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듄2, other1=RTS게임, rd1=듄 2)] [include(틀:듄 시리즈)] [include(틀:드니 빌뇌브 감독 장편 연출 작품)] ||<-2> '''{{{+1 듄: 파트 2 }}}''' (2024)[br]Dune: Part Tw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une_Part_Two_Main_Poster_KR.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북미 포스터 ▼ [[파일:DUNE part two official poster.jpg|width=100%]]}}}}}} || || '''장르''' ||[[드라마]], [[SF]], [[스페이스 오페라]], [[액션]], [[모험물|어드벤처]], [[판타지]] || || '''감독''' ||[[드니 빌뇌브]] || || '''각본''' ||드니 빌뇌브[br][[존 스페이츠]] || || '''원작''' ||[[프랭크 허버트]] - 소설 《[[듄(소설)|듄]]》 || || '''제작''' ||메리 페어런트[br]케일 보이터[br]패트릭 맥코믹[br]타냐 라푸앵트[br]드니 빌뇌브[br]브라이언 허버트 (기획) || || '''출연''' ||[[티모시 샬라메]][br][[젠데이아]][br][[레베카 페르구손]][br][[조시 브롤린]][br][[오스틴 버틀러]][br][[플로렌스 퓨]][br][[데이브 바티스타]][br][[크리스토퍼 워컨]][br][[레아 세두]][br][[스텔란 스카스가드]][br][[샬럿 램플링]][br][[하비에르 바르뎀]] ,,외,, || || '''촬영''' ||[[그레이그 프레이저]] || || '''편집''' ||조 워커|| || '''미술''' ||파트리스 베르메트|| || '''의상''' ||재클린 웨스트|| || '''음악''' ||[[한스 짐머]] || || '''촬영 기간''' ||[[2022년]] [[7월 4일]] ~ [[2022년]] [[12월 9일]] ||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레전더리 엔터테인먼트]][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MPA No.54589] 워너 브라더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24년]] [[2월 25일]][* IMAX 팬 시사회][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24년]] [[3월 1일]][* [[미국배우조합]] 파업 여파로 기존 2023년 11월에서 2024년 3월로 개봉이 연기되었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2월 28일]][* 2월 27일에 전야제 개봉하였다.][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4년]] [[3월 15일]]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4년]] [[4월 17일]] {{{-2 (재개봉)}}}[* 듄(2021) 포함 연속 상영회이며, 메가박스 한정 재개봉이다. 27일까지 상영한다.] || || '''화면비''' ||[[시네마스코프|2.39:1 (SCOPE)]][br][[IMAX|1.90:1 (IMAX DIGITAL / XTCoLa LASER)]][br][[IMAX#아이맥스 레이저|1.43:1 / 1.90:1 (IMAX GT LASER/70MM)[* 스코프 비율의 화면과 가변 화면비를 가진 다른 IMAX GT 영화와 달리 IMAX GT 비율과 아이맥스 디지털 비율의 가변 화면비를 지원한다.]]] || || '''상영 타입''' ||[[2차원|2D]] | [[IMAX]] | [[4DX]] | [[ScreenX]] | [[Dolby Cinema]] | [[MX4D]] || || '''상영 시간''' ||166분 (2시간 45분 37초) || || '''제작비''' ||'''1억 9,000만 달러'''[* [[https://variety.com/2024/film/features/dune-2-box-office-revive-hollywood-denis-villeneuve-sequel-1235907288/|출처]] 제작비와는 별개로 마케팅비가 1억 달러 이상 추가로 지출되었다고 한다. [[https://variety.com/2024/film/box-office/dune-2-box-office-milestone-400-million-1235944137/|#]]][* 추정되는 손익분기점은 약 5억 달러 수준이라고 한다.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box-office-dune-part-two-younger-adults-audience-1235842993/|#]]] || || '''월드 박스오피스''' ||'''$710,610,347''' ^^(2024년 5월 15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5239678/|기준]])^^ || || '''북미 박스오피스''' ||'''$282,110,347''' ^^(2024년 5월 15일 기준)^^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999,578명''' ^^(2024년 5월 17일 [[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DailyBoxOfficeList.do|기준]])^^ || || '''스트리밍''' ||[include(틀:맥스(스트리밍) 표시)] ([[2024년]] [[6월]]~[[7월]] 공개 [[https://www.ign.com/articles/how-to-watch-dune-2|#]])|| || '''[[영상물 등급 제도|{{{#fff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https://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32&rcv_no=2429592|등급분류 결정내용]]: 주제의 이해도를 비롯하여, 돌덩이로 군인을 내리치는 장면, 칼로 베거나 찌르는 장면, 칼, 총, 전투기를 사용한 검투와 전투 속 살상 묘사, 화염에 불타는 거대 구조물, 시신들이 모래더미 속에 빠져들어가는 모습 등이 있으나 대부분 간접적이거나 간결하게 표현되어 폭력성 및 공포의 수위가 보통인 12세이상관람가[br](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주제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width=40]][[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width=40]])]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미국|[[파일:PG-13 로고.svg|height=20]]]] || || '''링크''' ||[[https://www.dunemovie.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 [[https://facebook.com/dun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dunemovie, 크기=24)] | [[https://instagram.com/dunemovi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tiktok.com/@dunemovie|[[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LONG LIVE THE FIGHTERS''' >''Addaam reshii a-zaanta'' >---- >'''전사들이여 영원하라[* 차콥사어로는 "Yah Hya Chouhada." 영화에서는 "Addam reshii a-zaanta."