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김성모/밈]][[분류:유행어]][[분류:놀이]][[분류:짤방/만화]][[분류: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필수요소]] [[파일: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jpg]] [목차] [clearfix] == 개요 == [[김성모]]의 작품인 만화 '[[스타크래프트(김성모)|스타크래프트]]'에서 유래한 놀이. 일종의 [[김성모/작품 및 유행어|유행어]]로도 볼 수 있다. 정확히는 위의 장면에서 유래한 놀이로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라군]] 놀이라는 명칭도 저 장면에서 유래했다. 그냥 '드라군!'이라고 외치면 될 것을 셋이 마치 미리 짜놓기라도 한 듯이 한 글자씩 외치는 기묘함이 일품이다. 사실 저 장면만 그런 건 아니고 저 셋이 모이고 나서는 무슨 말을 해도 혼자 해도 될 말을 셋이서 나눠서 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바로 저 뒤에 이어지는 컷에서는 "아마도 전세가 갑자기 확 바뀌어 버리겠지!"라고 운을 띄우자 "그거야.", "당연한.", "것이지요."라고 회답한다.] 마침 드라군이 딱 세 글자다 보니 한 글자씩 말하게 된 것이다. 겨우 드라군 추가되는 게 무슨 최종병기가 등장하는 양 말하는 것도 개그 포인트.[* 간혹 이 장면 이후 드라군이 전장에서 패배하고 모두 어이 없어 하는 패러디도 있다.] 똑같은 형태로 테란과 저그 진영에서도 써먹은 적이 있다.[* 프로토스야 [[칼라(스타크래프트 시리즈)|칼라]]를 통해 생각과 감정을 공유한다는 설정을 충실히 고증(?)한 거라고 할 수도 있지만 테란과 저그도 이 짓거리(?)를 하는 장면이 등장하므로 빼도박도 못하고 개그 확정. 김성모의 다른 만화인 [[럭키짱]]에서도 이런 장면이 나온다. [[전사독]] 문서 참고.] 참고로 이 셋의 작중 이름은 각각 [[피닉스(스타크래프트 시리즈)|피닉스]], [[태사다르|태사다르]], [[칼라이|사르가스]][* 원작에서는 칼라이 부족의 명칭인데 여기서는 프로토스 인명으로 쓰였다.]이며, 처음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라고 말하는 인물의 이름은 [[제라툴]]이다. 덤으로 이 장면 다음에는 김성모판 설정 상 현세대 인물로 나오는 [[아둔]]이 저기에 "좋은 작전이다, 제라툴. 드라군은 테란의 [[공성 전차|탱크]]와도 같은 존재." 라면서 맞장구친다. 어디까지나 김성모 작품의 설정으로 원래 인물들과는 전혀 관련없었는데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 [[태사다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태사다르]]가 반복 대사 중 [[태사다르(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대사#s-1.5|'''이 대사를 직접 읊음으로써''' 공식화되었다.]] 태사다르가 스타1 오리지널 인물이다보니 스타2 세대에 뒤처지는 듯한 모습을 이용한 것. > 아니 이젠 리버가 없다니 그게 무슨 소리요?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또한 한참 뒤에 출진한 [[피닉스(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피닉스]]가 반복 대사로 원문 전체를 사용하였고, 이 경우에는 아예 영어판 원문에서부터 이 부분을 번역한 대사를 사용했기에 완전히 공식화되었다. > It breaks my heart to see my fellow zealots suffer on the battlefield. But what if we dragoons went to their rescue? '''Duh! Ra! Goon!''' > 질럿들이 고전하는 건 나 또한 가슴이 아프다.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드! 라! 군!''' == 방법 == 기본적으로 드라군 놀이란 채팅창이나 덧글에서 여러 사람들이 순서대로 다음과 같은 식의 글을 다는 것이다. * [[기본]] ||예시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라!''' '''D: 군!''' || 만약 다음과 같이 중간에 누군가 [[갑툭튀]]해서 끊거나, 연결하는 타이밍(?)