''}}}|| || 1층 || 학사운영처, 교육과정지원센터, 학생복지처(장애학생지원센터), 입학지원처, 관리처(총무팀), 산학취업처, 전자계산소, [[https://counsel.doowon.ac.kr/counsel/index.do|학생상담센터]], 보건실, 철산배움관, 예비군대대 || || 2층 || 정보통신보안공학과, 스마트소프트웨어과, 세무회계과, 동아리실, 스터디실 || || 3층 || 총장실, 비서실, 기획관리실, 기획처, 관리처 || || 4층 || 전기공학과 || ==== 철산학술정보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철산학술정보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철산학술정보관'''}}}|| ||
1층 || 기내실습실, 휴게공간, 도서관 || || 2층 || [[https://library.doowon.ac.kr/main.do?action=main|도서관]], 항공서비스과 || || 3층 || 도서관 || || 4층 || 유아교육과, 아동보육과, [[https://news.doowon.ac.kr/|학보사]] || || 5층 || 강의실, 실습실 || ==== 공학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공학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공학관'''}}}|| ||
1층 || 실습실 || || 2층 || 강의실, 실습실, 휴게공간 || || 3층 || 기계공학과, 자동차과, 자동차손해보상과, 휴게 공간 || ==== 간호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간호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간호관'''}}}|| ||
1층 || 간호학과, 강당, 강의실, 실습실 || || 2층 || 실습실 || || 3층 || 스터디룸, 강의실, 실습실 || || 4층 || 강의실, 실습실, 휴게 공간 || ==== 두원학사 (기숙사)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기숙사.pn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기숙사'''}}}|| ||
1층 || 매점, 그라찌에, 사생식당, 남학생 라운지, 스터디 카페 || || 2층 || 남학생 생활관, 행정실, 무인택배함 || || 3층 || 남학생 생활관, 여학생 라운지 (계단 입구) || || 4층 || 여학생 생활관 || ==== 디자인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디자인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디자인관'''}}}|| ||
1층 || 이론 시험장 (자동차과), 강의실 || || 2층 || 강의실, 실습실, 휴게 공간 || || 3층 || 강의실, 실습실, 휴게 공간 || || 4층 || 강의실, 실습실, 휴게 공간 || || 4층 || 건축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과, 보건의료행정과, 보건건강관리과, 작업치료과, 스터디룸 || ==== 학생회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학생회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학생회관'''}}}|| ||
1층 || 그라찌에, 학생 식당 || || 2층 || 교직원 식당 || || 3층 || 기숙사 || ==== 산학협력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산학협력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산학협력관'''}}}|| ||
지하 1층 || 강의실, 실습실 || || 1층 || 유니테크 행정실, 강의실, 실습실 || || 2층 || 강의실, 실습실, 휴게 공간 || || 3층 || 강의실, 실습실 || ==== 창업보육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창업보육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창업보육관'''}}}|| ||
1층 || 실습실 || || 2층 || 실습실 || || 3층 || 건축설비소방과, 기계설계과 || ==== 천마체육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천마체육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천마체육관'''}}}|| ||
1층 || 군사학과, 총학생회, 학회연합회, 동아리연합회, 로즈운동본부, 헬스장, 강의실, 체육관 메인홀(경기장) || || 2층 || 군사학과 기숙사, 휴게 공간 || ==== 자동차 실습동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자동차실습동.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자동차 실습동'''}}}|| ||
1층 || 자동차 실습실 || ==== 교내 승강장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교내실습장.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안성캠퍼스 교내승강장'''}}}|| ||