[[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dune&no=8497|출처]]]''' 2024년 2월 28일에 개봉한 드니 빌뇌브 감독의 [[듄 시리즈]] 실사영화. 2021년 영화 〈[[듄(2021)|듄]]〉의 속편이다. ==# 개봉 전 정보 #== * 2021년 10월 26일, 파트 2의 제작이 확정되었다. 개봉일은 2023년 10월 20일.[[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news/dune-2-greenlit-movie-release-date-1235036655|#]] * 촬영은 빠르면 2022년 가을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빌뇌브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조금 앞당겨서 2022년 7월부터 촬영을 시작한다고 한다. * [[페이드 로타 하코넨]]이 등장한다. 아직까지 정해진 배우는 없다고 한다. [[https://www.empireonline.com/movies/features/dune-spoiler-interview-denis-villeneuve-ending-paul-dreams-and-part-two/|#]] * 드니 빌뇌브는 [[던칸 아이다호]]가 1편과 다른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암시했다. [[https://screenrant.com/dune-2-duncan-idaho-return-sequel-response/|#]] * {{{#!folding 스포일러 소설에서처럼 던칸이 [[골라]]로 부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 다만 원작에서 골라 던컨의 등장 시점은 2권이었고, 본작(파트 2)의 내용은 1권 후반부이다. }}} * 드니 빌뇌브는 인터뷰를 통해 하코넨 가문 비중이 커진다고 말했다. [[https://www.empireonline.com/movies/news/denis-villeneuve-updates-dune-part-two-harkonnen-exclusive/|#]] * 2022년 3월 8일, [[이룰란 코리노|이룰란 공주]] 역으로 [[플로렌스 퓨]]가 협상 중에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variety.com/2022/film/news/dune-part-2-casts-florence-pugh-as-princess-irulan-1235199192/|#]] 이후 캐스팅이 확정되었다. * 2022년 3월 11일, 페이드 로타 하코넨 역으로 [[오스틴 버틀러]]가 협상 중에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s://deadline.com/2022/03/dune-part-two-austin-butler-feyd-rautha-1234975465/|#]] * 2022년 3월 16일, 빌뇌브 감독과 버라이어티지의 인터뷰에 따르면 초기 각본이 완성되었다고 한다. 아마도 계속해서 수정이 들어가겠지만 일단 초안은 나왔기에 [[촬영]]에 들어갈 준비는 끝났다고 한다. 전작보다 아이맥스 카메라로 촬영하는 비중이 늘 것이라고 밝혔다. [[https://variety.com/2022/film/news/denis-villeneuve-dune-2-script-finished-more-imax-1235205376/|#]] * [[샤담 4세]] 역에 [[크리스토퍼 워컨]]이 캐스팅 되었다. * [[마고트 펜링]] 역에 [[레아 세두]]가 캐스팅 되었다. * 2022년 7월 18일, 시놉시스가 공개되었다. [[https://variety.com/2022/film/news/dune-2-filming-full-cast-synopsis-1235319029/|#]] * 2022년 12월 9일, 주인공 폴을 맡은 [[티모시 샬라메]]가 촬영이 끝났음을 알렸다. * 촬영장 모습이 일부 공개되었다. [[https://cafe.daum.net/subdued20club/ReHf/4172051|#]] * 2023년 4월 23일, 시네마콘에서 푸티지 영상과 함께 다양한 정보가 공개되었다. * 완전히 [[IMAX]]로 촬영되었다고 한다. * [[폴 아트레이데스]]는 1편에서는 학생이었다면, 본 영화에서는 리더로 변한다는 언급이 있었다. * [[챠니 카인즈]] 역의 [[젠데이아]]는 이번에는 챠니가 더 이상 꿈 속에서만 머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페이드 로타 하코넨]] 역의 [[오스틴 버틀러]]가 이 영화에서 대머리로 등장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버틀러는 페이드 로타 하코넨이 "정신병적인 연쇄 살인범이자 올림픽 검 마스터[* 원문: Olympic sword-master crossed with a psychotic serial killer]"로 묘사된다고 언급했다. * [[드니 빌뇌브]]는 [[플로렌스 퓨]]가 맡은 이룰란 공주가 본 영화에서 중요한 존재로 등장함[* 원문: a vital piece in the chess game of this story]을 밝혔다. * [[티모시 샬라메]]의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 2023년 5월 4일, 1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81JOj5-xNGc|#]] * 2023년 6월 30일, 2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4JElrZ1WB40|#]] * 2023년 7월 26일, [[2023년 미국작가조합 파업|할리우드 노조 파업 장기화]]로 인해 제작사인 워너브라더스 내부에서 2024년 3월 개봉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https://v.daum.net/v/20230726103200484|# ]] * 2023년 8월 15일,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의 개봉에 맞추어 전국 IMAX관에서 예고편 상영이 시작되었고, 개봉은 11월로 예고되었다. 또한 국내 유일한 IMAX GT관인 CGV 용산아이파크몰의 IMAX관에서는 무려 '''1.43:1의 화면비로의 예고편 상영'''을 개시[* 다만 기존 예고편의 상하를 확장한 확장 비율의 1.43:1이 아닌 좌우를 크롭한 1.43:1을 상영하였다.]하여 관객들의 기대를 몰고 있다. * 2023년 8월 25일, 워너브라더스가 개봉일을 2024년 3월 15일로 개봉을 연기했다. [[https://v.daum.net/v/20230825100940485|#]] * 2023년 11월 18일, 북미 개봉일이 3월 1일로 2주일 앞당겨졌다. * 2023년 11월 27일, 워너브라더스 코리아가 한국에는 2월에 개봉한다고 밝혔다. * 2023년 12월 8일부터 9일까지 드니 빌뇌브 감독이 내한하여 <듄: 파트 1> 무대 인사 진행과 동시에 <듄: 파트 2> 초반 10분 푸티지를 상영하는 시사회가 열렸다. 이는 전 세계 최초로 <듄: 파트 2>가 공개되는 순간이었고, 국내 [[멀티플렉스]] 3사의 플래그십 스토어의 대표 특별관인 [[용아맥]], [[코돌비]], [[월수플]]에서 행사가 진행되었다. 특히 1.43:1의 IMAX GT 비율 상영을 지원하는 용아맥에서는 푸티지 영상 역시 1.43:1의 비율의 영상을 상영하여 팬들의 기대를 한 껏 높이었다. * 용아맥에서 진행된 상영회에서 <듄: 파트 2>의 화면비가 [[시네마스코프|2.39:1]]↔1.43:1 가변 화면비가 아닌 '''1.90:1↔1.43:1''' 가변 화면비임이 밝혀졌다. * 2023년 12월 13일, 3차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BR5YCAxjbwc|#]] * 2024년 2월 15일, 런던 프리미어에 [[안야 테일러조이]]가 참석하며 합류 소식을 알렸다. [[https://variety.com/2024/film/news/anya-taylor-joy-dune-2-role-1235912248/|#]]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Dune: Part Two teaser post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DUNE part two poster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DUNE part two official poster.jpg|width=100%]]}}} || || '''1차 포스터''' ||<-2> '''2차 포스터''' || ||<-3><^|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 2 .