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하급 효과 몬스터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LordofD-JP-Manga-DM.png]] || 한글판 명칭 ||<-4>'''로드 오브 드래곤''' (원작 코믹스)[br]'''드래곤의 제왕'''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방영판에서 [[카이바 세토|카이바]]가 사용하는 장면에서는 일어판을 직역한 '로드 오브 드래곤-드래곤의 지배자-'로 부르기도 했다.]|| || 일어판 명칭 ||<-4>'''ロード・オブ・ドラゴン''' (원작 코믹스)[br]'''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ruby(支配者, ruby=しはいしゃ)]-'''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 영어판 명칭 ||<-4>'''Lord of 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어둠 || 마법사족 || 1200 || 1100 || ||<-5>드래곤족을 지배하는 힘을 가진 마술사.|| 원작 [[배틀 시티(유희왕)|배틀 시티]] 편부터 [[카이바 세토]]가 사용. 작중에서는 카이바의 테스트 듀얼 중 듀얼로보가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하며, 수비 표시로 소환되어 카이바의 [[암흑 수면으로의 초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용살자(유희왕)|용살자]].]의 효과로부터 [[푸른 눈의 백룡]]을 보호했다. 이후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의 효과로 또다른 [[푸른 눈의 백룡]]을 전개했으나, 카이바의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에 의해 푸른 눈과 함께 전멸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결선 편|배틀 시티 결선 편]]에서는 카이바 본인이 [[어둠의 유우기]]와의 준결승 듀얼 중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등장. 유우기의 [[육망성의 저주]]를 견제하면서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와의 콤보로 [[푸른 눈의 백룡]]을 추가로 전개했으나, 이후 [[매직 실린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매지션즈 셀렉트.]의 효과로 푸른 눈의 공격을 대신 받으면서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오리지널 에피소드를 통해 비중이 대폭 증가했다. 먼저 듀얼몬스터즈 퀘스트 편에서는 [[빅5(유희왕)|빅5]]가 유우기 일행을 대비해 이 몬스터가 그려진 결계 '드래곤의 성역'을 필드에 깔아놓았는데, '드래곤족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는 전투에 참가할 수 없다'는 제약이 걸린 필드 마법 같은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온다. 배틀 시티 편 중에는 [[레어 헌터]] 2인조와의 태그 듀얼 중 추가된 묘사를 통해서도 등장했으며, 한번에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를 2장 발동해 [[푸른 눈의 백룡]] 3장과 [[다이아몬드 드래곤]]을 전개하고 이후 등장한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의 효과 발동을 위한 제물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노아 편|노아 편]]에서는 [[다이몬 코고로]]와의 듀얼 중 카이바의 [[덱 마스터]]로 지정되기도 했으며,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왕의 기억 편|왕의 기억 편]]에서는 [[어둠의 바쿠라]]와의 듀얼 중에도 사용되었다. [[유희왕 R]]에서는 카이바가 [[텐마 야코]]와의 듀얼 중 사용. 크로스 시프트의 효과로 특수 소환된 후 [[드래곤 자각의 선율]]과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와의 콤보를 통해 [[푸른 눈의 백룡]] 3마리를 단숨에 전개했다. 피리에 이어 기타까지 연주하는 모습이 압권.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정의의 아군 카이바맨]]이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중 덱에 넣은 카드로도 확인되었으며, 이후 [[만죠메 쵸사쿠]]도 [[만죠메 쥰]]과의 듀얼 중 [[용마인 킹드라군]]의 융합 소재로 사용한 것으로도 등장했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에서도 나오는데, 등장은 하지 못하고 카이바와 [[아이가미]] 1차전때 패에 들려있었다. 처음에 [[크리스탈 드래곤(유희왕)|크리스탈 드래곤]]을 보면서 릴리스없이 소환가능하다는 것을 보면서 놀라는 장면이 나오는 순간에 확인 가능.