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봉바르디에의 항공기)] || [[드 해빌랜드|[[파일:De_Havilland_Canada_logo.svg|width=25%]]]]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HC-6-400.jpg|width=100%]]}}} || || '''DHC-6-400 트윈 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HC-6-300_cockpit.jpg|width=100%]]}}} || || '''DHC-6-300 트윈 오터 칵핏''' || [목차] '''de Havilland Canada DHC-6 Twin Otter''' == 개요 == [[캐나다]]의 [[드 해빌랜드|드 해빌랜드 캐나다]](현 [[봄바디어]])가 개발 및 생산했었고, 현재는 [[https://www.vikingair.com/|바이킹 에어(Viking Air Ltd)]]로[* 또 다른 캐나다의 비행기 회사. 이 회사가 현재 DHC-6 말고도 DHC-2를 업그레이드 해서 다시 내놓을 계획을 하고 있다.] 모든 형식 권리가 넘아가 개량형 모델인 DHC-6-400을 생산하고 있다. 기존의 DHC-3 오터를 기반으로 제작된 항공기이다. DHC-3 오터와 명칭이 비슷한데, 이쪽은 엔진이 두개이기에 '''Twin Otter(트윈 오터)'''라고 부른다. [[1965년]]부터 드 해빌랜드 캐나다가 생산을 시작해서 [[1988년]]에 단종된 이후, 드 해빌랜드 캐나다의 파산 및 DHC-6 관련 지분이 바이킹 에어로 인수되면서 2008년부터 바이킹 에어의 개량형 모델인 DHC-6-400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물론 아직도 생산 중. 2019년 기준으로 985대(드 해빌랜드 캐나다 생산분 844대 + 바이킹 에어 생산분 141대)가 생산되었다. == 제원 == (DHC-6-300 기준) || '''[[파일럿]]''' || 1~2명 || || '''탑승인원''' || 20명 || || '''전장''' || 51[[피트]] 9[[인치]] (15.77 m) || || '''전폭''' || 65피트 0인치 (19.81 m) || || '''높이''' || 19피트 6인치 (5.94 m) || || '''익면적''' || 420제곱피트 (39제곱[[미터]]) || || '''공허중량''' || 7,415[[파운드]] (3,363 kg) || || '''최대 이륙중량''' || 12,500파운드 (5,670 kg) || || '''엔진''' || 2x [[프랫 & 휘트니 캐나다 PT6|P&W 캐나다 PT6A-27]] 터보프롭, 기당 620[[마력]] (460 kW) || || '''최대속도''' || 182[[노트]] (209 mph, 338 km/h) || || '''항속거리''' || 771 nmi (887[[마일]], 1,427 km) || || '''실용 상승한도''' || 25,000피트 (7,620 m) || || '''상승률''' || 분당 1,600피트 (8.1 m/s) || == 세부 기종 == 총 4가지의 민간용과 2가지의 군용 파생형 기종들(variants)이 존재한다. === DHC-6-100 시리즈 === ||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c-fgqh-west-coast-air-de-havilland-canada-dhc-6-100-twin-otter_PlanespottersNet_725153.jpg|width=100%]] ||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n202eh-skydive-factory-de-havilland-canada-dhc-6-100-twin-otter_PlanespottersNet_690417.jpg|width=100%]] || || 캐나다의 웨스트코스트 항공의 DHC-6-100. 씨플레인 개조 후 수상에서 이착륙도 할수 있다. 등록번호는 C-FGQH. || DHC-6-100의 기본형. 스카이다이빙 용으로 사용중이다. 등록번호는 N202EH. || DHC-6 시리즈의 최초형. 초기에는 수송기 사양으로만 나왔으나 차후 개량이 되며 승객형도 나오기 시작했다. 나올 당시에는 경쟁 상대가 생각보다 많았으나, 거뜬히 소화해내고 당시의 [[STOL]] 수송기의 제왕 자리를 차지했다. ==== DHC-6-100 ==== -100의 기본형. PW PT6-A-20를 장착한다. ==== DHC-6-110 ==== DHC-6-100과 동일한 기체이나, 영국의 BCAR (British Civil Air Regulation) 규정에 맞춰서 생산한 변형 기종이다. === DHC-6-200 시리즈 === ||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n128wj-skydive-arizona-de-havilland-canada-dhc-6-200-twin-otter_PlanespottersNet_659273.jpg|width=100%]] ||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9a-toc-european-coastal-airlines-de-havilland-canada-dhc-6-200-twin-otter_PlanespottersNet_635479.jpg|width=100%]] || || Skydive Arizona의 스카이다이빙용 DHC-6-200. 등록번호는 N128WJ. || 플로트가 장착된 ECA(유러피안 코스탈 항공)의 수상용 DHC-6-200. 등록번호는 9A-TOC. || DHC-6-100의 개량형. 많이 바뀐 점은 없다. 파생형식도 DHC-6-200 단 한개로 생산이 거의 되지 않고 바로 DHC-6-300으로 넘어가버린다. === DHC-6-300 시리즈 ===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960937.jpg|width=100%]] || [[파일:external/img.planespotters.net/8q-tms-trans-maldivian-airways-de-havilland-canada-dhc-6-300-twin-otter_PlanespottersNet_719053.jpg|width=100%]] || || [[영국항공]]이 영국 내 지역 항공사인 로건에어의 DHC-6-300을 운항하는 모습. 사진속 공항은 그 유명한 바라 공항[* 영국에 있는 지역 공항중 하나인데, 특이하게도 활주로가 따로 없어 바닷가의 모래사장을 비행장으로 사용한다.]. 등록번호는 G-BVVK. || 트랜스몰디반 항공 DHC-6-300S. 플로트가 달려있다. 등록번호는 8Q-TMS. || *[youtube(bgLJm8cG_Bw)] 생바르텔레미 공항에 착륙하는 DHC-6-300의 영상. STOL 이름값을 할 정도로 착륙거리가 짧다.