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말 그대로 작품에서 [[용덕후]]들이 [[드래곤]]과 짝을 이루어 활동하는 컨셉이나 클리셰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오늘날의 작품에서 주로 등장하는 개념이다. 고대나 중세에 묘사되던 드래곤들은 99%가 위험한 생물이며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살아있는 천재지변과 같은 생물, 그러면서 잡을 경우 엄청난 명성과 드래곤들이 축적한 부를 그대로 챙길수 있는 보물 창고 취급이었다. 우호적으로 보는 곳이라고 해도 인간이 감히 범접할 수 없는 격이 다른 신격 존재로 추앙받았으므로 이러한 개념이 나오기 어려웠다. 용을 타고 다니는 기사인 [[드래곤 나이트]]와 여러모로 겹치며 [[용덕후]]와도 관련이 있다. 이렇게 드래곤과 인간이 파트너를 이루는 유형이 유행하게 된 데에는 드래곤 나이트 항목에 나온 대로 [[퍼언 연대기]]를 선두로 한 용기사 소재의 판타지 소설의 영향도 있으며, [[포켓몬스터]]나 [[디지몬 시리즈]]와 같이 인간과 상상의 동물 간의 유대를 소재로 한 다마고치류의 몬스터 배틀물의 영향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은 [[메이플스토리]]에 나오는 [[에반|드래곤]] [[프리드(메이플스토리)|마스터]] 직업군이 있으며, 후자의 영향이 강한 것은 [[드래곤 드라이브]]나 [[용의 전설 레전더]]정도가 있다. [[드래곤빌리지/세계관#s=3.1|드래곤빌리지]]의 경우 이 둘의 영향이 고루 섞인 것으로 보인다. 고전적인 흉악 드래곤의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도 동시에 인간과 드래곤의 공존을 소재로 쓴 경우는 [[드래곤 길들이기]] 정도가 있다. 매체에서는 드래곤 테이머, 또는 드래곤 브리더라고 종종 불린다. 드래곤을 타고 다니는 경우는 [[드래곤 라이더]]라고도 불린다. == 이런 유형에 해당되는 캐릭터들 == 작품명 - 인간↔파트너 드래곤으로 표시. * [[드래곤 라이더]]의 설정도 이 컨셉에 해당된다. * 다수 [[용기사]]캐릭터들과 그들의 드래곤들도 해당된다.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류우키]] ↔ [[드래그레더]], [[드래그랜저]] * [[가면라이더 류우가]] ↔ [[드래그블래커]], 블랙 드래그랜저 * [[가면라이더 위자드]] ↔ [[위자드래곤]] * [[가면라이더 세이버(가면라이더 세이버)/폼#드래고닉 나이트|가면라이더 세이버 드래고닉 나이트]] ↔ 브레이브 드래곤 * --[[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 - [[고바야시(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고바야시]] ↔ [[토르(고바야시네 메이드래곤)|토르]]-- * [[그랜드체이스]] - 용기사 클래스의 [[로난 에루돈]] ↔ 아미너스 * [[눈물을 마시는 새]] - [[륜 페이]] ↔ [[아스화리탈]] * [[다크 소울 3]] - [[이름 없는 왕]] ↔ 폭풍의 왕 * [[던전 앤 파이터]] - [[드래곤나이트(던전 앤 파이터)|드래곤나이트]] ↔ 아스트라 * [[드래곤 길들이기 시리즈]] - [[히컵]] ↔ [[투슬리스]] 포함 등장인물 다수 * [[드래곤 드라이브]] - 다수 등장인물들 * [[드래곤 라자]] - [[드래곤 라자(드래곤 라자)|드래곤 라자]] ↔ 드래곤[* 다만 드래곤 라자는 흔히 묘사되는 인간과 드래곤의 파트너십과는 조금 다르다. 본래 인간과 교감을 나눌 수 없는(나누기 어려운) 드래곤과 감정적인 교감을 나눌 수 있고 다른 인간과 대화하도록 주선할 수 있을 뿐이며, 라자가 드래곤과 계약한다고 그에 대해 지배권이나 명령권을 갖진 않는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드래곤 라자는 '''인간과 드래곤이 대화를 나누기 위한 탁자'''같은 존재라고 비유하기도 할 정도. 