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LordofD-DM3-JP-VG.png]] || 한글판 명칭 ||<-4>'''로드 오브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ロード・オブ・ドラゴン'''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DM3]],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br]'''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ruby(支配者, ruby=しはいしゃ)]-'''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영어판 명칭 ||<-4>'''Lord of D.'''||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흑마족 || 마법사족 || 1200 || 1100 || ||<-5>수많은 드래곤족을 지배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마술사.||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支配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곤의 제왕, 일어판 명칭=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支配者(しはいしゃ)-, 영어판 명칭=Lord of D.,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1100, 효과1=①: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서로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 >'''"우리 형의 이 카드는 드래곤족을 뒷받침 해주는 카드야! 드래곤의 제왕 -드래곤의 지배자-"!!''' >---- >[[모크바(유희왕 듀얼링크스)|모크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이 카드가 필드에 남아있는 한 드래곤족 몬스터는 효과 대상이 되지 않는다. 드래곤의 제왕!"''' >---- >[[카이바(DSOD)(유희왕 듀얼링크스)|카이바]], [[유희왕 듀얼링크스]] 전용 대사 드래곤족 몬스터의 효과 대상 지정을 봉쇄하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지속 효과|지속 효과]]를 가진 하급 효과 몬스터. 드래곤족 몬스터에게 대상 내성을 부여해주긴 하지만, 자체적인 능력치가 낮아 필드에 유지하기가 힘들다. 또한 자기 자신은 드래곤족도 아니다 보니 내성을 얻지 못하고, 서포트 카드도 드래곤족과 공유할 수도 없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용마인 킹드라군]]이나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발동으로 연계하기 위해서 사용하게 될 것이다. 이 카드의 지속 효과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체인 1에 드래곤족 몬스터가 대상으로 선택된다. * 체인 2에 다른 카드의 효과로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해도, 이미 대상 선택이 끝났기 때문에, 체인 1의 효과가 불발될 일은 없다. [[마장전사]]와 상성은 좋은 편이며, 다른 드래곤족과 함께 [[펜듈럼 소환]]해서 서포트할 수가 있다. [[마장전사#소마장착|소마장착]]으로 자신과 드래곤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용마인 킹드라군]]의 융합 소재이긴 하지만, 융합 소재는 [[융합 주술봉인 생물-어둠]]이나 [[늪지의 마신왕]] 같은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로도 가능하다. [[다크 그레퍼]] 같은 카드로 [[융합 주술봉인 생물-어둠]]과 함께 묘지로 보내 [[용의 거울]]로 융합 소환해보는 것도 가능하며, [[융합파병]] 같은 카드로 특수 소환해서 해당 카드의 효과로 연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용 서포트 카드로는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가 존재하지만, 해당 카드를 쓰려면 드래곤의 통제자를 우선시하게 될 것이다. 1기부터 존재한 카드였지만, 당시 드래곤 덱은 우수한 몬스터가 매우 적은데다, 하급 몬스터도 [[레인보우 피시]]를 이기는 카드가 없었을 정도로 능력치가 빈약했다. 따라서 이 카드와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로 [[푸른 눈의 백룡]] 같은 고레벨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전개하는 방법 말고 별 선택지가 없었다. 그러나 패가 말릴 확률이 높았기에 당시로서도 활용이 까다로웠으며, 전개해봤자 대상 지정 따위 없는 [[번개(유희왕)|번개]]로 간단히 파괴된다는 단점도 있었다. '대상'이라는 용어가 사용된 최초의 카드지만, '대상이 되지 않는다'라는 개념은 기존 룰 용어를 연상시키는 용법이었기에 등장 당시 일부 플레이어들의 혼란을 일으켰다. 당시 관련 서적들을 뒤져보면 [[번개(유희왕)|번개]]는 모든 몬스터를 대상으로 지정하느냐 아느냐를 두고 해석이 갈렸을 정도. 그 중에서는 드래곤족은 일단 보호받겠지만 드래곤의 제왕이 파괴되니 그 후에 시간차로 결국 나머지도 파괴된다는 기발한 해석을 내놓은 책까지 있었다. 원작 코믹스에서의 카드 일러스트와 실제 카드 일러스트가 같은 몇 안 되는 카드들 중 하나다. 