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다리(신체)]][[분류:발]][[분류:근육]] [include(틀:근육)] ||||
{{{#ffffff ''' ''tibialis posterior'' '''}}}[br]{{{#ffffff ''' ''(뒤정강근, 후경골근)'' '''}}} || |||| [[파일:뒤정강근.jpg|width=100%]][* 같이 그려진 근육은 안쪽의 것이 [[긴발가락굽힘근]](flexor digitorum longus m.), 위쪽의 다리오금에 가까운 근육은 [[오금근]](popliteus m.)이다. 종아리 뒤칸 깊은층 근육 중 [[긴엄지굽힘근(발)|긴엄지굽힘근]](flexor hallucis longus m.)만 뒤정강근 겉에 존재하므로 제거되었다.] || || 이는 곳[br](origin) || 아래쪽 정강뼈 뒷면, 위쪽 종아리뼈 안쪽면[br](posterior surface of lower tibia, medial surface of upper fibula) || || 닿는 곳[br](insertion) || 발배뼈거친면, 쐐기뼈바닥면, 입방뼈 등[br](tuberosity of navicular bone, cuneiform bones base, cuboid bone; etc.) || || 동맥[br](artery) || 뒤정강동맥[br](posterior tibial artery) || || 신경[br](nerve) || 정강신경[br](tibial nerve) || || 기능[br](action) || 발의 발바닥굽힘과 안쪽들림[br](plantar flexion and inversion of foot) || [목차] [clearfix] == 개요 == 뒤정강근(tibialis posterior muscle)은 종아리 뒤칸 깊은층에 존재하는 근육 중 하나로, 그 중에서도 가운데에 위치하는 근육이다. 개정 전 용어는 후경골근([[後]][[脛]][[骨]][[筋]])[* [[뒤 후]], [[장딴지 경]], [[뼈 골]], [[힘줄 근]].]. == 구조 == 이 근육보다 겉쪽에서는 [[긴엄지굽힘근(발)|긴엄지굽힘근]]과 [[긴발가락굽힘근]]의 힘살이 이 뒤정강근을 사이에 두면서 뒤정강근의 일부를 덮으면서 지나간다. 이는곳은 [[정강뼈]] 뒷면의 아래쪽 2/3와 [[종아리뼈]] 안쪽면 중 위쪽 2/3, 그리고 그 사이의 뼈사이막(interosseous membrane)과 근처 근육사이막(intermuscular septum) 일부를 포함한다. 그 후 뒤정강근은 힘줄이 된 이후 다양한 뼈들에 닿는데, 이 닿는곳이 매우 다양하다. 뒤정강근 힘줄이 닿는곳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발배뼈거친면 (tuberosity of navicular bone) * 모든 쐐기뼈들의 바닥면 (base of medial/intermediate/lateral cuneiform bones) * 입방뼈 (cuboid bone) * 2, 3, 4번째 발허리뼈바닥의 발바닥면 (second, third, fourth metatarsal bones base: plantar surface) * 목말뼈의 목말받침돌기 (sustentaculum tail of talus bone) 지배 신경이나 혈액 공급 동맥은 여타 종아리 뒤칸 근육들과 같은 [[정강신경]](tibial n.)과 [[뒤정강동맥]](posterior tibial a.)이다. == 기능 == 발바닥면에 붙으므로 발의 발바닥굽힘을 일으킬 수 있다. 그 외에도 안쪽돌림을 일으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것보다도 가장 중요한 뒤정강근의 기능적 중요성은 무릎 밑쪽의 종아리를 안정화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뒤정강근 힘줄은 발에서 안쪽 아치(medial arch of foot)을 형성하는 뼈들 중 발배뼈(navicular bone) / 2, 3번째 발허리뼈(2nd, 3rd metatarsal bone) / 모든 쐐기뼈들(medial, inntermediate, lateral cuneiform bones) / 목말뼈(talus bone) 등에 닿으므로 안쪽 아치의 경사를 형성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다. 이 근육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대항근]](antagonist)으로 꼽을 수 있는 근육들은 가쪽들림(eversion)을 일으키는 [[긴종아리근]](peroneus longus m.)과 [[짧은종아리근]](pernonus brevis m.)이다. 다만, 이 근육들은 뒤정강근과 똑같이 발바닥굽힘을 일으키므로 완벽한 대항근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