다만 디트리히와 캇셀프라임의 케이스처럼, 계약을 맺은 드래곤 라자와 드래곤이 서로 가깝게 지내면서 자연스럽게 친해지는 케이스가 있긴 하다.] * [[돌맨 할슈타일]] → [[레니(드래곤 라자)|레니]] ↔ [[지골레이드]] * [[디트리히 할슈타일]] ↔ [[캇셀프라임]] * [[카뮤 휴리첼]] → [[넥슨 휴리첼]] ↔ [[크라드메서]] * [[드래곤 플라이트]] - 대부분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 [[드래곤빌리지|드래곤]][[드래곤빌리지2|빌리지 시리즈]] - [[주인공(드래곤빌리지 시리즈)|주인공]] ↔ [[고대신룡]][* 확실한건 드빌1의 주인공 한정 드빌2의 주인공도 고대신룡과 깊이 관련이 있는걸로 추측되긴 하지만 확실하진 않다.], [[누리(드래곤빌리지 시리즈)|누리]] ↔ [[즈믄]] 등 다수 드래곤 테이머들 * [[디지몬 시리즈]] - 모든 용형 디지몬의 파트너들 * [[둥지 짓는 드래곤]] - [[페이 루란젤 헬톤]] ↔ [[블러드 라인]] * [[메이플스토리]] - [[에반]] ↔ [[미르(메이플스토리)|미르]], [[프리드(메이플스토리)|프리드]] ↔ [[아프리엔]] * [[백룡공작 팬드래건]] - [[앨런 팬드래건]] ↔ [[솔드레이크]] * [[뱅퀴어 더 드래곤]] - 빅토르 달튼 ↔ 뱅퀴어 나이츠베인 * [[성각의 용기사]] - [[애쉬 블레이크]] ↔ [[에코(성각의 용기사)|에코]]등 다수 등장인물들 * [[세븐나이츠]] * [[제이브]] * [[린(세븐나이츠)]] * [[소드 아트 온라인]] - [[시리카]] ↔ [[피나(소드 아트 온라인)|피나]] *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 정합기사와 기룡 * [[베르쿨리 신서시스 원]] ↔ 호시가미 * [[셰이타 신서시스 트웰브]] ↔ 요이요비 * [[렌리 신서시스 트웬티세븐]] ↔ 카제누이 * [[앨리스 신서시스 서티]] ↔ 아마요리 * [[엘드리에 신서시스 서티원]] ↔타키구리 * [[로니에 아라벨]] ↔ 츠키가케 * [[티제 슈트리넨]] ↔ 시모사키 * [[슈팅 바쿠간]] - [[쿠소 단마]] ↔ [[드래고노이드]], [[스펙트라 팬텀]] ↔ [[노바 헬리오스]], [[바로듀스]] ↔ [[다크온 드라크]] * [[신드로이아 연대기]] - [[밀레이온]] ↔ [[글레이드론]], [[김세영(D.I.O)|아더]] ↔ 소환한 드래곤들, [[천룡인(D.I.O)|천룡인들]] * [[신룡의 주인]] - 샨 ↔ 카이 * [[용세기]] - 리코→루리시아 ↔ 카마인(버밀리온) * [[용의 전설 레전더]] - [[한용이]] ↔ [[시론(용의 전설 레전더)|시론]], [[사르바]] → [[디노 스파크스]] ↔ [[그리드(용의 전설 레전더)|그리드]], [[율 햅번]] ↔ [[자바워크(용의 전설 레전더)|자바워크]]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 [[도바킨]] ↔ [[오다빙]]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 [[더스트(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 페이트포 * [[코즈믹 브레이크]] - [[피리아]] * [[퍼언 연대기]] - 등장하는 용기사 * [[포켓몬스터]] - [[목호]] ↔ [[망나뇽]], [[아이리스(포켓몬스터)|아이리스]] ↔ [[삼삼드래]]같은 드래곤 타입 전문 트레이너 * [[폭염의 용제]] - [[루그 아스탈]] ↔ [[볼카르]] * [[하얀고양이 프로젝트]] - 드래곤 라이더: 다만 이 쪽은 설정상 타고 다니는 게 꼭 드래곤이 아니더라도 드래곤 라이더로 분류되어서 애매 * 게오루그 ↔ 카구츠치, 엑셀리아 ↔ 라퓌셀, 시엘라 ↔ 프레이야 등 * [[하이스쿨 D×D]] - [[효도 잇세이]] ↔ [[웰시 드래곤 드래이그]], [[발리 루시퍼]] ↔ [[배니싱 드래곤 알비온]] * [[유희왕]] - 모든 드래곤족 카드군 사용자들[* 애초에 원작자인 [[타카하시 카즈키]]가 [[용덕후]]이며, 드래곤족은 가장 대우가 좋은 몬스터군에 해당된다.] * [[Fate 시리즈]] - [[마르타(Fate 시리즈)|마르타]] ↔ [[타라스크(Fate 시리즈)|타라스크]] == 관련 문서 == * [[드래곤]] * [[드래곤 나이트]] * [[드래곤 슬레이어]] * [[용덕후]] * [[테이머]] [[분류:클리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