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폴 & 챠니 듀오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_Part_Two_Main_Poster_KR.jpg|width=100%]]}}} || || '''1차 포스터''' || '''듀오 포스터''' || '''메인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1204_02301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1204_02335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레이디 제시카.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스틸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페이드 로타 하코넨.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이누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레반.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마고.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바론.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샤담 4세.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Logo.png|width=100%]]}}} || ||<-3><^|1>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폴 아트레이데스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챠니 카인즈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이디 제시카 파트 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거니 할렉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스틸가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페이드 로타 파트 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이룰란 공주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라반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이디 마고트 파트 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하코넨 남작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황제 샤담 4세 파트 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Logo.png|width=100%]]}}} || ||<-3> '''캐릭터 포스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IMAX (Shai-hulud) poster.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IMAX 70mm Film.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IMAX poster.jpg|width=100%]]}}} || ||<-3> '''IMAX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Dolby cinema.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Dolby cinema poster.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une: Part Two ScreenX poster.jpg|width=100%]]}}} || ||<-2> '''Dolby Cinema 포스터''' || '''ScreenX 포스터''' || ||<-3><^|1> {{{#!wiki style="margin: -5px -10px" {{{#!folding 한국 포스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IMAX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돌비 시네마 포스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듄: 파트 2 Dolby Cinema 포스터.jpg|width=100%]]}}} || || '''IMAX 포스터''' ||<-2> '''Dolby Cinema 포스터''' ||}}}}}}}}}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81JOj5-xNGc)]}}} || || {{{#ffffff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4JElrZ1WB40)]}}} || || {{{#ffffff '''2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BR5YCAxjbwc)]}}} || || {{{#ffffff '''3차 예고편'''}}} || ===# 기타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UEix5YSyVQ)]}}} || || {{{#ffffff '''운명을 건 전투의 시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r-RgtEeUc0)]}}} || || {{{#ffffff '''되살아난 전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7NVQQJYAjBU)]}}} || || {{{#ffffff '''티모시&젠데이아의 2024년 새해 인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fA-Y6K84BE)]}}} || || {{{#ffffff '''나는 폴 아트레이데스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v_xwO1AZ868)]}}} || || {{{#ffffff '''운명의 반격은 지금부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WUIsTDPKI4)]}}} || || {{{#ffffff '''주요 장면 미리보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x0SSOpa0I2M)]}}} || || {{{#ffffff '''듄 세계관 1분 요약'''}}}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eqsc1gMe8g)]}}} || || {{{#ffffff '''분노의 복수 시작'''}}}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G-KfJUePyjw)]}}} || || {{{#ffffff '''극장 존재의 이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e-fHSc63W-U)]}}} || || {{{#ffffff '''심장 듄듄한 리뷰'''}}} || == 시놉시스 == >[[샤담 4세|황제]]의 모략으로 멸문한 [[아트레이데스 가문|가문]]의 유일한 후계자 [[폴 아트레이데스|폴]](티모시 샬라메). >어머니 [[제시카 아트레이데스|레이디 제시카]](레베카 퍼거슨)와 간신히 목숨만 부지한 채 사막으로 도망친다. >그곳에서 만난 [[반란군]]들과 숨어 지내다 그들과 함께 황제의 모든 것을 파괴할 전투를 준비한다. >한편 [[반란군]]들의 기세가 높아질수록 불안해진 황제와 [[하코넨 가문|귀족 가문]]은 >잔혹한 암살자 [[페이드 로타 하코넨|페이드 로타]](오스틴 버틀러)를 보내 [[반란군]]을 몰살하려 하는데 > >'''2월, 운명의 반격이 시작된다!'''