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카드. [목차] == 설명 == === 원작 === [[파일:DragonCaptureJar-JP-Manga-DM-color.png|width=200]] || 한글판 명칭 ||<-4>'''드래곤족 봉인항아리'''|| || 일어판 명칭 ||<-4>'''ドラゴン[ruby(族, ruby=ぞく)]・[ruby(封印, ruby=ふういん)]の[ruby(壺, ruby=つぼ)]'''|| || 영어판 명칭 ||<-4>'''Dragon Capture Ja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 || ? || 100 || 200 || ||<-5>'''모든''' 드래곤을 항아리 속에 봉인한다. 봉인한 드래곤의 수비력을 얻는다.|| 원작에서 [[페가수스 J. 크로포드]]가 사용한 카드. [[듀얼리스트 킹덤]] 편의 도입부인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에서 처음 사용하여 [[데블 드래곤]]을 봉인하고, [[항아리 마인]]과의 콤보로 컨트롤을 빼앗았다. 작중 시점에서는 최근에 새롭게 만들어진 레어 카드라는 설정이었으며, 페가수스도 여태까지 작중 최강 몬스터로 취급받은 [[푸른 눈의 백룡]]조차 무력화시킬 이 카드가 나온 것처럼 게임이 나날이 버전 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같은 잡지에서 연재된 [[드래곤볼]]의 [[전기밥솥(드래곤볼)|전기밥솥]]과도 비슷한 기믹을 지니고 있다. 대강 OCG로 쓴다면 '''이 카드가 일반 소환 /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상대 필드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장착 카드 취급으로 가능한 한 이 카드에 장착한다. 이 카드의 수비력은 장착한 몬스터의 수비력의 합계만큼 올린다.''' 정도가 될 듯하다. [[새크리파이스(유희왕)|새크리파이스]] 같은 효과.[* 공교롭게도 원작 사용자가 같다.] OCG와 다르게 함정 카드가 아니라 '''몬스터 카드'''였다. 또한, 표시 형식을 봉인하는 게 아니라 '''[[드래곤족]]을 항아리 속에다 봉인해버리는''' 효과, 즉 아예 항아리 속으로 끌어들여 필드에서 없애버리는 효과였다. 이것이 등장할 때마다 맨날 [[푸른 눈의 백룡]]이 납치당했기 때문에 늘 [[카이바 세토]]의 표정이 일그러지기 일쑤였다. 이후 [[듀얼리스트 킹덤]]의 성내에서 본선 직전에 치룬 [[카이바 세토]]와의 듀얼에서도 사용. 사전에 [[무토우 유우기]]는 라이벌이었던 카이바에게 이 카드를 조심하라고 경고해주었으며, 카이바도 그 말을 새겨듣긴 했지만[* 드래곤족 봉인항아리가 나오기 전에 승부를 보겠다고 생각했으나 페가서스가 본인의 작전을 읽고 반격하고 농락해대는 바람에 제 때 승부를 내지 못한 것도 있다.] 결국 [[푸른 눈의 백룡]]을 소환했다가 이 카드에 걸려들어 그대로 봉인되었다. 덤으로 백룡의 수비력을 얻어 2700의 벽 몬스터가 되었다. 참고로 당시 페가수스의 필드에는 [[툰|툰 월드]]가 있었기에, 원작에서는 이 카드도 툰 버전이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이후 DM 퀘스트 편에서도 등장. [[첩자(유희왕)|푸른 첩자]]가 사용하여 또다시 카이바의 [[푸른 눈의 백룡]]을 봉인시켰다. 이후 카이바가 유우기 일행과 합류하고 나서도 다시 사용하려 들었지만, [[함정술사]]의 효과에 의해 파괴되며 백룡의 봉인이 풀리게 되었다. 그리고 카이바의 등장이 끊긴 차기작부터는 한동안 등장이 없어서 잊혀지는 듯 했으나,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서는 [[팀 태양]]의 라스트 휠러 타로가 [[크로우 호건]]과의 듀얼에서 사용했다. 다만, DM버전이 아닌 실제 OCG 사양으로 등장했으며, 효과도 필드 위의 드래곤을 강제로 수비 표시로 만드는 것에 그쳤다. 그래도 이걸로 [[블랙 페더 드래곤]]의 공격을 막아냈으니 제몫은 톡톡히 했다. [[잠자는 거인 즈신]]을 소환하기까지 1턴 남은 상태에서 공격이 들어와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될 뻔한 상황을 절묘하게 막아낸 것. === 반다이판 === [[파일:DragonCaptureJar-BAN1-JP-C.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용족 봉인항아리'''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ruby(竜族, ruby=りゅうぞく)][ruby(封印, ruby=ふういん)]の[ruby(壺, ruby=つぼ)]'''|| || 영어판 명칭 ||<-3>'''Dragon Capture Jar'''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환상마족 || 100 || 200 || ||<-4>용을 봉인하는 힘을 숨긴 항아리.|| ||<-4>'''~특별 룰~'''[br]상대가 용일 경우, 이 카드는 반드시 전투에서 이긴다.|| 용족 몬스터와의 필승하는 특수 능력을 가진 카드.