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ドラスティック・ドロー.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드래스틱 드로우, 일어판명칭=ドラスティック・ドロー, 영어판명칭=Drastic Draw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으며\, 이 카드를 발동하는 턴에\, 자신은 사이버스족 몬스터밖에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효과1=①: 2장 이상의 자신 필드의 몬스터를 전부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3장 드로우한다.)] OCG판 [[하늘의 선물]]을 떠올리게 하는 면이 있는 사이버스족 전용 3장 드로우 카드, 많은 양의 드로우가 가능하지만 몬스터를 최소 2장은 제외해야 하기 때문에 어드밴티지를 벌 수 없고 전부 제외시키기 때문에 발동 타이밍 잡기가 힘들다. 쓴다면 애니처럼 토큰 등으로 저렴하게 전개한 뒤 쓰거나 [[밸런서로드]]나 [[도트스케이퍼]]처럼 제외하는 것으로 효과를 쓸 수 있는 카드와 조합하게 될 것이다. 그 제약 특성상 순수 사이버스 덱에서 채용하게 될 것이다. 제외할 몬스터는 가급적 2장 정도로 최소화시켜서 어드밴티지 손실을 줄이는 편이 좋다. 토큰이나 자체 특수 소환된 소형급 몬스터, 또는 컨트롤을 뺏어온 상대 몬스터를 제외한다면 어드밴티지를 어느 정도 확보할 수는 있다. [[밸런서로드]]나 [[도트스케이퍼]]를 제외하여 카드 어드밴티지 손실을 최소화해보거나, [[사이바넷#사이바넷 롤백|사이바넷 롤백]] 등으로 재활용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종언의 카운트 다운]] 덱처럼 자신 턴에 전개를 치를 일이 없는 덱이라면 드로우 요원으로 채용을 고려할 수 있다. 상대의 공격을 [[배틀 페이더]], [[포톤 점퍼]] 등으로 방어하고, 다음 턴에 적당한 몬스터를 세트해서 이 카드를 발동할 수 있으니 3:3 교환이 이루어진다. [[유희왕 VRAINS]]에서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아이(유희왕)|아이]]와의 마스터 듀얼에서 사용. [[사이바넷 리츄얼#사이바넷 토큰|사이바넷 토큰]]을 2장 제외하고 3장[* [[링크슬레이어]], [[백업 세크레터리]], [[사이버스 위저드]].]을 드로우했다. 일러스트의 인물은 대놓고 [[후지키 유사쿠|Playmaker]]로 추정되는 실루엣이 그려져있다. 다만 애니메이션의 [[https://yugipedia.com/wiki/File:DrasticDraw-JP-Anime-VR.png|일러스트]]는 좀 더 노골적이었었다. 드로우 관련 카드&작품 종영 몇년 후에 나온 카드 중에서는 드물게도 애니판과 OCG판의 텍스트가 토씨하나 다르지 않고 똑같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3-06-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C03-JP027 |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ANIMATION CHRONICLE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 ||<(> 2023-09-0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C03-KR027 |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 ||