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리크루트)] [목차] == 설명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FlyingKamakiri1-DM4-JP-VG.png]] || 한글판 명칭 ||<-4>'''드래곤 플라이'''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ドラゴンフライ'''|| || 영어판 명칭 ||<-4>'''Flying Kamakiri #1'''||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부터는 4.] || 화염마족 || 곤충족 || 1400 || 900 || ||<-5>적을 확인하면 공중에서 불을 뿜어서 태워죽여버린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상대를 발견하면, 바로 공중에서 화염을 내뿜어 공격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부터 등장. 그 이름처럼 이 카드를 소재로 삼아 공격력 높은 드래곤족이나 이름에 '드래곤'이 붙은 다른 종족의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수 있다.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면 [[잠자리]](dragonfly)라서 이름만 드래곤이 아니라 진짜 드래곤처럼 싸울 수 있는 모양이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2037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곤 플라이, 일어판 명칭=ドラゴンフライ, 영어판 명칭=Flying Kamakiri #1, 레벨=4, 속성=바람, 종족=곤충족, 공격력=1400, 수비력=900, 효과1=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덱에서 공격력 1500 이하의 바람 속성 몬스터 1장을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그 후 덱을 셔플한다.)] 전투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에 공격력 1500 이하의 바람 속성 몬스터를 덱에서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하는 임의 발동의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바람 속성 [[리크루트]] 몬스터. 속성덕에 [[해피(유희왕)|해피]]나 [[안개 골짜기]] 테마와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얼티미트 인섹트]]와 유용한 콤보가 가능하다. 비슷한 이유로 [[가면룡]]이 없다면 [[암드 드래곤]]과도 조합이 가능하다. 종족은 [[잠자리]]라는 이름 그대로 곤충족이다. 그런데 정작 곤충족은 땅속성 몬스터가 많은데다. 곤충족 카드군인 [[인잭터]], [[디지털 버그]], [[크롤러(유희왕)|크롤러]] 모두 바람 속성이[* 각각 어둠, 빛, 땅 속성이다.] 아니기 때문에 종족과의 연계는 [[얼티미트 인섹트]] 외에는 거의 없는 편이다. 한글판은 이 카드를 드래곤 플라이~~용파리냐?~~라고 띄어써서 번역하는 바람에 [[TG 레시프로 드래곤 플라이]][* 다만 이쪽은 이 카드와 달리 드래곤과 플라이 사이에 가운뎃점으로 띄어쓰기를 해놨으므로 이 표기가 맞는 편이다.]나 [[나츄르]] 드래곤 플라이의 정발명도 저렇게 되어 버렸다. ~~잠자리 아닌게 어디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편]]에서는 [[인섹터 하가]]가 사용. [[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첫 턴에 소환해 죠노우치의 [[랜드스타의 검사]]를 공격했으나, 체인해서 발동된 [[오른손엔 방패 왼손엔 검]]에 의해 공격력 / 수비력이 뒤바뀌며 그대로 역전당해 파괴되었다. 이후 이 카드의 효과로 [[플라잉 사마귀]]를 특수 소환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만죠메 쥰]]의 덱에 투입되어있는 것으로 보이나 작중 직접 사용되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암드 드래곤]]의 리크루트를 위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판 번역은 '[[플라잉 사마귀|Flying Kamakiri|]] #1'라는 이름으로 나왔으며, 국내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방영분에서도 [[인섹터 하가]]가 소환할 때 '플라잉 사마귀'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정작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게 다름아닌 [[플라잉 사마귀]]라는 점이 아이러니.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Pharaoh's Servant -ファラオのしもべ- || PS-40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DUELIST LEGACY Volume.1 || DL1-075 || [[노멀]]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 BE1-JP054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열풍의 패왕|烈風の覇者]]- || SD8-JP006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드래그니티 드라이브|ドラグニティ・ドライブ]]- || SD19-JP016 || [[노멀]] || 일본 || || || [[마법의 지배자|Spell Ruler]] || SRL-EN091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 DB1-EN054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열풍의 패왕|Lord of the Storm]] || SD8-EN006 || [[노멀]] || 미국 || || || [[드래그니티 드라이브|Dragunity Legion]]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 SDDL-EN015 || [[노멀]] || 미국 || || || Duelist League 13 || DL13-EN003 ||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 LCYW-EN238 || [[시크릿 레어]] || 미국 || || || [[마법의 지배자]] || SRL-K09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1]] || BP1-KR054 || [[노멀]] || 한국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열풍의 패왕]]- || SD8-KR006 || [[노멀]] || 한국 || 절판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드래그니티 드라이브]]- || SD19-KR016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나츄르#나츄르 드래곤플라이|나츄르 드래곤플라이]]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드래곤플라이, version=46)] [[분류:유희왕/OCG/곤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