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폴 아트레이데스|한 소년]]이 [[스파이스]]를 보호하는 [[샤이 훌루드|거대한 생명체]]를 가진 사막의 유목민들의 [[퀴사츠 해더락|구원자]]가 된다. 그 스파이스는 사람들을 여행자, 신비주의자 혹은 미치광이로 만들어 버린다. > ---- >[[구글]] 내 시놉시스 == 등장인물 == || '''배역''' || '''배우 이름''' || '''비고''' || ||<-3> '''[[아트레이데스 가문]]''' || || [[폴 아트레이데스|폴 무앗딥 아트레이데스]] || [[티모시 샬라메]] || [* 프레멘 이름으로 '우슬' 이라고도 불리운다.] || || [[제시카 아트레이데스|레이디 제시카 아트레이데스]] || [[레베카 페르구손]] || || || [[거니 할렉]] || [[조시 브롤린]] || || || [[엘리아 아트레이데스]] || [[안야 테일러조이]] || [* 폴의 예지몽에서만 등장한다.] || ||<-3> '''[[프레멘]]''' || || [[스틸가]] || [[하비에르 바르뎀]] || || || [[챠니 카인즈|챠니]] || [[젠데이아]] || || || 시샤클리 || 수일라 야쿠브 || || ||<-3> '''[[하코넨 가문]]''' || || [[페이드 로타 하코넨|페이드 로타]] || [[오스틴 버틀러]] || || || [[블라디미르 하코넨|블라디미르 하코넨 남작]] || [[스텔란 스카스가드]] || || || [[글로수 라반|짐승 라반 하코넨]] || [[데이브 바티스타]] || || ||<-3> '''[[코리노 가문]]''' || || [[이룰란 코리노|이룰란 공주]] || [[플로렌스 퓨]] || || || [[샤담 4세|황제 샤담 4세]] || [[크리스토퍼 워컨]] || || ||<-3> '''[[베네 게세리트]]''' || || [[가이우스 헬렌 모히암|모히암 대모]] || [[샬럿 램플링]] || || || [[마고트 펜링|레이디 마고트 펜링]] || [[레아 세두]] || || == 등장행성 == * [[아라키스]] * [[기에디 프라임]] * [[코리노 가문|카이테인]] == [[/줄거리 및 탐구|줄거리 및 탐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듄: 파트 2/줄거리 및 탐구)] == 사운드트랙 == ||<-6>
{{{#fff '''Dune: Part Two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 || ||<-6><#e38a3e>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une Part Two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Cover.jpg|width=100%]]}}} || ||<-6> '''음악 : [[한스 짐머|{{{#fff 한스 짐머 (Hans Zimmer)}}}]]''' || ||<-6> '''발매일: 2024년 2월 23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트랙''' || '''제목''' || '''재생시간''' || '''듣기''' || '''비고''' || || 1 || Beginnings Are Such Delicate Times || 8:56 || [[https://youtu.be/acSkvBrflu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2 || Eclipse || 5:13 || [[https://youtu.be/bagHvmvrxG0|[[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듄(2021)|1편]]의 예고편에서 사용되었던 [[핑크 플로이드]]의 [[Eclipse(핑크 플로이드)|Eclipse]]와는 제목만 같다.] || || 3 || The Sietch || 2:34 || [[https://youtu.be/2cIK0rZLRTQ|[[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4 || Water of Life || 3:06 || [[https://youtu.be/B73hoVFoJF8|[[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5 || '''A Time of Quiet Between the Storms''' ^^{{{#e38a3e }}}^^ || 4:21 || [[https://youtu.be/S_fILsQDVgo|[[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메인 테마곡] || || 6 || Harvester Attack || 3:40 || [[https://youtu.be/wtEjsCVRVJ0|[[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7 || Worm Ride || 2:19 || [[https://youtu.be/NENJADSqyY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8 || Ornithopter Attack || 2:10 || [[https://youtu.be/ps94EWFVEfM|[[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9 || Each Man Is a Little War || 1:21 || [[https://youtu.be/KZJ4tATCrE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0 || Harkonnen Arena || 5:22 || [[https://youtu.be/cJrPimwVX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1 || Spice || 0:37 || [[https://youtu.be/d0GoTh8u20o|[[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2 || Seduction || 2:02 || [[https://youtu.be/4t-lw-l4LOk|[[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3 || Never Lose Me || 1:16 || [[https://youtu.be/AupVn7_oRd8|[[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4 || Travel South || 1:10 || [[https://youtu.be/3Ao_z-LpQMc|[[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5 || Paul Drinks || 1:47 || [[https://youtu.be/rcxy60BWxMo|[[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6 || Resurrection || 2:16 || [[https://youtu.be/mhZLj83Fw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7 || Arrival || 1:40 || [[https://youtu.be/EgNFg0c6MhI|[[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8 || Southern Messiah || 5:22 || [[https://youtu.be/weC2y5vDHp0|[[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19 || The Emperor || 1:38 || [[https://youtu.be/2EZw6rUdb68|[[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20 || Worm Army || 3:33 || [[https://youtu.be/D39TrjDnFJk|[[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21 || Gurney Battle || 3:25 || [[https://youtu.be/mfsvt6v1j4E|[[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22 || You Fought Well || 1:42 || [[https://youtu.be/iw2dZl-ZukY|[[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23 || Kiss the Ring || 3:12 || [[https://youtu.be/zUjRNqx0Xfs|[[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 24 || Only I Will Remain || 6:44 || [[https://youtu.be/f9bpqgMoGZw|[[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엔딩 크레딧 곡. 메인 테마곡에 보컬이 약간 적용된 버전이다.] || || 25 || Lisan al Gaib || 6:36 || [[https://youtu.be/HnES5cg-5Rc|[[파일:유튜브 아이콘.svg|height=16]]]] || || ||<-6> {{{-1 '''전체 듣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open.spotify.com/album/1PeYjDmxcRNvxLd5mGHuCC|[[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0]]]] | [[https://music.apple.com/kr/album/dune-part-two-original-motion-picture-soundtrack/1732115750|[[파일:Apple Music 아이콘.svg|width=20]]]] || }}} }}} }}} || OST도 주된 호평 요소로 취급받을만큼 매우 좋은 평을 듣는다. 전작과 중복되는 느낌의 곡도 있고, 오리지널 느낌의 곡도 호평받는다. == 평가 ==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메타크리틱=dune-part-two, 메타크리틱_critic=79, 메타크리틱_user=8.4,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dune_part_two, 로튼토마토_tomato=92, 로튼토마토_popcorn=95,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IMDb=tt15239678, IMDb_user=8.7, IMDb_highlight=display, IMDb_list= IMDb Top 250, IMDb_rank=24, IMDb_date=24년 5월 10일, 레터박스=dune-part-two, 레터박스_user=4.5, 레터박스_list=Letterboxd Top 250, 레터박스_rank=21, 레터박스_date=24년 5월 7일, 알로시네=278742, 알로시네_presse=4.2, 알로시네_spectateurs=4.5, MYmoviesit=2024/dune-2, MYmoviesit_MYMOVIES=4.50, MYmoviesit_CRITICA=3.86, MYmoviesit_PUBBLICO=3.86, 키노포이스크=4540126, 키노포이스크_user=8.7, 야후재팬=デューン 砂の惑星PART2, 야후재팬_user=4.7, Filmarks=99843, Filmarks_user=4.2, 도우반=35575567, 도우반_user=8.3, 무비스=fden15239678, 무비스_user=9.5, 왓챠=mWvqG3e, 왓챠_user=4.2, 키노라이츠=100219, 키노라이츠_light=97.09, 키노라이츠_star=4.1, 네이버영화=듄: 파트2, 네이버영화_audience=8.99, CGV=87947, CGV_egg=96, 롯데시네마=20710, 롯데시네마_user=9.4, 메가박스=23095500, 메가박스_user=9.2, MRQE=dune-part-two-m100147344, MRQE_user=82, 시네마스코어=A, TMDB=693134-dune-part-two, TMDB_user=82, ## 무비파일럿=dune-2--2, 무비파일럿_user=8.5, RogerEbertcom=dune-part-two-movie-review-2024, RogerEbertcom_user=3.5, ## 맥스무비=M000119570, 맥스무비_user=, 씨네21=61093, 씨네21_expert=7.50, 씨네21_user=8.67, 갤럭시시네마=dune-2, 갤럭시시네마_user=8.6, ## GooglePlay무비=, GooglePlay무비_user=, ## 네이버시리즈온=, 네이버시리즈온_user=, 네이버시리즈온_heart=, 파리부시네벌스=dune-col-gezegeni-bolum-iki-filmi, 파리부시네벌스_user=9.5, 엠파이어=dune-part-two, 엠파이어_user=4, 인디와이어=dune-part-two-movie-review-1234955419, 인디와이어_user=C)] SF 장르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과 함께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반지의 제왕]]과 비견되는 열광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IMDB 점수는 개봉 이후 9.0점까지 꾸준하게 상승하며 IMDB Top 250에서 10위에 진입하였다. 이후에는 8.8점으로 하락하며 순위도 15위로 내려갔다. 구체적인 변경 내역은 [[https://250.took.nl/title/tt15239678|기록 사이트(아마 써드파티)]] 참조. 로튼 토마토 평론가 점수는 개봉 이전 97%로 시작해 [[드니 빌뇌브]] 감독 작품 중 역대 최고점을 갱신했다. 템포가 느려 지루하다는 반응이 여럿 나왔던 1편에 비해 2편은 상대적으로 템포가 빠르고 관객들의 수용이 용이해져 1편에 비해 로튼토마토 관객 평도 높아졌다. 국내의 반응은 해외만큼 폭발적이진 않지만 1편에 비해 평론가 평점과 관객 평점은 모두 확실하게 높아졌다. === 호평 === ==== 음악과 영상미 ==== 단연 돋보이는 건 음악과 영상미. 이는 1편과 공유하는 특징으로 [[한스 짐머]]의 웅장한 [[오리지널 스코어]]와 [[드니 빌뇌브]]의 환상적인 영상미가 더해져 압도된다는 호평이 많다. 음악의 경우 과하다 싶을 정도로 크다는 평가가 있었던 전작보다는 자제한 느낌이긴 하지만, 여전히 온몸을 울리는 듯한 사운드트랙이 그 특유의 압도적인 느낌을 잘 전달하고 있다. 영상미의 경우 전작처럼 아트레이데스 가문의 우주선이 이륙하여 [[하이라이너]]를 이용해 우주 여행을 하는 장면처럼 압도적인 스케일의 [[미장센]]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엄청난 스케일의 전투와 장엄한 세계관의 분위기를 담아내는 측면에서는 전작보다 발전했다. 샤담 4세의 우주선은 칼라단의 아트레이데스 우주선이나 하코넨 우주선과 다른 반사광이 있는 금속재질의 원구형 외형으로 등장해 차별점을 이루고, 실제 장소와 결합한 시각효과도 매우 뛰어나다. 특히 후반부에서 프레멘 부대가 [[샤이 훌루드]]를 타고 [[사다우카]] 부대를 공격하는 장면에서는 엄청난 전율을 느낄 수 있다. 후기들을 봐도 대부분 [[IMAX]]와 [[Dolby Cinema]]를 겨냥하고 만든 것 같다는 말들이 나올 정도로 이번 작도 고급 상영관에서 보지 않으면 손해라고 평가받을 정도다. 