1층 || 버스 매표소, 휴게 공간, 그라찌에 || === 파주캠퍼스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전경 그래픽.jpg]]||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 2013년에 ASE 코리아에서 9억원 상당의 반도체 장비를 기증받아 본관 지하 1층에 40여평 규모의 반도체공정센터 클린룸이라는 것을 설치했다.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23415|#]] * 파주캠퍼스의 [[도서관]]은 산학관 1층에 있는 전자도서관과 철산관 1층에 있는 도서관으로 나뉘어 있으며 총 두 곳이다. * 파주캠퍼스 학생식당은 (주)네이처후레쉬에서 운영하고 있다. 철산관 지하 1층에 있으며 2023년 현재 학생식대는 4000원이며. 이중 3000원은 대학에서 지원한다. 가격대비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다. * 학생식당에는 자판기로만 식권을 팔고 있다. * 산학관 1층에 안성 캠퍼스처럼 [[GS25]]가 입점해 있다. * 파주캠퍼스는 2008년 개교되어 본관, 산학관, 철산관, 기숙사, 대운동장, 풋살장, 농구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2년 체육관이 완공되었다. * 파주캠퍼스 기숙사는 지어진 지 얼마 안 된 건물이라 깨끗한 편이다. 방 선호 순서는 2인실>4인실>3인실이다. * 파주캠퍼스 기숙사의 인터넷의 속도는 측정 결과 SK 500메가 회선을 사용한다, 원칙적으로는 새벽 1시에 끊는 것으로 되어있으나 최근엔 끊지 않는다. * 파주캠퍼스 기숙사에 학생 주거공간이 없는 1층을 제외하면 층마다 세탁실이 있는데, 세탁비용은 세탁 1회 1,200원, 건조기 1회 1,200원. * 참고지만 [[기숙사]] 규칙은 안성에서 이어져와서 꽤 많은 규칙이 있지만 오후 11시 점호, 오전 1시 인터넷 차단, AM 10시~PM 3시까지 출입통제(주간학생 제한으로 야간 학생은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최근에는 1시 이후에도 인터넷 사용 가능하고 출입도 자유롭다고 하니 참고. * 파주캠퍼스는 [[LG디스플레이]]와 취업이 연계되는 코스는 이 학교가 세워지기 전인 2006년부터 구축이 되었고, 현재도 파주캠퍼스 뿐만이 아닌 안성캠퍼스에서도 파주캠퍼스보단 적은 편이지만 관련 학과는 몇 명씩 대기업에 보내준다. 사실 파주캠퍼스를 밀 만한 요소는 [[경의선]] [[파주역]]에서 가깝다는 점과 주변 산업 클러스터와 취업 연계가 잘 된다는 점, 그리고 공과대학이라는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많은 예술학과를 꼽고 있다. * 주변 산단 덕택에 디스플레이공학 계열의 아웃풋이 상당히 좋은 축에 속했었다. 다만 가장 많이 들어갔던 LG디스플레이는 채용을 몇 년에 한 번씩 기간을 잡고 몰아서 채용하는 형태여서 채용을 하는 해에는 계열 인원의 절반이 넘게 LG에 취업이 됐지만 반대로 LG디스플레이에서 채용을 안하면 아웃풋의 질이 상당히 떨어지게 되는 부작용이 있었다. LG화학이나 생활건강 같은 LG의 다른 계열사나 포스코같은 회사에서도 추천서가 많이 온다. * 2021학년도 부터는 파주역에서 대학까지 등교시간(월, 화, 수, 목)에 셔틀버스를 운행하여 등교시 학생들의 편의성을 높였다. ==== 본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본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본관'''}}}|| ||
1층 || 파주행정처, AI융합과 || || 2층 || 총장실, 부총장실, 이사장실, 영상회의실, 강의실, 실습실 || || 3층 || 방송영상학부, 디지털미디어과 || || 4층 || 스마트IT학과 || || 5층 || 전기자동차과 || ==== 산학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산학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산학관'''}}}|| ||
1층 || 전자도서관, 대강의실, 멀티플렉스, 편의점(GS25), 그라찌에 || || 2층 || 강의실, 실습실 || || 3층 || 강의실, 실습실 || || 4층 || 디스플레이전자과 || || 5층 || 컴퓨터공학과, 학생상담실, 취업상담실, 보건실 || ===== 산학관 도서관(전자도서관) ===== ||
[[파일:두원공대 전자도서관 컴퓨터 활용공간.jpg]] || ||<:> {{{#f2ece4 '''산학관 도서관 컴퓨터 활용공간'''}}}|| ||[[파일:두원공대 전자도서관 토론 및 휴식공간.jpg]] || ||<:> {{{#f2ece4 '''산학관 도서관 토론 및 휴식공간'''}}}|| * 시설 및 현황 안내 || PC || 30대 || || 스캐너 || 2대 || || 프린터 || 8대 || || 좌석수 || 134석 || || 비도서자료(DVD) || 2,592점 || || 연속간행물(국내) || 30종 || * 위치 [[파일:두원공대 전자도서관 위치.jpg]] ==== 철산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철산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철산관'''}}}|| ||
지하 1층 || 조리제과제빵학부, 학생식당 || || 1층 || 호텔관광과, 도서관, 레이첼홀 || || 2층 || 강의실, 실습실, 도서관 || || 3층 || 실용음악학부, 뷰티스타일리스트학부 || || 4층 || 사회복지보육학부, 병원의료행정학과 || || 4층 || 건축인테리어학과, 브랜드디자인과 || ===== 철산관 도서관 ===== ||