을 잘못 맞추거나, 둘이 같은 글자를 동시에 달려고 해서 충돌하거나, 다른 드립을 칠 경우 실패한다. * [[갑툭튀]] ||예시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라! E: '''[[얘들아 3년 동안 수고했고 나중에 웃으면서 보자|입갤요]]''' D: 군! || * [[오타]] ||예시 1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드래곤|래!]]''' D: '''[[드래곤|곤!]]''' || ||예시 2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오타|ㅡㄷ!]] C: 드! D: [[오타|'''러'''!]] E: 군! || * [[중복]] ||예시 1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라! D: '''라!''' E: 군! || ||예시 2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드!''' D: '''드!''' || ||예시 3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라!''' '''D: 라!''' '''E: 라!''' '''F: 라!''' '''G: 라!''' '''H: 라!''' '''I: 라!''' || * 시간착오 ||예시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D: 군!''' '''C: 라!''' || 간혹 서버가 불안정한 사이트인 경우 종종 이런 일이 발생한다. * [[트롤링]] ||예시 1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일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론!]]''' || 해당 대사는 [[크레이지 아케이드]]의 게임 보스인 문어대왕이 시연한 적이 있었다. '''진짜 드론이 등장하는 것도 개그.''' 또한 [[아르피엘]]의 [[루(아르피엘)|루]]의 대사 중에서 "하지만 [[일벌레(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론]]이 출동하면 어떨까?"라는 대사가 있다. ||예시 2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라! D: '''[[도라에몽|에!]]''' E: '''[[도라에몽(도라에몽)|몽!]]''' || ||예시 3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라! E: '''[[드라이버|이버!]]''' D: 군! || ||예시 4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ㄴE: '''[[반으로 갈라져서 죽어]]''' C: 라! D: 군! || 답글 기능이 있는 시스템의 경우 기껏 성공한 드라군 놀이를 망쳐놓을 수 있다. ||예시 5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드래곤|'''래!''']] D: [[드래곤|'''곤!''']] || 이쪽은 발음이 서로 비슷하여 어찌보면 트롤링보다는 오타에 가깝기도 하다. 다만 이를 역이용해서 [[드래곤볼]] 등으로 트롤링 하기도 한다. ||예시 6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YOU JUST ACTIVATED MY TRAP CARD]].''' || ||예시 7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리!''' C. '''시!''' D. '''빙!''' || 그 밖에, 아까 위에서 오타 예시라고 적은 드! 래! 곤!도 훌륭한 트롤링 예시가 될 수 있다. * [[덕밍아웃]] ||예시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듀라라라|듀!]]''' C: '''[[듀라라라|라!]]''' D: '''[[듀라라라|라!]]''' E: '''[[듀라라라|라!]]''' || * 무한증식 ||예시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 C: 라! D: 군! E: 드! F: 라! G: 군! H: 드! I: 라! J: 군! || * 의도가 빗나감 ||예시 1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어떤데?''' || ||예시 2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나도 몰라.''' || * [[무시]] ||예시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짜장면과 짬뽕 중에 뭘 먹을까? ㄴC: 짜장면이지. ㄴD: 짬뽕이 낫지. A: ... || * 원맨쇼 ||예시 1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A''': 드! '''A''': 라! '''A''': 군! || ||예시 2 A: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 B: '''드!라!군!''' || 그 외에도 저 '드라군'을 다른 세글자 단어로 바꾸는 응용도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사라 케리건|케!리!건!]], [[건설로봇|S!C!V!]] 등이 있다. 