단순히 음향과 영상미만 좋은 것이 아니라 이런 장면들이 적재적소에 잘 삽입되어 장면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며 캐릭터의 심리를 잘 대변한다. ==== 서사 ==== 메인 빌런인 [[페이드 로타 하코넨]]에 대한 평도 좋다. 원작과 동일하게 미남이면서도 뛰어난 책략을 지닌 남작 후계자로서 시종일관 분위기를 압도하며, 주인공인 [[폴 아트레이데스]]의 대적자로서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해냈다. 다만 페이드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 원작과 다르게 각색한 부분이 꽤 많은데, 이 부분은 원작 팬들에게 호불호가 갈린다. [[오스틴 버틀러]]의 연기력은 대부분 인정하는 편. 페이드 로타가 처음 등장하는 [[투기장]] 장면이 인상깊다는 평이 많은데, 이 장면은 [[적외선]] 카메라로 촬영된 장면으로, 흑백으로만 표현되어 [[기에디 프라임]]의 적막한 환경을 표현함과 동시에 압도적인 영상미를 보여준다. 원작의 핵심인 [[영웅주의]]의 폐해라는 주제, 초인들이 인류에 있어서는 재앙이라는 주제, 지도자들의 결함이 광신적으로 따르는 신도(=[[프레멘]])들에 의해 극대화된다는 주제 모두 영화 속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폴이 [[퀴사츠 해더락]]으로 각성할 때의 연출을 보면 마치 타락하는 것처럼 나오는데, 이후에 폴이 원작에서 어떤 행보를 걸어가는지 생각해보면 알맞는 연출이라 할 수 있다. 챠니만 예언이 우리를 노예로 만든다며 반대하지만, 폴을 만류할 수 없음을 깨닫고 결말에 이른다. 본편 속 폴과 챠니가 서로의 마음을 털어놓고 첫키스를 나누는 씬의 메인 테마곡이 엔딩에서 다시 나온다는 점도 두 사람의 엇갈린 운명을 말해준다. 챠니가 폴과 함께하지 않는 결말은 시리즈의 서사를 크게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변경 사항이다. 폴이 소설 3편에서 챠니가 죽을 운명을 막지 못해 얼마나 좌절했는지 아는 원작 팬들은 챠니가 후속작에서 생존할 수 있을지 여부를 궁금해하면서 본작의 변경 사항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 호불호가 갈리는 평가 === 그밖에 지엽적인 문제이지만, 한국 상영판 번역에서 [[페다이킨]]을 절반 정도는 페다이킨으로 음역하고 나머지 절반은 프레멘 전사로 의역한 점을 지적하는 경우가 있다. 국내에서는 듄이 [[듄 2]], [[듄 2000]], [[엠퍼러: 배틀 포 듄]]과 같은 전략 게임 시리즈로 주로 알려졌고 해당 게임 시리즈에서 페다이킨이 일반 병종과 구분되어 등장했기 때문에 해당 설정에 애착을 가진 게임 팬들이 많다. 하지만 페다이킨은 원래 프레멘 전사를 부르는 말인 게 맞고 무앗딥이 프레멘의 지도자가 되면서 친위대로 의미가 바뀌었기 때문에 원작에서 벗어났다고 할 순 없다. 폴이 프레멘 사회에 받아들여졌을 때, 폴이 페다이킨이 될 수 있겠다고 시샤클리가 언급하는 장면이 영화에도 있다. ==== 전개 ==== 영화의 이야기 전개가 상당히 빠르고, 원작 내용이 많이 잘리고 각색된 점이 논쟁거리. 듄의 한국 내 출판을 맡은 황금가지 편집장도 그러한 내용의 트윗을 했다. 원작과의 차이점은 [[듄: 파트 2/줄거리 및 탐구#원작과의 차이점|원작과의 차이점]] 부분 참조.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는 한정된 러닝타임 안에 이야기를 다 담아내야 했기 때문이다. 특히 제시카 아트레이데스가 대모가 되어 프레멘 집단 내에 광신적인 신앙을 퍼뜨리는 과정과, 폴 아트레이데스가 [[무앗딥]], 우슬, [[퀴사츠 해더락]]이 되는 과정이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는 느낌이 없지 않다. 문제는 이게 전작인 [[듄 파트 1]]과는 정반대의 경향을 띤다는 것. 전작은 느리고 늘어지는 전개 때문에 제대로 사건이 진행된 것도 없이 갑자기 영화가 끝난 거 같다는 비판을 받았던 반면에, 이번 작은 내용이 군데군데 많이 빠지고 생략된 듯한 빠른 급전개로 지적을 받는 중이다. 결국 파트 2 분량을 좀 더 파트 1로 나눠줬어야 전개 속도가 적절했을 텐데 1, 2편 간에 이야기 배분이 제대로 되지 않은 느낌이 든다는 것.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처럼 매우 긴 서사를 가진 작품들이 영화화될 때 서사가 압축되는 과정[* 이쪽은 아예 주인공 프로도가 반지를 소유하고 있던 17년의 시간을 '''단 몇 달'''로 압축해버렸다.]을 듄도 비슷하게 겪었다. 단적으로 원래 [[블라디미르 하코넨]]을 살해하는 쪽은 폴이 아닌 여동생 [[엘리아 아트레이데스|엘리아]]였다. 반면 영화판에서는 파트 2 내내 태아 상태로만 나오며 폴은 수 년에 걸쳐 프레멘 집단에 들어가 적응하고 그들과 상생하고 나아가 메시아가 되는 원작의 긴 서사를 불과 9개월도 안되는 시간에 이루게 되었다. 다만 이러한 서사 압축이 단순히 소설과 영화의 매체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드니 빌뇌브가 다른 행보를 선택한 폴의 이야기를 다루기 위한 의도적인 밑밥일 수도 있다는 [[https://m.dcinside.com/board/dune/8179?headid=&recommend=1&s_type=subject&serval=X|추측]]도 있다. 여기에 처음 알려진 상영시간보다 더 짧아지기도 했다. [[하시미르 펜링]] 역으로 추정되는 [[팀 블레이크 넬슨]]의 연기분이 러닝타임 문제로 편집 과정에서 모두 제거되었다. 그 여파로 나름 중요한 장면들까지 상당히 바뀐 터라 원작 팬들 입장에서는 실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실 꽤 많은 급전개와 생략을 감수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상영시간이 2시간 45분 37초나 되는지라 여기서 더 늘렸다간 정말로 3시간이 넘어갔을테니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도 덕분에 지루하게 질질 끄는 부분 없이 팍팍 스토리가 진행되는 건 장점이다. 폴이 살아있다는 걸 안 황제가 친히 아라키스에 왕림하고, 폴과 프레멘 집단이 이를 노려 공격하는 과정이 좀 어거지로 너무 빠르게 전개된다는 느낌 또한 상당하다. 핵무기를 터뜨려 방어막을 무력화 시키고 프레멘 집단이 단체로 돌격하는 장면은 멋지지만 그 외에 본격적으로 맞붙는 장면은 아무래도 '영화의 대미'를 장식하기에는 좀 짧다는 평. 영화에서 프레멘 집단은 하코넨 가문이 점거하고 있던 아라키스 행성의 수도 아라킨까지 싸그리 털어버리는데 그 장면도 짧게 압축된다. 다만 원작 소설인 듄도 전반부 전개는 느리다가 후반부에 급전개 되는 식인 경우가 많았고, 도리어 소설에 비하면 영화가 이런 급전개가 덜한 편이다. 무엇보다 [[듄(1984)|1984년작 듄 영화]]와 비교하면 이번 작의 전개 속도는 진짜 엄청나게 개선된 것이다. 또한 악역의 비중이나 존재감이 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2020년대 듄 영화화가 [[반지의 제왕 실사영화 시리즈]]나 [[스타워즈 오리지널 삼부작]]과 주로 비교되고 있는 와중에, 반지의 제왕의 [[사우론]], 스타워즈의 [[다스 베이더]]처럼 극을 휘어잡는 강력한 메인 빌런이 딱히 없다는 점을 아쉬워하는 의견이 제법 있다. 나름의 좋은 평을 받고 있는 이번 작의 최종보스인 [[페이드 로타 하코넨]]의 경우 영화 중반부터 나와 존재감을 발휘해 늦은 감도 있었다. 물론 애초에 듄 시리즈는 정치 싸움 + 종교 비판 + [[영웅주의]](메시아)의 위험성이 주제지 메인 빌런이 중요한 작품이 아니긴 하다. 하지만 전반부의 프레멘 사회 적응기에 비중을 할애한 탓에 본격적으로 악역과 대립하는 후반부의 무게감이 떨어지게 됐다는 평가가 없지 않다. ==== 설명 부족 ==== 원작을 아는 사람이라면 전혀 문제될게 없는 내용이지만,일반 관람객이 느끼기에 어? 할수도 있는 부분이다. * 마지막 전투를 시작하는 핵폭탄을 쏘는 장면에서,왜 본진이 아닌 뒤의 산맥 쪽에 쏘는지 의아하다는 반응이 있다. 