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ragonCaptureJar-DM2-JP-VG.png]] || 한글판 명칭 ||'''드래곤족 봉인항아리'''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ドラゴン[ruby(族, ruby=ぞく)]・[ruby(封印, ruby=ふういん)]の[ruby(壺, ruby=つぼ)]'''|| || 영어판 명칭 ||'''Dragon Capture Jar'''|| ||<-2> 마법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br]함정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 ||<-2>필드에 있는 모든 드래곤족 몬스터를 봉인해버린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 ||<-2>상대의 필드에 있는 모든 드래곤족 몬스터는 소멸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DM2]]~[[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DM7]])}}}|| ||<-2>적의 필드에 있는 모든 드래곤족의 움직임을 봉인한다. {{{-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DM1에서부터 등장. 드래곤족 몬스터를 전멸시키는 [[종족 말살용 카드]]로, 다른 종족 메타 마법들과는 달리 한 시리즈 더 일찍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는 상대 필드의 드래곤족의 행동을 봉쇄하는 효과를 가진 함정 카드가 되었다. 인게임에서는 제한 카드로 지정된 상태.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060_1.jpg]] || 한글판 명칭 ||'''드래곤족 봉인항아리'''|| || 일어판 명칭 ||'''ドラゴン[ruby(族, ruby=ぞく)]・[ruby(封印, ruby=ふういん)]の[ruby(壺, ruby=つぼ)]'''|| || 영어판 명칭 ||'''Dragon Capture Jar'''|| ||<-2> 지속 함정 || ||<-2>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모든 앞면 표시 드래곤족 몬스터는 앞면 수비 표시가 되며, 표시 형식의 변경을 할 수 없다.|| [[스타터 덱]] 유희편에서 등장한 지속 함정. 드래곤족 몬스터를 앞면 수비 표시로 강제하는 효과를 가졌다. [[드래곤족]] 메타 카드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원작과는 무관한 카드가 되었다. 상대의 드래곤족 몬스터를 막을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공격만 막을 수 있고 공격 이외에 효과 사용 등은 전혀 막아주지 못한다. 이 카드가 처음 나왔던 당시에는 드래곤족 효과 몬스터가 없었기 때문에 정말로 봉인하는 것 같은 상황을 만들 수 있었으나, 카드의 종류가 비교도 안 되게 늘어난 현 환경에선 봉인했다는 드래곤족 몬스터가 항아리 속에서 온갖 효과를 다 쓰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될 뿐이다. 기껏 꺼내놔봤자 [[스크랩 드래곤]] / [[패왕열룡 오드아이즈 레이징 드래곤]] /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 등 항아리에 들어가봤자 자기 스스로 항아리를 파괴할 수 있는 드래곤족도 있고, 그게 아니더라도 드래곤족 몬스터들을 가지고 다른 종족의 싱크로 몬스터나 엑시즈 몬스터를 뽑으면 답이 없으니 드래곤족 안티 카드로서 이 카드를 채용해봤자 그리 효과적이지 못하다. 설상가상으로 [[패왕흑룡 오드아이즈 리벨리온 드래곤]] 같이 조건에 맞춰서 소환만 하면 효과를 다 쓸 수 있는데다 기껏 파괴해봤자 마함존으로 탈주하는 몬스터도 등장했고, 링크 몬스터에게는 수비 표시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바렐엔드 드래곤]]이 뜨는데 저지하지 못하면 이 카드는 무용지물이 된다. ~~사이버 엔드 드래곤(기계족)이나 파이어월 드래곤(사이버스족)처럼 이름만 드래곤인 몬스터가 나오면 공격도 봉인하지 못한다~~ 배틀 페이즈에 발동해서 상대 드래곤족 몬스터의 공격을 기습적으로 막을 수 있긴 하나 지속 함정이라 체인해서 파괴되면 효과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차라리 [[에너미 컨트롤러]]나 [[달의 서]], [[진입금지! No Entry!!]] 같은 걸 쓰는 게 낫다. 자신 / 상대 필드 구분이 없기에 자신의 드래곤족 몬스터도 이 카드의 효과를 받으니 주의할 것. 반대로 이것을 이용해 자신의 드래곤족 공격 표시의 몬스터가 공격당할 때 수비 표시로 전환시켜 전투 데미지를 줄이거나,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같은 게 터졌을 때 수비 표시로 만들어 회피할 수도 있긴 하다. 물론 이것도 상기한 다른 표시형식 변경 카드를 쓰는 게 더 편하다. 드래곤족은 자주 강세가 되는데, 앞서 설명하듯 OCG 효과는 영 시원찮아서 안티 카드로도 그다지 채용률은 높지 않다. 하다못해 효과 무효만 있었어도 사이드 덱 채용률은 매우 높았을 것이다. 비슷한 카드로 안티 [[곤충족]] 카드인 [[인섹트 베리어]]가 있다. == 관련 카드 == === [[항아리 마인]] === [[분류:유희왕/OCG/지속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