그 외 실제로 드라군을 재현하는 경우 [[브릿지#s-5|아니면 바닥에 누운 다음 허리를 높게 들고 팔다리를 사용하여 사족보행을 하면서 진짜로 드라군이 되는 방법도 있다.]] [[http://pann.nate.com/video/219771769|이런 것]]도 있다. == 유행과 몰락 == 한때 드라군 놀이는 크게 유행을 탔으나, 뜬금없이 아무 상관없는 글의 리플에 [[갑툭튀]]해서 드라군 놀이를 시전하는 경우가 많아서 [[등수놀이]]나 [[人놀이]]같은 뻘플이라며 싫어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거기다가 일부 몰상식한 [[개티즌]]들이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공식 홈페이지 게시판을 점거하고 드라군 놀이로 게시판을 도배하여 결국 Dragoon이 금지어가 [[http://news.nate.com/view/20050728n08435|되는]] 등의 일들이 여럿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드라군 놀이를 금지하거나 아예 받아주지 말자는 분위기가 형성되어 결국 드라군 놀이의 유행어로서의 생명은 다하게 되었다. 게다가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드라군 자체도 없어져 버렸다. 공허의 유산에서 '''캠페인 한정'''으로 부활하기 했지만... 만화 속 대사가 인기를 끌어서 유행한 표현이기 때문에 '용기병'이라는 번역이 나온 지금도 놀이 자체는 '드라군'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후 협동전에서 [[아르타니스/협동전 임무|아르타니스]]가 사용하는데, 출시 초반엔 잉여했지만 4.2.4 패치 후 상향을 어마어마하게 먹어서 진짜로 드라군만 출동시키는 '땡기병'이 당당히 아르타니스 조합의 한 축으로 등극했고, [[피닉스/협동전 임무|신관의 동료]]는 아예 브루드 워 시절처럼 '''본인이 용기병으로''' 참전할 수 있는데, 막강한 범위 딜을 지녀서 홀로 아몬의 공세를 막아낼 수 있는지라 진짜 혼자 출동해서 해결하는 해결사가 됐다. 2020년 초에 유행하는 [[엄준식(인터넷 밈)|엄준식 드립]]의 유형 중 하나인 '엄준식을 세로로 한글자씩 쓰기'가 드라군놀이와 유사하다. == 패러디 == * [[오성대]]가 겜툰 사이트에서 연재했던 스타패닉에서 패러디됐다.[[http://www.gamtoon.com/new/tf/ctn72/view.gam?num=116&pageno=2&startpage=1]] * [[돌아온 럭키짱]]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449854&no=103&weekday=wed|102화에서 또 나왔다.]] * 와탕카에서도 나왔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5938&no=369&weekday=sun|#]] * [[http://m.humoruniv.com/board/read.html?table=pds&st=subject&sk=%B5%E5%B6%F3%B1%BA&searchday=all&pg=4&number=161274|조선일보에서도 나왔다.]] * 불법도청놀이[[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logId=555403&userId=cngdw]] * [[흑드라군]]은 출동 전에 업글을 마쳐야 한다.[[http://gall.dcinside.com/list.php?id=composition_dc&no=81368&page=1|♥]] * [[안녕, 프란체스카]] 시즌 3 2편에서 프란체스카가 [[https://www.youtube.com/watch?v=O474rDrZn3M|드라군 드립을 시전했다]]. * 2011년 8월 17일에 이말년에서도 나왔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94&weekday=wed|#]] 그리고 또 나왔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03759&no=128&weekday=wed|*]]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11044|네이버캐스트 인물과 역사에도 나왔다]]. 이 캐스트가 네이버 홈에 뜰 때 타이틀도 "하지만 드라군이 출동한다면 어떨까?"인데, 작성자가 [[서브컬처]]를 적절히 이용한 점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 [[네이버 웹툰]] [[들어는 보았나! 질풍기획!]]에서도 패러디 되었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56855&no=80&weekday=thu|79화-눈보라 휘날리며 part2]] * [[네이버 웹툰]]의 [[마음의 소리]]에서도 패러디됐다.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0853&no=431&weekday=fri|427화]] * [[1박 2일]] 2013년 2월 17일 방영분에서 최병철과 칠판 지우개로 하는 펜싱 대결에서 다 져가고 있을 때 "하지만 [[각시탈(드라마)|각시탈]]이 출현한다면 어떨까? '''각!''' '''시!''' '''탈!'''" 