원작에야 사람에게 쏠수 없다는 핵 조항이 설명되지만 본편에선 암시도 되지 않는다. * [[라스건|레이저총]]의 묘사가 굉장히 훌륭하고,연출및 활약도 좋지만.정작 중요한 마지막 전투에는 쓰지 않는데,[* 라스건이 유일하게 뚫을수 없는 것이 방어막인데,만약 레이저로 방어막을 건드릴 경우 도시 규모의 핵 폭발이 일어나고 --영화가 끝난다--] 이에 대한 의문도 생겼다. *[듄(2021)|전작] 과 마찬가지로 세계관의 설명은 없다시피해서,먼 미래임에도 칼로 싸우는게 이해가 안 된다는 평이 있다.인공지능,기계식 무기는 왜 발전되지 않았느냐는 것.[* 기계의 반란을 우려한 종교단체가 인공지능 등 기계를 무력화시켰고,주술적인 힘이 발달해 역사적으로 관련된 의미를 지녔던 칼을 장려했다는 설정] === [[듄(1984)|데이비드 린치의 듄]]과의 비교 === 이전의 각색 시도였던 [[듄(1984)]]이 반영웅적인 원작을 전형적인 영웅서사로 각색하는 바람에 원작을 훼손했다는 평가를 받아 왔고, 이를 의식하여 이번 작은 폴의 권력 쟁취 과정에 부정적인 색채를 더욱 가미했다. 하지만 이 때문에 주인공 관점에서 몰입하게 해주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가 다수 삽입되어, 블록버스터 상업영화로서 요구되는 [[카타르시스]]는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평이다. 하지만 개봉 전부터 빌뇌브 감독은 폴 아트레이데스를 [[안티히어로]]로 묘사할 것이라 못 박은 바 있고, 원작의 스토리를 생각해보면 긍정적으로 묘사되서는 안 되는 구간이기 때문에 원작 팬들에게는 호평을 받는다. 프랭크 허버트는 폴을 안티히어로로 그리기 위해 [[듄의 메시아]]를 집필했고, 폴이 권력을 독차지하게 되는 일은 곧 '''초인 독재자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라 소설에서도 명시된 바 있었다. [[듄(1984)]]와 비교해 한 가지 더 아쉬운 점이 있다면 [[길드(듄)|길드]] 관련 장면이 생략됐다는 점이다. [[듄(1984)]]에서 눈길을 끄는 장면이었던 항법사(내비게이터)가 들어 있던 탱크가 나오는 장면이나 항법사가 하이라이너 항로를 설정하는 장면 등이 빌뇌브의 듄 시리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파트 3에서 나오길 기대해야 할 듯하다. === 평론가 평 === >Visually thrilling and narratively epic, ''Dune: Part Two'' continues Denis Villeneuve's adaptation of the beloved sci-fi series in spectacular form. > ---- >'''시각적으로 스릴 넘치고 서사적인, '듄: 파트 2'는 [[드니 빌뇌브]]가 사랑받는 SF 시리즈를 화려한 형태로 각색한 것을 이어간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 '''회의하는 영웅, 단호한 감독''' > ---- > [[김혜리(평론가)|김혜리]] ([[씨네21]]) (★★★★) > '''큰 야망, 큰 이미지, 덩달아 [[IMAX | eye도 max]]''' > ---- > [[이용철(평론가)|이용철]] (씨네21) (★★★★) > '''오래된 이야기, 장악하는 사운드, 넘치는 이미지. 강강강으로 찍어누른다''' > ---- > [[송경원]] (씨네21) (★★★★) > '''거대하면서 섬세하고, 광활하면서 폐쇄적이고, 거칠면서 부드러운, 신비의 영웅신화 혹은 우주적 창세기''' > ---- > 허남웅 (씨네21) (★★★☆) > '''지금 백인 남자 메시아 서사라니, 어쩔 수 없는 경계와 의심을 흩뜨리는 빌뇌브의 황홀경''' > ---- > [[임수연]] (씨네21) (★★★★) > '''메시아는 도래했는가. 설득을 위한 장엄하고 묵직한 걸음들''' > ---- > 조현나 (씨네21) (★★★☆) > '''이 시대의 마지막 메시아 서사. 그 착오의 다리를 의무적으로 두들기며''' > ---- > 김철홍 (씨네21) (★★★☆) > '''녹색의 낙원으로 인도할 메시아의 탄생과 성전의 시작''' > ---- > 오진우 (씨네21) (★★★★) > '''특출난 영화적 고심까진 없는 최고급 팬무비''' > ---- > 이우빈 (씨네21) (★★★) > '''시네마적 정공법으로 시추하고 복원해낸 낡은 설화''' > ---- > 정재현 (씨네21) (★★★☆) > '''감독의 원작을 향한 경외가 사막의 태양보다 뜨겁다''' > ---- > 이유채 (씨네21) (★★★☆) > '''흘러넘치는 표면의 활극과 모래의 시간''' > ---- > 김예솔비 (씨네21) (★★★★) > '''내가 그대들을 이끌 것이다. 시네마로!''' > ---- > 안승일 (★★★★) > '''[[사막#사막 기후 (BW)|고유한 기후]]를 간직한 판타지를 만나는 기쁨''' > ---- > 김신 (씨네21) (★★★★) > '''우주 너머 사막을 540도로 찍어내는 시각 마스터피스. [[듄: 파트 3|파트3]]는 720도의 영화가 되리라''' > ---- > 남지우 (씨네21) (★★★★☆) > '''비주얼 너머의 현시대적 선택들, 야심에 걸맞은 성취''' > ---- > 박수용 (씨네21) (★★★★) >'''한 방울도 헛되이 흘리지 않는 영화의 지독한 세공력과 우아한 보법''' > ---- >[[이동진]] (★★★★) == [[/흥행|흥행]]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듄: 파트 2/흥행)] == 기타 == * [[드니 빌뇌브]]는 본작이 흥행에 성공하면 [[듄의 메시아]]를 소재로 영화를 한 편 더 만들어 3부작으로 시리즈를 마무리하고 싶다고 밝혔다. [[https://www.empireonline.com/movies/news/denis-villeneuve-teases-dune-part-three-dune-messiah-exclusive/|#]][[https://variety.com/2024/film/news/denis-villeneuve-dune-messiah-last-movie-no-dune-4-1235893013/|#]] 2023년 12월 방한 당시 인터뷰에서 [[듄: 파트 3|파트 3]] 각본을 집필 중이며 제작 착수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 같다고 밝혔다. [[https://variety.com/2023/film/news/denis-villeneuve-dune-3-script-almost-finished-1235829382/|#]] 특히 본 작의 흥행과 배우들의 스케쥴, 감독의 구상에 따라 성사여부가 달라지겠지만, 감독이 원작을 다소 각색한 부분이 있고, 원작과의 일관성을 되찾으려면 그 각색에 따라 풀어야 할 실마리를 남겨 놓은 만큼 차기작의 제작은 흥행과 제작사의 결정과는 별도로 필연적인 문제로 남겨졌다. *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전작인 파트 1이 [[스타워즈(영화)|스타워즈: 새로운 희망]]이라면, 본작 파트 2는 전작의 모든 것들을 제대로 확장시킨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과 같다면서 극찬했다.[*원문 For me, I dont think its too much to say that if Dune: Part One was Star Wars, this to me was very much The Empire Strikes Back, which is my favorite of the Star Wars films. And I just think its an incredibly exciting expansion of all the things you introduced in the first one.] 