다른 예시로는 푸른 눈의 백룡 초기 일러스트와 마그넷 워리어 알파 등이 있다. 원판 이름은 "로드 오브 드래곤 - 드래곤의 지배자". 즉, [[제왕(유희왕)|제왕]] 시리즈와는 관련이 없다. 한글판은 무리한 의역 탓에 뜻이 변질되었다. == 관련 카드 ==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 [[파일:ドラゴンを呼ぶ笛.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일어판 명칭=ドラゴンを()(ふえ), 영어판 명칭=The Flute of Summoning Dragon, 효과1=①: 패에서 드래곤족 몬스터를 2장까지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는 필드에 "드래곤의 제왕"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동과 처리를 할 수 있다.)] 원작에서 사장님은 이 카드랑 드래곤의 제왕과의 콤보로 순식간에 푸백 3장+a를 필드에 깐다. DM 기준으로는 그야말로 충격과 공포. 그러나 자신과 상대를 가리지 않고 패의 드래곤족을 전부 불러내는 효과였기 때문에 [[어둠의 유우기]]는 배틀시티 준결승에서 [[붉은 눈의 흑룡]]을 소환해 위기를 모면한다. 이 카드가 발동되면 이미 드래곤의 제왕이 필드에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소환되는 드래곤족이 상당히 안전하다. 하지만 드래곤의 제왕이 빈약한데다 상급 2장을 뽑자니 덱 안정성이 개판이고 하급을 뽑으면 의미가 적다. 대부분 이 카드가 없거나 아니면 패에 드래곤족 카드가 없거나 할 상황이 자주 일어난다. 붉은 눈의 메탈 드래곤이나 킹드라군 등 패 특수소환 난이도가 쉬운 카드들도 있어서 평가는 낮다. 드래곤의 제왕 자체는 서치가 쉽지만 이 카드는 서치도 어렵고 드래곤의 제왕이 없을 때는 잉여. 그나마 이 카드를 서치하는 드래곤의 통제자가 있지만 보통 자각의 선율이나 부활의 광주를 선호할 것이다. 즉 이걸로 원작의 콤보를 재현하는 것은 [[로망]]에 가깝다. 확실히 요즘 들어서 [[전설의 백석]] 등의 카드로 패에 백룡이 모일 일이 늘어난 건 사실이니 아무래도 난이도가 낮아진 건 사실이겠지만 설사 그렇다고 하더라도 [[현실은 시궁창]]. 원작에서는 어째서인지 배틀시티 vs 유우기전에서 '''묘지로 갈 경우 1장 드로우'''한다는 효과가 갑자기 생겨났다. 당연히 효과 텍스트칸에는 쓰여있지 않고, 종종 나오는 숨겨진 효과도 아닌게 그전에 이 카드가 쓰였을 때(오벨리스크 등장 듀얼)에도 이런 효과는 없었다. 듀얼 전개상 카이바의 패가 부족하니 넣은 효과인 듯. 애니메이션에서는 전개를 바꿔서 이 효과는 나오지 않았다. ==== [[용마인 킹드라군]] ==== 드래곤의 제왕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 [[드래곤의 마녀]] ==== ==== [[드래곤 자각의 선율]] ==== ==== 드래곤의 통제자 ==== [[파일: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統制者-.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드래곤의 통제자, 일어판 명칭=ロード・オブ・ドラゴン-ドラゴンの統制者(とうせいしゃ)-, 영어판 명칭=The King of D., 레벨=4, 속성=어둠, 종족=마법사족, 공격력=1200, 수비력=1100, 효과1=①: 이 카드는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카드명을 "드래곤의 제왕"으로 취급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패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 "드래곤 자각의 선율" "드래곤 부활의 광주" 중 어느 1장을 패에 넣는다.)] >'''드래곤의 통제자!!''' >---- >카이바(DSOD)전용 소환 대사 >'''패 한장을 버리고 드래곤의 통제자의 효과 발동!''' >---- >카이바(DSOD) 전용 효과 대사 원판 이름은 "로드 오브 드래곤 - 드래곤의 통제자". 드래곤 부활의 광주를 보조하는 드래곤의 제왕의 리메이크 버전. 드래곤 자각의 선율에서 연주하고 있던 기타가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 형성이 되었다. --혼란하다 혼란해-- 효과가 일반 소환했을때 한정이지만 자각의 선율을 좀더 빨리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이름을 드래곤의 제왕으로 취급하면서 드래곤을 부르는 피리도 서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피리를 사용하기 좀더 쉬워졌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Legendary Collection Kaiba || C06-EN002 || [[울트라 레어]] || 미국 || 세계 최초 수록 || ==== [[드래곤 부활의 광주]] ==== ==== [[드래곤의 독재자]] ==== === [[유희왕 러시 듀얼|러시 듀얼]] === ==== [[로그 오브 데몬-데몬의 사역자]] ==== ==== [[푸른 눈(유희왕 러시 듀얼)#드래곤의 절대자|드래곤의 절대자]] ====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용마인 킹드라군, version=113)] [[분류:유희왕/OCG/마법사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