이라는 자막과 함께 [[주원]]이 등장했다. 게다가 저 단어들은 각각 한 장면에 한 개씩! * [[방탄소년단]] 미니 1집 [[O!RUL8,2?]] 수록곡 [[진격의 방탄]]의 제일 첫 가사가 '하지만 방탄소년단이 진격한다면 어떨까?'이다. * [[네이버 웹툰]] [[심심한 마왕]]에서도 패러디되었다.([[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374974&no=7&weekday=sun|6화]],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374974&no=31&weekday=sun|29화]]) * [[칼카나마]]도 패러디했다. [[http://sports.media.daum.net/sports/column/cartoon/newsview?newsId=20150325081559755&gid=117077|칼카나마의 라리가 위클리]] * 그램그램 영문법 원정대 16권 '마법학교 1'편에서도 나왔다. * [[개천고]] 290화에서도 패러디했다. [[http://webtoon.olleh.com/toon/timesDetail.kt?webtoonseq=11×seq=8029|290화]] * [[생활의 참견]]에서도 [[http://m.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5613&no=278&week=mon|패러디했다.]] * [[골방환상곡]]에서 베스트댓글로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5441&no=207&weekday=sun|인용되었다.]] * [[골방환상곡]]에서 또 엄청난 단력력을 [[http://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15441&no=243|보여주었다.]] * [[팀 포트리스 2]]의 [[엔지니어(팀 포트리스 2)|엔지니어]]의 도전 과제 가운데 하나가 "[[엔지니어(팀 포트리스 2)/도전 과제#s-2.14|하지만 텔레포터로 투입되면 어떨까?]]"이다. * [[삼국전투기]]에서도 패러디되었다.[[http://m.comic.naver.com/webtoon/detail.nhn?titleId=22027&no=404&week=sat&listPage=4|#]] * 파우더토이 공식 카페에서 댓글로 나왔다. [[http://cafe.naver.com/powdertoy/35265|#]] * [[스노우레인 2]]에서 기말고사와 준비운동으로 패러디되었다. * [[불멸의 이순신]]에서도 패러디되었다. [[http://m.blog.naver.com/hasohnul/15887488|#]] * [[블루 아카이브]]의 최종편 3장에서 등장한 [[우트나피쉬팀의 배|우주전함]]을 보고 [[엔지니어부]]와 [[텐도 아리스]]가 시전했다. == 기타 == [[파일:attachment/rvwiki_emfkrnsshfdl.jpg|width=600]] 이보다 한세대 앞서 [[고우영]] 화백도 삼국지 5권 53페이지에서 한번 사용한 적이 있다. 왼쪽부터 [[유비]], [[장비]], [[유기(삼국지)|유기]]이다. [[그래플러 바키]]에서도 작가가 사용한 적이 있다. [[사커라인]]에서는 "앗! [[스티븐 제라드|제로또]] 골! 스멀스멀 YNWA 수치상으론 우승도 가능하다능!"이 드라군 놀이를 대체하고 있다.[* 원래 리버풀 까는 모 만화에서 나온 대사.] 너무 기니까 앗! 제로또 골!만 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그것도 잘 안되는 경우가 많다. [[파일:드라군 파이터 표지.jpg]] 이 개그의 큰 인기에 힘입어 [[김성모]] 작가는 '''드라군 파이터'''란 작품을 내었다 한다.[*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단행본 머릿말 부분에 드라군놀이의 인기에 대한 해설까지 직접 써놨다.] 실제로 저프전에서는 드라군의 생산은 프로토스측에서 상황을 종결시키기 위해 행해지기 때문에 원작과 같은 포스를 느낄 수 있다? 물론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의 비율이 높거나 [[파멸충|디파일러]]가 있다면 질럿을 섞어주는 게 낫다. 네이버 캐스트에 한번 스타크래프트를 주제로 글이 올라온 적이 있는데, 배뎃에 수천명이 단체로 드라군 놀이를 하였다. 2017년 현재까지도 달리는 듯. [[협동전 임무]]에 [[피닉스(스타크래프트 시리즈)/협동전 임무|피닉스]]가 출전하면서 진짜로 '''드라군이 출동하면 어떨까?'''스러운 장면이 나왔다. 그야말로 사상 최강의 드라군. [[더 스파이크]] 2021년 10월호 96팀에서 '''그럼 블로킹이 출동하면 어떨까?'''라는 소제목이 있다. == 관련 문서 == * [[짤방/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