[[파일:두원공대 도서관 1.jpg]] || ||<:> {{{#f2ece4 '''철산관 도서관 전경1'''}}}|| ||[[파일:두원공대 도서관 2.jpg]] || ||<:> {{{#f2ece4 '''철산관 도서관 전경2'''}}}|| * 시설 안내 || 1층 || 추천도서 || 대학교 및 도서관에서 추천하는 권장도서나 꼭 읽어야 하는 교양서적 배치 || || 1층 || Easy Book || 읽기 편한 소설책이나 여행서적 주로 배치 || || 1~2층 계단 || 국내 신간도서 || 국내 최신 서적 배치 || || 2층 || 국외 신간도서 || 국외 최신 서적 배치 || || 2층 || 국내외 서적 || 학습에 필요한 일반 도서 || * 위치 [[파일:두원공대 도서관 위치.jpg]] ==== 철산생활관 (기숙사)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기숙사.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철산생활관 (기숙사)'''}}}|| [[파일:두원공대 철산생활관 전경.jpg]] ||
1층 || 행정실, 휴게실, 장애인실 || || 2층 || 남학생 생활관 || || 3층 || 여학생 생활관 || || 4층 || 남학생 생활관 || * 위치 [[파일: 두원공대 기숙사 위치.jpg]] ==== 자동차 실습관 ==== ||
[[파일: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자동차 실습관.jpg]]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자동차 실습관'''}}}|| ||
1층 || 부품관, 실차관 || ==== 체육관 ==== ||
[[파일:두원공대 체육관 조감도.jpg|width=500]]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체육관'''}}}|| [[파일:두원공대 체육관 위치.jpg]] * 현재 완공되었으며, 3~5층이 체육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개방 및 운영 시간은 09시~21시이며, 두원공과대학교 교직원과 학생들은 별도의 절차 없이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운영 종료) ==== ||<:> {{{#f2ece4 '''두원공과대학교 파주캠퍼스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 2008년 1월 14일에 경기도와 관학협력을 맺었고, 이후부터 매년 5개 분야를 편성하여 학생들을 모집, 교육 중에 있었다. 해당 교육에 들어가는 비용은 경기도에서 전액 부담한다. 이곳에도 전담 강사들이 있지만 이 학교의 교수들도 강의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기본적으로 기숙사가 제공되고[* 본 학교의 기숙사와 같은 곳을 이용하고, 입실할 경우 층은 무조건 2층에 배정된다.], 식사의 경우 이 학교 학생들과는 다른 식당에서 밥을 먹는데, 이쪽의 식당이 단가가 더 높아서 이 학교의 학생식당보다는 질이 더 나은 편이다. 이 센터의 부지 선정 당시 이 학교는 운도 좋았고, 당시 보수정권과는 연계가 상당히 잘 되어있는 편이었다.[* 특히 박근혜 정권과는 연계가 굉장히 잘 되있던 것으로 보인다.] 우선 경기도 북부에는 지금도 대학이 부족하지만 당시에는 지금보다 더 부족한 상태였다. 이런 상황에서 북부 지역 의원들이 경기도 북부지역에 경기도 기술학교의 분교에 대한 설립을 약속받았지만 진행은 지지부진한 상황에서 2008년 2월 이 학교의 파주캠퍼스가 개교되었고, 또 마침 2006년에 LG 디스플레이의 파주 첫 공장인 P6이 가동이 되기 시작된 후 LG디스플레이의 후속 공장들과 협력업체들이 파주 디스플레이 클러스터에 지어지고 입주할 예정이었던지라 이 지역에 기술인력 수요가 많이 생겼고, 또 그럴 예정이었던 때였다. 덕분에 새로운 부지를 선정하고 건물을 따로 짓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과 주변 산단에서의 인력 수요 발생이라는 상황이 맞아 떨어지면서 이 학교가 선정이 됐다. 하지만 경기도와의 협약종료로 2020년 12월 31일부로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는 운영이 종료되었다. == 출신 인물 == * [[박대성]] - 미네르바라는 이름으로 [[이명박]] 정권 당시 [[다음 아고라]]에서 주로 활동하다가 기소되었던 인터넷 인물. * [[장현재]] - 하스스톤 프로게이머 DawN * [[항제|유성환]] - 카트라이더 스트리머 == 사건사고 == 자세한 내용은 [[두원공과대학교 항공서비스과 SNS 예절 사건]] 문서 참고. 자세한 내용은 [[두원공과대학교 갑질 폭로 사건]] 문서 참고. == 같은 재단에 속하는 기업 == * (주)두원 * [[두원공조]] * 두원냉기 * 두원전자 * 두원중공업 [누리호 성공 주역] ④ 두원중공업, 30년 노하우 2·3단 추진제 탱크 개발 IT조선 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7/22/2022072200815.html [[분류:대한민국의 전문대학]][[분류:안성시의 대학교]][[분류:파주시의 대학교]][[분류:1994년 개교]][[분류:두원학원]][[분류:인터넷 밈/기타 분야/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