[* DHC-6-300은 1:00까지만 나온다.] --맙소사 터치다운 기준 30여 미터가량???-- DHC-6 시리즈의 메이저 양산형. DHC-6-100과 -200에 PW PT-6A-20의 개량형인 동일 모델의 -27형 엔진을 장착함으로써 최대이륙중량과 항속거리가 증가했다. 또한, 기존의 -100/-200 시리즈에 있었던 플로트 개조 옵션을 DHC-6-300S(Sea)라는 이름으로 정식 파생형 기종으로 지정했다.[* 단, -300형은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8/De_Havilland_Canada_DHC-6-300_Twin_Otter_%40_Airport_St.Gallen-Altenrhein.jpg|플로트에 기어를 달아서]] 수상과 지상에서 모두 이착륙을 할수 있게 했다.] ==== DHC-6-300 ==== 기본 민수형. 1969년부터 꾸준히 생산되었다. ==== DHC-6-300S ==== 위에 언급되었던 DHC-6-300의 플로트 장착형. 수상 및 지상 이착륙 겸용이다. ==== DHC-6-300M ==== DHC-6-300의 군용 수송기 컨셉. 초기 생산분중 2대를 개조해서 시험용으로 사용했었으나. 나중에 민항기 사양으로 다시 개조한 후에 판매되었다. 사실상 군용으로는 쓰지 않은 셈. ==== DHC-6-310 ==== DHC-6-100의 개수형인 -110과 마찬가지로 영국 내 운항을 위한 BCAR(British Civil Air Regulations) 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사양이 적용된 항공기. ==== DHC-6-320 ==== 호주의 ACAR(Australian Civil Air Regulations)의 운항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제작된 파생형. 기존의 DHC-6-300과 큰 차이는 나지 않는다. === 바이킹 에어 DHC-6-400 시리즈 === || [[파일:93051_1571059048.jpg|width=100%]] || || 로건에어, G-HIAL || 드 해빌랜드 캐나다 DHC-6의 최신형. 바이킹 에어라는 회사에서 라이선스 생산중인 모델이다. 2008년에 재생산에 들어갔으며,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이자 1967년 이후 완전히 묻혀버린 DHC-2에 PT6A 엔진을 장착한 개량형을 내놓을 계획도 하고 있다. -300과 마찬가지로 플로트 형식이 별도로 있다. 엔진은 PT6A-34형을 사용하는 중. 2020년 기준으로 한화로 약 70억원. (DHC-6-400S는 약 65억원.) 550만 달러다 ( 한달 dry 리스는 약 3,000만원 ) ==== DHC-6-400 ==== DHC-6-400의 기본형. 의외로 DHC-6-100의 개수형이라 최대정원이 DHC-6-300보다 1명 적다. 바이킹 에어에서 라이선스 생산을 재개하면서 기존 생산분보다 생산대수 분의 생산된 기간값이 훨씬 높을 정도로 기존의 DHC-6-300을 능가한다. 추가로 연료탱크를 하나 더 넣는 옵션이 있다. ==== DHC-6-400S ==== DHC-6-400에 플로트를 장착한 형식. DHC-6-300S와 마찬가지로 지상 및 해상 겸용으로 플로트 아래에 기어 총 4개가 달려있다. === 군용 모델 === [include(틀:현대전/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include(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include(틀:항공병기 둘러보기)] ==== UV-18A ====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1181972.jpg|width=350]] || 미군 알래스카 사령부 예하 '''육군'''을 위해 제작된 수송기.[* 미육군은 회전익기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equipment_of_the_United_States_Army#Aircraft|유인 고정익기들]]과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hips_of_the_United_States_Army|큼직한 군함]]을 보유하고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ships_of_the_United_States_Air_Force|공군도 함선]]을 보유하고 있다. 해군도 항공대와 지상병력을 보유하고 있다. 해병대도 항공대를 보유하고 있다. --콩가루 미군--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s-4.6|어디서 많이 봤다...?]]--] 총 6대 생산. 현재는 쇼트사의 [[Short 330]] 기반의 C-23 셰르파로 대체되었다. ==== UV-18B ====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0491117.jpg|width=350]] || 미국 공군 패러슈트 훈련을 위해 제작된 기체. -300형 기반이다. ==== UV-18C ==== || [[파일:external/i465.photobucket.com/GKUV-18cb.jpg|width=350]] || 2013년에 제작된 -400형 기반의 미국 공군을 위해 생산된 3대의 수송기. ==== CC-138 ==== ||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254171.jpg|width=350]] || DHC-6-300 기반의 수송기, 탐색 및 구조 목적으로 개수된 기재. 캐나다 공군 전용이다. == 기타 == *봄바디어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사이에 드 해빌랜드 캐나다를 인수하면서 생산 중단을 시켜버렸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에 바이킹 에어로 [[DHC-8]]을 제외한 DHC 시리즈, 즉 '''DHC-1부터 -7까지의 생산 권한'''을 '''전부 넘겨버렸다'''. 그 이후로 바이킹 에어는 DHC-6-400의 생산을 재개하면서 DHC-6은 다시 STOL기의 본좌로 돌아온다. * [[GTA V]]에서 [[Grand Theft Auto V/이동 수단/항공|스트리머216]]이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분류:항공기]][[분류:봉바르디에]][[분류:1965년 출시]][[분류:1988년 단종]][[분류:2008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