이 말은 들은 드니 빌뇌브는 엄청난 칭찬이라면서 놀란에게 감사해했고, 어린 시절 자신이 제국의 역습을 극장에서 관람했던 경험은 자신의 영화 인생에 거대한 영향을 미친 일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https://m.ruliweb.com/av/board/300013/read/3366580|#]][[https://fandomwire.com/christopher-nolan-heaps-the-highest-praise-on-dune-2-as-denis-villeneuves-sequel-gets-compared-to-the-dark-knight-in-early-reactions/|#]][[https://m.youtube.com/watch?v=6ULRmTnUnb4|#]] * 드니 빌뇌브는 본작을 감독하는 데 영감을 준 5개의 작품으로 [[아라비아의 로렌스]], [[그리스도 최후의 유혹(영화)|그리스도 최후의 유혹]], [[AKIRA(1988)|AKIRA]], [[페르소나(1966년 영화)|페르소나]], Beep Beep[* [[척 존스]]가 감독한 1952년작 [[루니 툰]] 단편 애니메이션. [[로드 러너(루니 툰)|로드 러너]]와 [[와일 E. 코요테]]가 주연이다.] 등을 꼽았다. [[https://m.ruliweb.com/av/board/300013/read/3379805|#]] * 원작자 프랭크 허버트는 주인공 [[폴 아트레이데스]]를 구세주나 영웅이 아닌 [[안티히어로]]로 묘사하고자 일부러 [[듄의 메시아]]를 집필하였는데, 드니 빌뇌브 역시 이를 영화에 적극 반영했다고 한다. [[https://m.ruliweb.com/av/board/300013/read/3369277|#]]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무색하게도, 개봉 이후 스틸가의 광신도적 면모와 압도적 연출에 힘입어 국가 안 가리고 '''리산 알 가입'''이 [[상습숭배]]급 [[인터넷 밈]]으로 부상했다. 한국어로는 [[가입]](=join)이 뜻과 발음 모두 맞아 떨어지면서 [[고급 레스토랑]] 밈과도 결합한 것은 덤. 감독의 의도를 이해했는지의 여부 이전에 스틸가와 프레멘의 광신이 희화화하는 데 제격이었기 때문에 대다수의 관객이 희화화에 참여하면서 밈이 된 것이다. * [[티모시 샬라메]], [[젠데이아]], [[오스틴 버틀러]], [[스텔란 스카스가드]], 드니 빌뇌브 감독이 2월 21일에 내한하여, 2월 23일까지 한국에서의 일정을 보냈다. * [[https://youtu.be/B3XYbxyVH7Y|유튜브]]. 내한 기자 회견에서는 '듄친자'라는 말도 언급됐다. * 티모시 샬라메가 배우 및 제작진들에게 [[볼 하트]]를 하자고 제의하면서 선보였다. [[https://twitter.com/uwuett/status/1760614418210304401|#]] * 주연 배우 티모시 샬라메와 젠데이아는 내한 홍보 일정의 일환으로 한국 예능 [[유 퀴즈 온 더 블럭/233회|유퀴즈 온 더 블럭]]에 출연하였다. 기존 해외 스타들은 주로 영상의 형태로 출연했었는데[* 이 중 티모시 샬라메의 절친이자 젠데이아의 연인인 [[톰 홀랜드]]도 있었다.], 실제로 출연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 [[https://youtu.be/Van6-5SgRHw|유튜브]]. [[자이언트 펭TV]] 출연 방송도 진행되었다. * 개봉을 앞두고 2024년 2월에 [[워게이밍]]의 [[월드 오브 탱크]] 시리즈와 콜라보레이션이 발표되어 PC판 월드 오브 탱크와 [[월드 오브 탱크/콘솔|콘솔판]], 그리고 [[월드 오브 탱크 블리츠]]에서 콜라보 이벤트가 열린다. 이벤트는 2월 15일부터 4월 1일까지 진행되었다. * 북미 개봉 당시 [[https://www.ign.com/articles/heres-what-its-like-to-buy-and-actually-eat-popcorn-from-the-dune-2-popcorn-bucket|샤이 훌루드 모양 팝콘통]]을 AMC 극장에서 판매했는데, 팝콘을 집고 다시 빼려고 하면 실리콘으로 된 이빨이 빗자루마냥 손에서 팝콘을 다 털어내서 많이 먹는 것이 불가능한 데다 통의 지름이 작아서 손을 넣고 빼기 힘든 것과 더불어, 그 모습이 심히 징그러웠던지라 말이 많았다. 특히 손을 넣고 빼기 힘들다는 단점을 역이용해 [[https://www.polygon.com/24062510/dune-2-popcorn-bucket-review|저금통으로 재활용한 사례]]도 있다. 동전과 말린 지폐는 쏙 들어가지만, 그걸 통을 분해하지 않고서는 꺼낼 수 없기에 이런 기발한 아이디어가 나온 것. 감독 드니 빌뇌브는 보자마자 욕설을 내뱉었다.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65167305|#1]] [[https://twitter.com/PhysicalMedia_/status/1761942681226494129|#2]] 레이디 제시카 역의 레베카 페르구손은 인터뷰에서 이게 대체 뭐냐고 하자 사회자가 거기에 손을 넣는 거라고 하며 당황해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M6h_l0rLh4|#]] 이를 두고 SNL에서 패러디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l_Xhvgkxrk|#]] 물론 [[오나홀]]로 쓰려는 사람들도 있었다... * 이 영화는 IMAX GT 상영관에서 1.43:1 화면비를 지원한다. IMAX 필름 카메라로 촬영하는 데 드는 극심한 제작비를 충당 가능함과 동시에, 이를 고집하기까지 하는 감독은 전 세계에 [[크리스토퍼 놀란]]이 거의 유일하다. 그렇기에 1.43:1 화면비도 원래는 거의 놀란의 전유물에 가까웠는데 1.43:1을 사용하는 감독이 하나 늘어난 것. 놀란이나 드니 빌뇌브나 후속작이 나오려면 멀었기 때문에 2024년 10월 개봉하는[[조커: 폴리 아 되]]가 1.43:1 개봉을 확정지으면서 2025년까지 1.43:1 화면비로 상영된 영화는 조커: 폴리 아 되와 본작이 유일할 전망이다. 유의할 점은 듄의 경우엔 IMAX 필름 카메라가 아닌 Arri Alexa LF IMAX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했기에 1.43:1을 지원할지언정 아이맥스 필름의 18K 화질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 [[IMAX#s-7.1|IMAX 15/70MM]]로 상영이 불가한 한국은 해당사항이 아니지만, 북미/영국/호주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화임에도 불구, [[오펜하이머(영화)|오펜하이머]] 70MM의 인기에 힘입어 극장 12곳에서 [[IMAX#s-7.1|IMAX 15/70MM]]로 상영한다. * 전작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ScreenX]] 포맷을 지원한다. * [[팀 블레이크 넬슨]]이 캐스팅되었으나 본작 내에서는 등장하지 않았는데, 배우 본인도 이에 대해 아쉬움을 나타냈다. [[https://screenrant.com/dune-2-scenes-cut-tim-blake-nelson-response/|#]] [[투피르 하와트]] 역을 맡은 [[스티븐 맥킨리 헨더슨]]의 분량도 있었지만 통편집되었으며, 둘의 이름은 Special Thanks에 표기되었다. * [[티모시 샬라메]]와 [[플로렌스 퓨]]는 이전 〈[[작은 아씨들(2019)]]〉에서도 부부가 되는데, 두 작품 모두 남주인공의 첫사랑이 아니다. * [[스티븐 스필버그]]는 역대 가장 뛰어난 SF영화 중 하나라고 평했다. [[https://variety.com/2024/film/news/steven-spielberg-dune-2-brilliant-science-fiction-movie-ever-made-1235953298/|#]] * 드니 빌뇌브는 폴 아트레이데스는 SF버전의 [[마이클 콜레오네]]라고 설명했다. [[https://www.gamesradar.com/dune-paul-michael-corleone-godfather-denis-villeneuve|#]] * [[https://youtu.be/P3ZXu8QTSKM|(유튜브)크리스토퍼 놀란과 드니 빌뇌브의 대담.]] == 둘러보기 == [include(틀:That's The Ticket)] [include(틀:오리지널 티켓)] [include(틀:스페셜 티켓)] [[분류:듄 실사영화 시리즈]][[분류:2024년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